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4:04:45

지정해제된 대한민국의 국가유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국가지정유산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문화유산
시도지정유산
시도유형문화유산 시도기념물 시도자연유산 시도무형유산 시도민속문화유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타
문화유산자료 국가등록문화유산 시도등록문화유산
이북5도 무형유산 향토유산 비지정유산
지정해제된 대한민국의 국가유산 }}}}}}}}}


1. 개요

국가유산은 지정된 것으로 끝이 아니라 상위나 하위의 국가유산으로 승격, 격하되거나 재지정되는 경우, 보존가치를 상실해 지정해제되는 경우 등이 있다.
승격 격하 지정종목 변경 지정해제 후 같은 국가유산으로 재지정 지정해제 후 다른 국가유산으로 재지정
위 다섯 가지 상황은 전부 지정해제 후 재지정 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동일해 보이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승격
    기존 항목보다 상위의 국가유산으로 재지정되는 것을 말한다. 지정해제하자마자 상위의 국가유산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하위 국가유산 지정해제일과 상위 국가유산 지정일이 일치한다. 국가지정유산인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 국가무형유산 등은 그 자체로 최상위 국가유산이기 때문에 따로 승격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지만, 보물은 상위 국가유산인 국보가 있기 때문에 국가지정유산 내에서는 유일하게 승격이 가능하다.
  • 격하
    기존 항목보다 하위의 국가유산으로 재지정되는 것을 말한다. 지정해제하자마자 하위의 국가유산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상위 국가유산 지정해제일과 하위 국가유산 지정일이 일치한다. 승격과 마찬가지로 국가지정유산 내에서는 국보->보물의 격하만이 있으며, 2025년 시점에서는 단 한 건만이 격하되었다.
  • 지정종목 변경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항목이 새로 만들어지거나 행정적인 정리가 필요해서 기존 항목에서 지정해제된 뒤 새로운 항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국가유산 지정해제일과 신규 국가유산 지정일이 일치한다.사적 및 명승 항목이 2009년에 폐지되어 사적 및 명승이었던 국가유산들을 사적이나 명승으로 각각 지정변경한 바가 있고, 시도지정유산에서 시도자연유산 항목이 신설되어 시도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유산들을 시도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한 바가 있다.
  • 지정해제 후 같은 국가유산으로 재지정
    모종의 사유로 지정해제 된 뒤 시간이 지나 다시 검토해본 결과 다시 가치를 인정받아 같은 항목으로 재지정되거나, 기존에 지정되어 있던 건의 가지 번호 등이 변경되는 경우다.
  • 지정해제 후 다른 국가유산으로 재지정
    모종의 사유로 지정해제 된 뒤 시간이 지나 다시 검토해본 결과 다시 가치를 인정받아 재지정되었으나 항목은 다른 경우를 말한다. 보통 기존보다 하위의 국가유산으로 재지정된다.

보존가치를 상실해 지정해제되는 경우는 화재 등의 사고로 소실되거나, 국가유산 지정이 됐으나 추후 연구를 통해 위작으로 밝혀졌거나, 천연기념물 등의 자연물(특히 노거수)은 수명을 다해 고사했거나, 사적의 경우는 위치가 변경되어 보존가치를 상실했다고 판단한 경우[1] 등이 있다.

2. 국가지정유산

2.1. 국보

<colbgcolor=#315288><rowcolor=#fff><colcolor=#fff> (구)지정번호 이름 지정일 지정해제일 지정해제 사유 비고
168호 백자 동화매국문 병 1974.07.09 2020.06.23 중국 원나라 제작품으로 우리나라 도자사에 끼친 영향 미흡
274호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1992.09.04 1996.08.31 이 귀함별황자총통은 해군 이충무공해저유물발굴조사단에 의해 1992년 8월 경상남도 통영군 한산면 문어포 서남쪽 해저에서 발굴 인양되었다.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문화재 화포 연구 사료로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1992년 9월 4일 국보 제274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진품이 아닌 모조품으로 밝혀져 문화재적 가치를 상실하여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뒤 1996년 8월 31일 지정 해제되었다.
278호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1993.04.27 2010.08.25 보물 제1657호로 재조정됨에 따라 지정해제됨.(2010.08.25 고시) 보물 제1657호로 격하

2.2. 보물

<colbgcolor=#315288><rowcolor=#fff><colcolor=#fff> (구)지정번호 이름 지정일 지정해제일 지정해제 사유 비고
5호 중초사지 삼층석탑 1997년 1월 1일 해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로 재지정
44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국보 제289호로 승격
48호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국보 제308호로 승격
55호 봉정사대웅전 국보 제311호로 승격
130호 용감수경 <제3권,4권> 국보 제291호로 승격
138호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국보 제315호로 승격
139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국보 제48호로 승격
140호 오대산 상원사 중창권선문 국보 제292호로 승격
144호 통도사 대웅전 국보 제290호로 승격
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 국보 제328호로 승격
147호 밀양 영남루 국보로 승격
163호 화순 쌍봉사 대웅전 화재로 소실
195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 국보 제293호로 승격
200호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석불 국보 제312호로 승격
213호 삼척 죽서루 국보로 승격.
218호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323호로 승격.
237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국보 제326호로 승격.
241호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 국보 제294호로 승격.
273호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로 승격.
277호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로 승격.
293호 세병관 국보 305호로 승격.
324호 여수 진남관 국보 제304호로 승격.
326-1호 장검 2점 국보로 승격
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국보로 승격
341호 청자상감모란문표형병 이미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116호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 착오로 인해 1달 뒤에 보물로 중복 지정되어 지정 당일에 바로 지정해제됨
398호 월인천강지곡 권상 국보 제320호로 승격.
410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국보 제332호로 승격
419호 <colbgcolor=#315288><colcolor=#fff> 419-1호 삼국유사 권제3-5 국보 제306호로 승격
419-3호 삼국유사 권4~5 국보 제306-4호로 승격
419-5호 삼국유사 <권1-5> 국보 제306-2호로 승격
432호 태안마애삼존불 국보 제307호로 승격
458호 쌍계사 적묵당 화재로 소실 소실 이후 복원한 현재의 적묵당을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476호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화재로 소실
479호 낙산사 동종 화재로 소실
517호 영천 청제비 국보로 승격
525호 삼국사기 국보 제322-1호로 승격
561호 금영 측우기 국보 제329호로 승격
596호 궁궐도 국보 제249호로 승격
639호 기사계첩 국보 제334호로 승격
663호 완주 화암사 극락전 국보 제312호로 승격
670호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국보로 승격
684호 예천 용문사 윤장대 국보 제328호로 승격
711호 동인지문46<권1∼6> 보물 제 710-2호로 지정변경
712호 동인지문46<권10∼12> 보물 제 710-3호로 지정변경
713호 동인지문46<권13∼15> 보물 제 710-4호로 지정변경
714호 동인지문46<권7∼9> 보물 제 710-5호로 지정변경
723호 삼국사기 국보 제322-2호로 승격
768호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보물 767-2호로 지정변경
773호 금강반야바라밀경 <권2∼5> 보물 772-2호로 지정변경
799호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국보로 승격
842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 국보 제330호로 승격
844호 창덕궁 측우대 국보 제331호로 승격
864호 금고 위작으로 판명
875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929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로 승격
931호 조선태조어진 국보 제317호로 승격
999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국보 제333호로 승격
1021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33-1호로 승격.
1084호 안중근의사 유묵 보물 제569-21호로 지정변경
1085호 1085-1호 동의보감 국보 제319-1호로 승격
1085-2호 동의보감 국보 제319-2호로 승격
1085-3호 동의보감 국보 제319-3호로 승격
1150호 안중근의사 유묵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1170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3 보물 제875-2호로 지정변경
1172호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보물 제767-3호로 지정변경
1173호 남은유서분재기부남재왕지 원본이 아니라 모사본으로 판명
1251호 금강반야바라밀경<권제1> 보물 제772-3호로 지정변경
1265호 무량사미륵불괘불탱 국보로 승격.
1273호 해인사영산회상도 국보로 승격.
1294호 이제 개국공신교서 국보 324호로 승격.
1306호 묘법연화경 보물 제1306-1호로 지정번호 변경
1313호 무위사극락전아미타후불벽화 국보 제313호로 승격.
1366호 송광사화엄전화엄탱 국보 제314호로 승격
1368호 송광사영산전후불탱·팔상탱 국보로 승격
1424호 백자대호 국보 제309호로 승격
1440호 백자대호 국보 제310호로 승격
1513호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국보 제335호로 승격
1543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보물 제1543-1호로 지정번호 변경
1548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국보로 승격.
1629호 1629-1호 신한첩-신한첩건 보물 제1947호 숙명신한첩으로 지정변경
1629-2호 신한첩-신한첩곤 보물 제1946호 신한첩 곤으로 지정변경
1758호 포항 중성리 신라비 국보 제318호로 승격
1767호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국보 제327호로 승격
1777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로 승격
1779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로 승격
1866호 삼국유사 권1~2 국보 제306-3호로 승격
1906호 대명률 지정과정에서의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지정해제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자세한 내역은 항목 참조
1991호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보로 승격

2.3. 사적

<colbgcolor=#315288><rowcolor=#fff><colcolor=#fff> (구)지정번호 이름 지정일 지정해제일 지정해제 사유 비고
9호 울산학성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7호로 재지정
35호 부산일본성
36호 마산일본성
38호 경주노동리고분군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
39호 경주노서리고분군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
40호 경주황남리고분군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
41호 경주황오리고분군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
42호 경주인왕리고분군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
49호 승주신성리성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
50호 사천성진리성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274호로 재지정
51호 김해죽도성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
52호 기장죽성리성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
53호 웅천안골리성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5호로 재지정
54호 서생포성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8호로 재지정
63호 물금증산성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6호로 재지정
71호 성산사부동도요지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
72호 성산기산동도요지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
76호 나주대안리고분군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77호 나주신촌리고분군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78호 나주덕산리고분군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80호 창녕교동고분군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81호 창녕송현동고분군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84호 함안도항리고분군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85호 함안말산리고분군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
91호 성주 성산성 군부대 영역에 포함되어 보존가치 상실
102호 만인의총 이장으로 인한 보존가치 상실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110호 성저오리정계석표 위치 이전에 따른 보존가치 상실
160호 서울 살곶이 다리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
169호 창녕 영산 석빙고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
178호 신라진지문성왕릉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255호 용산신학교와원효로성당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
300호 경산임당동고분군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303호 광한루원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
304호 담양소쇄원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
325호 진천산수리백제요지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
331호 경산조영동고분군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344호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
368호 보길도윤선도유적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
378호 성락원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462호 서울부암동백석동천유적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2.4. 천연기념물

<colbgcolor=#315288><rowcolor=#fff><colcolor=#fff> (구)지정번호 이름 지정일 지정해제일 지정해제 사유 비고
2호 합천백조도래지 1962.12.03 1973.07.19 보존가치를 상실함.
3호 맹산의만주흑송수림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53호 맹산흑송림으로 지정됨
4호 서울통의동의백송 1962.12.03 1993.03.24 태풍 피해로 가지 찢어져 고사함.
5호 서울내자동의백송 1962.12.03 1965.10.12 보존가치를 상실함.
6호 서울원효로의백송 1962.12.03 2003.07.04 수령 500여년의 노거수로 워낙 노쇠하였고 뿌리 생육상태 불량으로 고사되어 신초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목질부가 백색으로 노출되고 수간부도 10%만이 남아있는 등 천연기념물로의 가치를 상실함.
7호 서울회현동의백송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0호 연희동의수지적송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2호 진천진나학도래군서지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4호 진천의미선나무자생지 1962.12.03 1969.09.08 보존가치를 상실함.
15호 창녕백조도래지 1962.12.03 1965.10.25 보존가치를 상실함. 2011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 제524호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로 재지정
16호 밀양의백송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17호 당진학도래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20호 해주학도래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21호 연안학(황새)도래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22호 연안학도래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23호 백천학도래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24호 웅진학도래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130호 강령재두루미살이터, 제133호 옹진재두루미살이터로 지정됨
25호 선천랍도고양이갈매기,쇠백로,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71호 랍도바다새번식지로 지정됨
26호 동관홍적기동물화석층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34호 강안리동물화석자리로 지정됨
31호 대강면의은행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32호 화산의소나무갈졸참나무포합수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3호 금성면의느티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4호 옥룡면의팽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7호 진례면의이팝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41호 중문면의녹나무 1962.12.03 1967.11.01 보존가치를 상실함.
42호 평양목단대의화석입목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5호 중성화석림으로 지정됨
43호 평양남산리의화석림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5호 중성화석림으로 지정됨
44호 송광사의이팝나무 1962.12.03 1971.07.26 보존가치를 상실함.
45호 죽청리의동백나무 1962.12.03 1965.10.12 보존가치를 상실함.
46호 대문리의팽나무 1962.12.03 1965.10.12 보존가치를 상실함.
47호 석문동의오동나무 1962.12.03 1967.11.01 보존가치를 상실함.
54호 해남학도래지 1962.12.03 1962.12.03 보존가치를 상실함.
55호 해남학번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56호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40호 선봉알섬 바다새번식지로 지정됨
57호 보천보 검은담비 서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58호 어의궁의은행나무 1962.12.03 1972.05.24 보존가치를 상실함.
61호 진천의측백수림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67호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175호 답동산가침박달무리로 지정됨
68호 선남리의음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70호 금란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215호 금란굴로 지정됨
71호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1962.12.03 1962.12.03 보존가치를 상실함. 북한 천연기념물 제163호 홍현리 백로살이터, 제164호 배천재두루미살이터로 지정됨
72호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75호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77호 잠실리의뽕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호로 재지정.
80호 장성면의왕버들 1962.12.03 1986.10.15 자연고사로 가치를 상실함.
81호 개성리의백송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90호 개성 백송으로 지정됨
83호 무안사마리의동백나무 1962.12.03 1967.11.01 보존가치를 상실함.
85호 진안월평리의상수리나무,소나무포합수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86호 진안의줄사철나무자생북한지대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87호 금구의송악자생북한지대 1962.12.03 1975.06.12 보존가치를 상실함.
90호 벌교의 은행나무 1962.12.03 1993.04.16 보존가치를 상실함. 전라남도 기념물 제147호로 재지정.
92호 원성성남리의수림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94호 삼척의회화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97호 주문진교항리의밤나무 1962.12.03 1991.11.27 보존가치를 상실함.
99호 예산학번식지 1962.12.03 1965.10.12 보존가치를 상실함.
100호 서산학도래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102호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211호 통천 알섬 바닷새번식지로 지정됨
104호 보은의백송 1962.12.03 2005.08.19 석축 및 복토로 인하여 세근이 고사하고 지제부의 형성층 부채로 인하여 양분이동이 차단되어 생장이 정지하고 고사함.
105호 부여의동매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09호 서귀포의곰솔 1962.12.03 1965.10.12 보존가치를 상실함.
113호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16호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117호 청송의향나무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18호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의 보호구역 차일봉북수백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됨
119호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00호 백암부채붓꽃군락으로 지정됨
120호 음성의학번식지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21호 예산삽교의학도래지 1962.12.03 1973.08.14 보존가치를 상실함.
125호 구례원달리의산수유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27호 철산책도의저어새,고양이갈매기,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128호 풍산견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68호 풍산개로 지정됨
129호 칠보산개심사의중국율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22호 개심사 약밤나무로 지정됨
130호 명천운만대의고려세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11호 운만대신의대군락으로 지정됨
131호 대초도의산벚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132호 서수라의산벚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38호 우암산벚나무군락로 지정됨
133호 개성크낙새서식지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433호 개성클락새로 지정됨
134호 진천의학번식지 1962.12.03 1962.12.03 보존가치를 상실함.
135호 오골계 1962.12.03 1981.09.17 보존가치를 상실함.
137호 안면도의굴거리나무군락 1962.12.03 1962.12.03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39호 해안면의갯노가자·소사나무군락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140호 귀성면의떡갈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35호 용강떡갈나무로 지정됨
141호 수산면의중국율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59호 수산리약밤나무로 지정됨
142호 참면의들매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70호 동림들메나무로 지정
143호 양산면의나도박달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북한 천연기념물 제98호 요하나도박달나무로 지정됨
144호 전천면의잣나무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145호 후창의조릿대군락 1962.12.03 1962.12.03 미수복(북한지역소재)
148호 속리의망개나무 1962.12.03 1968.06.21 보존가치를 상실함.
149호 난읍비자림 1962.12.03 1971.09.08 보존가치를 상실함.
157호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1964.01.31 1969.09.08 보존가치를 상실함.
181호 하청의 느티나무 1966.08.25 1971.09.08 보존가치를 상실함.
186호 양산 석계리의 이팝나무 1967.07.11 2000.09.18 주변 콘크리트 포장 및 계곡 옹벽 틈의 불량한 입지조건과 생육환경의 악화로 자연고사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서 가치를 상실함.
187호 부산양정동의이팝나무 1967.07.11 1983.10.19 보존가치를 상실함.
188호 익산신작리곰솔 1967.07.11 2008.12.15 2007.8월 낙뢰피해 이후 2008년부터 급격히 건조되며 고사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208호 삼천 포학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968.07.18 1993.08.19 보존가치를 상실함.
210호 해남 방축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968.07.18 1987.10.29 보존가치를 상실함.
213호 영암금강리의향나무 1968.11.20 1975.05.02 보존가치를 상실함.
230호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1970.11.05 1973.07.19 보존가치를 상실함.
231호 통영도선리백로와왜가리번식지 1970.11.05 2009.12.18 관리단체 및 지역주민 등이 통영 도선리에 백로와 왜가리가 번식하지 않아 1993년부터 지정해제 요청을 수차례 하였으며, 2002년부터 최근까지 연구기관 실태조사에서도 백로와 왜가리가 관찰되지 않아 집단번식지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상황이다.
257호 인천연희동및경서동의두루미도래지 1977.11.22 1984.05.22 보존가치를 상실함.
258호 무태장어 1978.08.18 2009.06.09 “무태장어”가 식용을 목적으로 양식하기 위해 국외에서 국내로 반입되는 상황에서 문화재보호법상 반입을 금지할 근거규정이 없으며, 반입 후 양식을 하기 위해 사육허가 신청시 현실적으로 불허하기가 어려움.

사육허가 시 초래되는 관리상의 문제, 천연기념물이 식용으로 유통됨에 따른 국민들의 정서상의 문제, 천연기념물에 대한 가치 저하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큼.

“무태장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희귀종에 속해 남부지방, 제주도 등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발견될 뿐이나, 동남아 일원에서는 흔히 발견되고, 특히 중국에서는 양식을 많이 하는 어종임. 또한 제주 천지연 폭포 일원이 무태장어 분포의 최북단 서식지로서 학술적 가치를 지녀 무태장어 서식지로 지정(제27호, ‘62.12.3.)되어 보호하고 있으므로 전국일원을 소재지로 하는 무태장어 종에 대해 천연기념물 지정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 상황임.
264호 용주사회양목 1979.12.11 2002.06.29 생육공간 협소로 뿌리 생육환경이 불량하고 회양목으로는 보기 드문 노거수로 워낙 노쇠하여 회생의 가능성이 희박하고, 수형의 훼손이 심하여 천연기념물로의 가치를 상실하였음.
269호 무안망운면의곰솔 1982.11.04 1993.04.16 보존가치를 상실함. 전라남도 기념물 제148호로 재지정.
276호 남해 갈화리 느티나무 1982.11.04 2013.01.02 태풍피해 및 노쇠로 인한 자연 고사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서 가치를 상실함.(2013.01.02 고시)
277호 양성면의느티나무 1982.11.04 1991.09.14 보존가치를 상실함. 천연기념물에 지정해제된 후 그 자리에 존속하고 있으나, 별도로 보호수나 자연유산 등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음.거리뷰
282호 진안부귀면의느티나무 1982.11.04 1986.10.15 자연고사로 가치를 상실함. 지정해제된 후 2014년에 보호수 9-7-31로 지정됨.거리뷰
290호 괴산 삼송리 소나무 1982.11.04 2014.12.05 2012년 태풍 볼라벤의 강풍 피해로 고사하여 문화재로서의 가치 상실
297호 청송부곡동의왕버들 1982.11.04 2002.11.27 2002년 제15호 태풍 ‘루사’로 인하여 불어난 강물에 의해 제방에 있던 왕버들이 뿌리가 끊겨 300m 가량을 떠내려가 원형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훼손되어 문화재의 가치를 상실함.
306호 무주설천면의음나무 1982.11.04 2000.02.03 하천류로·지하수·토성 등의 입지조건과 생육환경 악화로 자연 고사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서 가치를 상실함.
308호 고성하이면의팽나무 1982.11.04 1983.08.19 보존가치를 상실함.
310호 무안현경면의팽나무 1982.11.04 2001.09.10 가지가 부러져 수형이 크게 훼손되었으며 목질부의 부패가 심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서 가치를 상실함.
316호 부산괴정동의회화나무 1982.11.04 1993.04.16 보존가치를 상실함. 지정해제된지 6개월 만에 보호수 제2-9호로 지정됨.거리뷰
338호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983.08.23 2019.07.05 2012년 태풍 볼라벤에 의한 강풍피해로 고사함.
350호 명주삼산리소나무 1988.04.30 2008.12.15 2000년부터 수세가 약화되며 자연 고사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 상실.
353호 서천신송리의곰솔 1988.04.30 2005.08.19 2002년 낙뢰 피해 이후 수세가 쇠약해지며 수간부에 소나무 좀벌레 등 심식충의 피해가 발생하여 고사함.
369호 흑산도진리의초령목 1992.10.26 2001.11.30 고사된 초령목 노거수의 수형과 줄기의 수피 등이 크게 훼손되어 국가지정문화재로서 가치를 상실함.
425호 문경존도리의소나무 2000.10.13 2006.08.07 노거수인 소나무가 고사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상실
506호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2009.10.15 2015.03.12 2012년 태풍 볼라벤 강풍피해 및 생리적 노쇠 등에 의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완전 고사하여 문화재로서의 가치상실.(2015.03.12.고시)
521호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011.01.13 2019.11.01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는 2012년 태풍(볼라벤), 2018년 태풍(솔릭) 피해 이후 급격한 수세약화로 고사되어 국가유산으로서의 학술적·생물학적 가치를 상실하였기에 국가유산 지정을 해제하고자 함
541호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2012.11.13 2020.02.03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는 2019년 태풍(링링) 피해로 인한 생물학적 가치 상실로 문화재로서의 지정가치를 상실하였기에 문화재 지정을 해제하고자 함.
555호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 2019.09.05 2024.11.21 포천 초과리 오리나무는 2024년 집중호우 및 강풍 피해로 인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자연유산으로서의 지정가치를 상실하였기에 자연유산(천연기념물) 지정을 해제하고자 함

2.5. 명승

<colbgcolor=#315288><rowcolor=#fff><colcolor=#fff> (구)지정번호 이름 지정일 지정해제일 지정해제 사유 비고
4호 해남대둔산일원 사적 및 명승 제9호로 지정 변경
5호 승주송광사선암사일원 사적 및 명승 제8호로 지정 변경
35호 성락원 명승 제118호 성북동 별서로 재지정

2.6. 국가무형유산

2.7. 국가민속문화유산


[1]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원위치에서 옮겨졌음에도 계속 사적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독립문, 영은문 주초, 삼전도비 등의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