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3 20:21:16

월정사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31916>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rowcolor=#231916>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rowcolor=#231916>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rowcolor=#231916>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선암사
<rowcolor=#231916>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월정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평창군 CI_White.svg 평창군의 관광
오대산용평리조트휘닉스 평창알펜시아월정사

파일:종교표지_불교_흰색.png 일제강점기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오대산 월정사
五臺山 月精寺 | Woljeongsa
파일:월정사.jpg
<colbgcolor=#B9A26A><colcolor=#ffffff> 설립일 643년
소속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지 스님 정념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동산리 63-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가람
3.1.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3.1.1. 외부 링크3.1.2. 국보 제48-1호
3.2.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3.2.1. 외부 링크3.2.2. 국보 제48-2호
4. 대장경 판본5. 기타
5.1. 조선왕조실록 관련5.2. 국보 제292호

[clearfix]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 내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이다.

고려시대석탑인 팔각구층석탑으로 유명하다.

2. 역사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자장이 중국에서 유학하던 시절에 문수보살을 만난 뒤 다시 문수보살을 만나고자 정진하던 터라는 전설이 있다. 자장과 선덕 콤비는 황룡사 목탑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그 뒤 고려 충렬왕 33년(1307년) 화재로 절 전체가 타버린 것을 다시 재건했고, 조선 순조 33년(1833년) 또 다시 다 타버린 것을 헌종 10년(1844년)에 다시 중건했다.

2.1. 6.25 전쟁~현재

월정사는 6.25 전쟁 당시 우리 손으로 불태운 절이다. 1951년 1.4 후퇴 당시 대한민국 국군이 월정사를 불태우고 내려갔던 것이다. 북한군이 이 에 머물 것을 우려했던 것인데, 청야전술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전술적으로는 효과가 있었으나 문화재 보존이라는 측면에서는 재평가가 필요하다.

하여간 불에 타거나 녹아내리는 것들은 모두 사라졌다. 모든 전각과 1948년 선림원지 터에서 발견되어 이곳에서 보관하던 국보 416호였던 신라시대 동종까지도 녹아 없어졌으며, 남은 거라곤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과 전각의 기단, 석조보살좌상 하나 뿐이었다.

1977년 12월 25일부터 1978년 2월 21일까지 탄허스님이 화엄법회를 열었다. 이 화엄법회는 탄허스님이 연 특강이다. 당시 촉망받던 전국의 학승 67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에는 2023년 기준 현 조계종 종정인 성파스님도 있었다.

3. 가람

가람 배치는 일반적인 신라 시대 양식과는 달리 탑을 둘러싸고 부속 건물이 세워져 있다. 분황사처럼 고구려 가람배치에 더 가깝다. 분황사와 다르게 탑을 바라보고 있는 월정사는 특히 더 그렇다. 가운데의 탑은 국보 제 48-1호인 다각다층탑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이다.

지금의 건물은 한국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어 1964년 이후로 새로 중창한 것이다. 월정사의 금당(사찰의 본존불을 모신 중심건물)인 적광전(寂光殿)의 원 이름은 칠불보전(七佛寶殿)이었다. 아마 불상 7좌를 모셔서 '칠불'이라 했겠지만 화재로 전각이 불타며 다 없어진 탓에 이름을 바꾸었을 것이다. 한국 불교의 전통에서는 '적광전'이라는 이름은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에 붙이지만, 현재의 월정사 적광적에는 석가모니불상 한 좌만 안치하였다. 군사정권 시절 고승으로 이름난 탄허(1913-1983)가 석가모니가 비로자나불과 둘이 아니라고 주장하여 '적광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 외에도 한국전쟁을 견디고 남았던 석조보살좌상(국보 제48-2호)이 유명하다.

3.1.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48-1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소재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동산리)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고려시대 후기
파일:월정사팔각구층석탑.jpg
<colbgcolor=#315288>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석탑으로 송나라의 탑 양식에 영향을 받았다.[1] 또한 정릉사청암리 사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고구려계열의 석탑으로도 보는데 고구려계의 목탑과 같은 팔각형의 형태도 있다. 가람배치도 그렇고, 탑도 그렇고, 고구려계의 절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 남한에는 이와 같은 탑이 남양주 수종사에 있는 팔각오층석탑만 있다.[2]

팔각구층석탑은 그 자체 형상도 대단히 화려하고, 고려 귀족문화를 반영하듯 풍경이나 머리장식 등에서 드러나듯이 장식적으로도 발달해있다. 또한 탑은 높이 15.2 m로 결코 작지 않은 데다가, 위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일반적인 탑의 모양과는 달리 아래층 지붕과 위층 지붕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각 층 간의 높이나 전체적인 비례가 상당히 조화롭게 디자인되어 단지 높다는 인상을 주지 균형감이나 안정감이 약하다는 느낌은 덜하다.

한 가지 불행 중 다행인 점은, 월정사의 다른 건물들이나 문화재들이 한국 전쟁의 화마에 모두 완전 소실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팔각구층석탑의 풍경 장식(청동제이다)이나 탑의 맨 꼭대기 지붕돌 위에 있는 머리장식(금동제이다)의 형태가 완벽하게 남았다는 것이다.[3] 이렇게 살아 남은 장식들은 고려시대 석탑이나 금속공예 등의 관련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큰 도움이 되고 있다.[4] 탑에 달린 장식들이 청동이나 금동으로 만들어져서 큰 화재에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절이 전소되는 와중에도 천만다행으로 살아 남은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일찍이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8호로 지정되었다가, 석조보살좌상이 국보로 승격 지정되면서 제48-1호로 재지정되었다.

3.1.1. 외부 링크

3.1.2. 국보 제48-1호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석탑이 우리나라 북쪽지방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시 불교문화 특유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착실하여 다각다층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을 통해 금속공예의 수법을 살필 수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3.2.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48-2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平昌 月精寺 石造菩薩坐像
소재지 강원도 평창군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정연도 2017년 1월 2일
제작시기 고려 전기
파일:월정사석조보살좌상.jpg
<colbgcolor=#315288>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팔각구층석탑을 향해 두 손을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게 배치되어 있던 1.8m 크기의 석조불상이다. 원래 팔각구층석탑을 바라보게 석탑 앞에 모셔져 있었으나, 현재는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원래 석조보살좌상이 있던 자리에는 새로 만든 보살상 복제품을 모셔놨다.
파일:external/intl.ikorea.ac.kr/file_2_1328062610.jpg
우하단에 석조보살좌상의 뒷모습이 보인다.

석조보살좌상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어 제작연대는 알 수 없지만 팔각구층석탑과 함께 세트로 만들어졌거나 월정사가 건립된 11~12세기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보살인지도 불명확한데, 약왕보살 또는 문수보살 등으로 추정된다.

머리에는 높은 관을 쓰고 있으며 앞으로는 두 손을 모으고 있다. 그리고 대좌 위에 앉아서 오른다리 무릎은 땅에 대고 왼다리 무릎은 세우고 모여 있는 손의 왼팔은 세워진 왼다리 무릎에 올려져 있다. 전면에 모인 두 손 사이로는 구멍이 뚫려 있는데, 여기에 무언가를 꽂아 보살이 이를 탑에 바치는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머리가 몸통에 비해 다소 크게 만들어져 있어서 불상의 전체적인 비례가 잘 맞는 편은 아니지만, 조각 기법은 우수하다. 희미한 미소를 띄고 있는 보살의 표정, 머리에 새겨진 머리카락과 귀걸이 또는 몸통에 새겨진 복식 같은 장식들은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몸통에 비해 머리가 큼에도 불구하고 보살이 앉아 있는 자세도 안정감 있게 잘 구성되어 있다.

월정사 석조보살좌상과 비슷한 불상은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국보 제35호)과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보물 제87호)외에 논산 개태사, 원주 법천사지 등에서 드물게 보이고 있다. 이런 불상들은 모두 사람 또는 보살 형태의 공양상이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처럼 탑을 향해 앉아 있다. 탑 앞에 불상을 두는 이러한 배치 형태는 한반도 외에선 상당히 드문 형태이며, 한반도 내에서도 강원도 외의 다른 지방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는데, 강원도 지방 사찰의 독창적인 특징으로 여겨진다.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본래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2017년 1월 2일 국보 제48-2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문화재청은 국보 승격 사유로 '보살상과 세트로 조성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국보 제48호로 지정되어 있고, 석조보살상은 보물 제139호로 별도로 지정되어 별개라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이미 국보로 지정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함께 묶어 국보로 지정하는 것이 조성 당시의 조형적, 신앙적 의미를 모두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히고 있다.

3.2.1. 외부 링크

3.2.2. 국보 제48-2호

월정사 석조보살상은 팔각구층석탑의 남쪽 전방에 무릎을 꿇고 앉아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탑을 향해 무엇인가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갖추고 있는 점에서, 원래부터 탑과 공양보살상은 한 세트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 보살상은 고려 후기민지(閔漬, 1248∼1326)가 찬한『오대산사적(五臺山事蹟)』의 「신효거사친견오류성중사적(信孝居士親見五類聖衆事跡)」에 “탑 앞에 약왕보살의 석상이 손에 향로를 들고 무릎을 괴고 앉아 있는데, 전해오기를 이 석상은 절 남쪽의 금강연에서 솟아나왔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지금의 모습과 꼭 일치한다. 이에 따라 이 보살상은 대체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권6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 근거하여 조성된 ‘약왕보살’로 일컫는다. 석조보살상은 전체적으로 양감이 강조된 모습이며, 안정되고 균형 잡힌 자세와 알맞은 비례를 갖추고 있으며, 보관과 귀걸이, 팔찌, 가슴 영락 장식 등 세부표현도 화려하고 섬세하다. 이와 같은 탑전(塔前) 공양보살상은 이전에는 찾기 힘든 고려 전기적 특징인 동시에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또한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어 고려 불교조각의 지역성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보살상과 세트로 조성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국보 제48호로 지정되어 있고, 석조보살상은 보물 제139호로 별도로 지정되어 별개라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이미 국보로 지정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함께 묶어 국보로 지정하는 것이 조성 당시의 조형적, 신앙적 의미를 모두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대장경 판본

월정사에는 유명한 책이 하나 있다. 해인사 대장경판(팔만대장경판)을 가지고 찍어낸 대장경으로, 근처 상원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것을 월정사로 옮긴 것이다. 단, 보통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는 것은 해인사에 있는 '팔만대장경판'이며, 이것은 책이 아니라 인쇄를 위한 목판이다.

월정사에 있는 판본은 조선 고종 2년(1865)에 찍은 것이다. 팔만대장경의 판본은 남아있는 것이 몇 개 전하지 않는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4호.

5. 기타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75호인 황해남도 신천군 구월산의 월정사와는 다른 절이다. 이쪽은 846년 창건하였다.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이 유명하다.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1km 남짓한 길이의 길로서 오대산으로 들어가는 산문(山門) 역할을 한다. 이 길 주위로 1700여 그루의 전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어 멋진 광경을 연출하고 있다.

2004년 9월부터 월정사 단기출가학교를 운영하고 있는데, 1달여 동안 삭발염의를 하고 스님이 되기 위한 예비과정인 행자생활을 완벽하게 체험해 볼 수 있다. (3시 기상, 9시 취침) 삭발은 남성 필수, 여성은 선택이다. 1달 동안 묵언(말을 하지 않는 것)이 기본 규칙이고, 외부와의 연결 또한 완전하게 단절되고, 식사 역시 불교식 채식만 가능하며, 김치에 젓갈이 들어가지 않아 적응이 힘들 수 있다. 12주년이 되는 2016년부터는 기존의 단기출가학교(1개월 내외) 외에도 마음출가학교(7박8일), 황혼기출가학교(7박8일), 청년출가학교(7박8일), 주부여성출가학교(3박4일), 외국인출가학교(2박3일), 장기출가학교(6개월 이상)를 운영하고 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동계패럴림픽 홍보영상에도 배경으로 나온다.

5.1. 조선왕조실록 관련

조선왕조실록의 오대산 사고에 부속사찰격이 되어 자못 위세가 대단했다고 한다. 오대산본은 일제강점기 일본에 유출됐다가 대부분 유실되고 겨우 영구임대 식으로 반환, 국립고궁박물관이 갖고있다가 2023년 11월 인근 조선왕조실록박물관에 인도됐다. 항목 참조.

5.2. 국보 제292호

세조 10년(1464)에 당대의 고승인 신미대사, 학열대사, 학조대사 세 명이 세조를 위하여 인근의 절인 오대산 상원사를 중수하며 지은 글이다.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북송 당시 카이펑(개봉)에 있었던 왕실 소유 사찰인 개보사(開寶寺)의 탑의 모형과 유사한 점이 그렇다.[2]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졌다.[3] 물론 탑에 손상이 전혀 없던 것은 아니다. 이전부터 입어온 손상들이 누적되어 왔으며 특히 한국 전쟁 때 발생한 화재로 입은 손상이 커서 이로 인해 1970년 탑의 전면 해체수리를 하였다. 이 해체수리 중에 탑이 건립될 때 넣은 여러 유물들(사리장엄구)이 탑 내부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팔각구층석탑에서 발견된 본 유물들은 보물 제1375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로 지정되었다.[4] 머리장식이나 풍경들이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확실한 보증은 없으며, 이후에 손상을 입고 다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그러하더라도 처음 제작될 당시의 형태를 모방하여 다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 원래의 형태를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원형이 변형되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