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8:46:14

중천왕

고연불에서 넘어옴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국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동명성왕 유리명왕 대무신왕 민중왕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모본왕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
<rowcolor=#c5b356>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고국천왕 산상왕 동천왕 중천왕
<rowcolor=#c5b356>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고국원왕
<rowcolor=#c5b356>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소수림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rowcolor=#c5b356>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rowcolor=#c5b356>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추존왕 및 비정통 | 대리청정 및 섭정 | 상왕 | 왕후 | 태자 | 왕실 계보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백제 · 가야 · 신라 · 탐라 · 발해 · 후고구려 · 후백제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조선건준 · 대한민국
}}}}}}}}}

중천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고구려의 왕자
[[틀:고구려의 왕자/동명성왕 ~ 봉상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1e23, #34363f 20%, #34363f 80%, #1d1e23);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막근 · 고막덕 · 차대왕? · 신대왕? · 고인고?
왕자 · 왕자
국왕 · 태자
왕자 : 동명성왕 ~ 봉상왕 · 미천왕 ~ 보장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c5b356> 동명성왕 유리명왕
고유리 고도절 고해명 고무휼
<rowcolor=#c5b356> 대무신왕 모본왕 차대왕 신대왕
고해우 고익 고추안 고남무
<rowcolor=#c5b356> 산상왕 동천왕 중천왕 서천왕
고우위거 고연불 고약로 고상부
<rowcolor=#c5b356> 미천왕 고국원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고사유 고구부 고담덕 고거련
<rowcolor=#c5b356> 장수왕 문자명왕 안원왕 양원왕
고조다 고흥안 고평성 고양성
왕태손

고나운
<rowcolor=#c5b356> 평원왕 영류왕 보장왕
고원 고환권 고복남
}}}}}}}}}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고구려 제12대 국왕
중천왕 | 中川王
파일:우산하 2110호.jpg
중천왕릉으로 추정되는 우산하 2110호 전경.
출생
(음력)
<colbgcolor=#fff,#1c1d1f>224년
고구려
사망
(음력)
270년 10월 (향년 46세)
고구려
능묘 중천원(中川原)[1]
재위기간
(음력)
고구려 왕태자
243년 1월 ~ 248년 9월 (5년 9개월)
고구려 제12대 국왕
248년 9월 ~ 270년 10월 (22년 1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c5b356> 본관 <colbgcolor=#fff,#1f2023>횡성 고씨
성씨 고(高)
연불(然弗)
부모 부왕 동천왕
모후 미상
형제자매 3남 중 장남[2]
왕후 왕후 연씨[3], 관나부인
자녀 5남 1녀
태자 고약로
왕자 왕자 한 명[4],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왕녀 명림홀도의 아내
시호 중천왕(中川王)
중양왕(中壤王) }}}}}}}}}

1. 개요2. 생애3. 평가4. 창작물에서5. 기타6. 《삼국사기》 기록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구려의 제12대 왕.

2. 생애

중천왕은 224년에 출생했고 243년 태자에 책봉되었으며 248년 동천왕이 승하하자 즉위했다.

248년 11월 동생들인 고예물(預物)과 고사구(奢句) 등이 모반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모두 처형당했다. 이는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일어난 왕족 간의 다툼이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고구려는 형제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났지만 왕권이 강화됨에 따라 부자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중천왕의 동생들은 이에 반발하여 모반을 일으켰다가 목숨을 잃었던 것이다.

250년 국상(國相)의 권한을 확대하여 수도와 지방의 군권까지 겸하도록 했다. 당시 국상은 명림어수였다.

251년 측실인 관나부인왕후 연씨(王后 椽氏)를 시기하여 모함을 하자 대노하여 관나부인을 가죽 주머니에 넣고 서해[5]에 수장시켜 버렸다. 254년 국상 명림어수가 사망하자 음우를 국상으로 삼았다. 256년 공주를 연나부(=절노부) 출신인 명림홀도혼인시켰다.

259년 조위의 장수 울지해(尉遲楷)가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 오자 본인이 친히 기병 5,000명을 이끌고 태자하(太子河) 상류로 추정되는 양맥(梁貊)에서 이들을 격파하고 8,000여 명의 수급을 베는 대승을 거두었다. 선왕인 동천왕이 위나라 장수 관구검에게 침략을 당해 작살이 났던 것을 생각해보면 단단히 복수를 한 셈이었다. 이후 그해 12월에 두눌(杜訥) 골짜기에서 사냥을 하였다는 기록, 다음해인 260년 가을 9월, 중천왕이 졸본에 가서 시조의 사당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 262년 가을 7월, 중천왕이 기구(箕丘)에서 사냥하다가 흰 노루를 잡았다는 기록을 보건데 내부적으로는 사냥으로 대표되는 군사훈련과 시조묘 참배로 왕실의 위상을 다지는 등 내부를 결속하며 위나라의 보복 침공을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

270년에 승하했고 중천(中川)의 들에 장사지냈다.

3. 평가

인생에 꽤나 드라마틱한 요소가 많은데 어렸을 때는 위나라의 침공으로 크나큰 고초를 겪었고, 장성하여 왕이 된 후에는 왕위 찬탈을 위해 반란을 일으킨 동생들의 목숨을 빼앗았으며, 왕을 두고 여인들의 암투도 겪었다. 왠지 대무신왕과 파란만장한 일생이 비슷하다. 결국 위나라 병사들을 괴멸시키고, 아버지의 원한을 갚았다. 중천왕의 장남은 요절하여 사후에 차남인 서천왕이 즉위했다.

정사를 제대로 펼쳐 인재를 잘 골라 쓰고, 순사를 금지시켰다. 역사서에도 언급될만큼 지혜롭고 총명한 명군이었고, 게다가 고구려에게 굴욕을 준 위나라를 격파하여 8,000여 명의 수급을 베는 등 활약상이 꽤나 컸다.[6]

동국통감》의 평가는 덕이 없고 관나부인의 무고룰 분변한 점으로 인해 용단 없는 왕으로 평가했다.
"중천(中川)은 비록 일컬을 만한 덕은 없으나, 능히 총희(寵姬)의 무고(誣告)를 분변하여 의심치 않고 죽였으니, 어찌 그리 용단이 있었습니까?"

4. 창작물에서

웹툰 《삼국전투기》에서는 붉은 두건을 쓴 인물로 등장한다.

비류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한다. 동천왕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 259년경 집적거리는 위군을 박살내며 훈훈한 동천왕의 복수전을 펼쳤다고 묘사된다.

채널A의 <천일야사>에서 중천왕이 신라의 월정과 옥모태후와의 관계에 대한 스토리가 소개되었다.

유튜버 삼칠이의 삼국지 랭킹전에선 동천왕이 사망한 뒤 양맥 전투에서 승리해 아버지의 복수를 해주는 장면으로 등장한다.

5. 기타

  • 삼국사기》에서 중천왕에 대해 외모가 준수하고 뛰어나며 지략이 있었다라고 기록했다.

6.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중천왕 본기〉
一年秋九月 중천왕이 즉위하다
一年冬十月 연씨를 왕후로 삼다
一年冬十一月 왕의 동생 예물과 사구 등이 모반을 일으키다
三年春二月 국상 명림어수에게 군사 업무를 담당하게 하다
四年夏四月 왕이 관나부인을 죽이다
四年夏四月 음우를 국상으로 삼다
四年秋七月 지진이 일어나다
八年 약로를 왕태자로 삼다
九年冬十一月 명림홀도가 부마도위가 되다
九年冬十二月 겨울에 눈이 오지 않고 전염병이 유행하다
十二年冬十二月 조위의 침략을 물리치다
十三年秋九月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다
十五年秋七月 왕이 흰 노루를 잡다
十五年冬十一月 겨울에 천둥과 지진이 일어나다
二十三年冬十月 중천왕이 죽다

7. 둘러보기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왕실의 계보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천제 하백
 
 
해모수
 
유화
 
 
 
부여 왕실 1대
동명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 온조
백제 왕실
 
 
 
 
 
 
고도절 고해명 왕녀 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 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 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 고막덕 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 9대
고국천왕
고발기 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 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 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 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 19대
광개토대왕
 
20대
장수왕
고익
 
 
 
 
 
고조다 고승우 공주 고승천
 
21대
문자명왕
 
 
 
22대
안장왕
23대
안원왕
고안학
 
 
24대
양원왕
왕자
 
25대
평원왕
 
 
 
 
26대
영양왕
27대
영류왕
평강공주 대양왕
 
 
고환권 28대
보장왕
 
 
 
 
 
고복남 고임무 고덕남 고덕무 공주
 
부흥
보덕왕
}}}}}}}}}}}}



[1] 우산하 2110호 추정[2] 동생 고예물, 고사구.[3] 전통적으로 왕후를 배출해오던 절노부(연나부) 출신으로 추정된다.[4] 장남.[5] 당시 고구려가 서쪽으로 요동군 서안평현(西安平縣)과 맞닿아서 바다와 접하지 않았음을 생각해보면 의아할 수 있는 대목인데, 이에 대해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삼국사기》 번역본의 각주에서는 동천왕 때 고구려가 오나라와 교류하는 모습을 보아 고구려가 압록강 수로를 이용하는데 있어 큰 곤란을 겪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6] 중천왕대 고구려의 정치와 시조묘 제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