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95호 |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
수량/면적 | 1점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시대(12세기) |
<colbgcolor=#315288>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clearfix]
1. 개요
靑磁 透刻七寶文蓋 香爐.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는 고려 시대인 12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청자 향로다.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라는 이름을 풀이해 보면, 뚜껑에 칠보문을 투각 기법으로 새겨넣은 청자로 된 향로이라는 뜻이다. 칠보문(七寶文)은 칠보 문양이라는 것인데, 여기에서 말하는 칠보는 본래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1]이 가지는 일곱가지 보물을 가리킨다.[2] 그리고 이를 상징하는 문양이 칠보문이었다. 하지만 칠보문은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그 의미가 변경되어 길상문의 성격으로 주로 사용된다.[3] 길상문으로서의 칠보문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고리모양 네개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기하학적 문양이며, 조합된 형태와 도안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4] 본 향로의 뚜껑에 사용된 문양은 이 중에서 '전보(錢寶)'이다. 마지막으로 투각(透刻) 기법은 원재료를 완전히 뚫거나 도려내어 그림이나 무늬를 표현하는 조각 기법으로,[5] 입체적인 인상을 준다.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의 출토지나 입수 경위와 같은 관련 정보에 대해선 딱히 전해지는 바가 없어 정확한 제작시기 등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본 향로의 제작 수준이 뛰어나고 외형이 아름답고, 받침이 두 동강이 나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존상태도 꽤나 양호하여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명품 향로 유물로 꼽힌다. 또한 이름에는 다 들어가진 않았지만 본 향로는 투각 기법 외에도 음각, 양각, 퇴화, 상감, 첩화, 상형 등 가능한 모든 장식 기법이 총동원되어 12세기 고려의 절정에 오른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귀한 유물로 평가된다.[6]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는 1962년에 국보 제95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모습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원형의 구체 표면에 기하학적 문양의 구멍이 나있는 뚜껑이다. 다만 이 원형의 구체만이 뚜껑은 아니다. 이 부분은 뚜껑의 손잡이이자 향이 빠져나가는 구멍으로, 뚜껑 자체는 이 구체형 손잡이와 둥근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둥근 판의 중심부에는 향로 몸체에서 피운 향의 연기가 구체형 손잡이로 빠져나갈 수 있게 구멍을 역시 뚫어놨다. 뚜껑 손잡이에 나있는 기하학적 문양의 구멍들은 투각 기법으로 만든 것으로, 칠보문 중에 '복(福)'을 상징하는 '전보(錢寶)' 문양 도안에 따라 만들어졌다.[9] 이 전보 문양은 여러 원들이 상하좌우로 겹쳐진 형태인데, 원이 겹쳐지는 교차점마다 하얀색 흙인 백토를 상감기법으로 장식했다.[10]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인상을 주면서도 섬세하게 포인트를 살려서 디테일까지 잘 챙겼다고 할 수 있다.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의 뚜껑과 몸체 내부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받침 밑바닥 |
향로의 토끼 모양 다리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에 대해서 딱히 내려오는 정보는 없어서 언제 어디서 만들었을지 명확하지는 않다. 하지만 본 향로의 제작 방식이 주로 전라남도 강진군과 부안군 일대에 있는 고려청자 도요지[18]에서 만들어진 것들과 일치한다는 점과[19] 본 향로와 비슷한 파편이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의 도요지에서 발견된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역시 이 지역에서 만들어졌으리라 짐작한다. 또한 그 세련된 형태로 보아 아마도 고려청자 제작이 최전성기를 이루었던 12세기 경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한다.[20]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는 그 아름다운 형태가 잘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상이한 형태를 완성도 높게 잘 결합해서 하나의 완성된 조형물로 표현해냈다는 점에서 미적인 가치가 높고,[21] 받침이 깨지긴 했지만 전체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데다, 공예 장식 기법이 아주 다양하게 사용되어 고려시대의 세련되고 뛰어난 청자 제작 수준을 보여주는 명품 공예품으로서의 가치 등을 높게 인정 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95호로 지정되었다.
3. 기타
400원 보통우표[22] | 400원 보통우표[23] | 300원 기념우표[24] |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는 1981년 11월 14일, 1983년 7월 20일에 발행된 400원권 보통우표와 2016년 6월 3일 발행된 300원권 한국-프랑스 수교 130주년 기념우표의 도안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와 비슷한 작품으로 미국의 보스턴 박물관에 소장된 청자상감칠보투각향로가 있다. 13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청자 사자 장식 향로와 청자 투각 칠보 무늬 향로
- 한국 미의 재발견 - 도자공예: 청자 투각 칠보문 향로
- 두산백과: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5. 국보 제95호
고려 전기의 청자 향로로, 높이 15.3㎝, 대좌지름 11.2㎝의 크기이며 뚜껑과 몸통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향이 피어올라 퍼지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球形) 부분과 그 밑에 받침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형 부분 곳곳의 교차 지점에는 흰 점이 하나씩 장식되어 있다. 몸통은 두 부분으로 윗부분은 둥근 화로 형태인데, 몇 겹의 국화잎으로 싸여있고 다시 커다란 국화잎이 이를 받치고 있다. 아래 부분은 향로 몸체를 받치고 있는 대좌로, 3 마리의 토끼가 등으로 떠받들고 있다. 대좌의 옆면에는 덩굴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토끼의 두 눈은 검은 점을 찍어서 나타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광택이 난다.
이 작품은 상감청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고려 청자에서는 드물게 다양한 기교를 부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공예적인 섬세한 장식이 많은 듯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이 잘 잡힌 안정감 있는 뛰어난 청자 향로이다.
뚜껑은 향이 피어올라 퍼지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球形) 부분과 그 밑에 받침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형 부분 곳곳의 교차 지점에는 흰 점이 하나씩 장식되어 있다. 몸통은 두 부분으로 윗부분은 둥근 화로 형태인데, 몇 겹의 국화잎으로 싸여있고 다시 커다란 국화잎이 이를 받치고 있다. 아래 부분은 향로 몸체를 받치고 있는 대좌로, 3 마리의 토끼가 등으로 떠받들고 있다. 대좌의 옆면에는 덩굴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토끼의 두 눈은 검은 점을 찍어서 나타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광택이 난다.
이 작품은 상감청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고려 청자에서는 드물게 다양한 기교를 부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공예적인 섬세한 장식이 많은 듯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이 잘 잡힌 안정감 있는 뛰어난 청자 향로이다.
[1] 참조: 두산백과 - 전륜성왕[2] 정확히는 다음과 같다.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如意珠寶)',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主藏臣寶)'.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용어 모음 - 칠보문[3] 길상문(吉祥紋)이란 행복과 길함을 상징하는 문양을 말한다. 참조: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 길상문[4] 7가지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전보(錢寶)', '서각보(犀角寶)', '방승보(方勝寶)', '화보(畫寶)와 서보(書寶)', '애엽보(艾葉寶)', '경보(鏡寶)', '특경보(特磬寶)'. 출처: 미술대사전(용어편) - 칠보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칠보문[5] 출처: 두산백과 - 투각[6]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7] 참고문헌들마다 향로의 전체 높이의 크기는 동일하게 표기하고 있지만(15.3cm) 나머지 세부사항에 관해선 서로 제각각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를테면, 문화재청와 한국민족대백과의 경우는 높이 15.3cm, 대좌지름 11.2cm로, 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는 전체높이 15.3cm 및 지름 11.5cm로, 두산백과의 경우는 전체높이 15.3cm, 노신 높이 9.9cm, 노대 지름 12.4cm, 노신 지름 10.1cm, 뚜껑 높이 6.9cm, 뚜껑 지름 7cm로 밝히고 있다. 여기서는 문화재청이 밝힌 제원을 따르도록 한다.[8] 또는 화사(火舍)라고도 한다.[9]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투각 칠보문 향로[10] 상감(象嵌)기법이란 흙으로 도자기를 빗어낸 뒤에 칼로 흙표면에 문양을 새기고 이 홈을 백토(하얀 흙)나 흑토(검은 흙)와 같이 색이 있는 흙으로 채우고 유약을 발라 도자기를 구워서 완성시키는 방식의 세공 기술을 말한다.[11]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투각 칠보문 향로[12] 향로 받침에 여섯 개의 잎의 끄트머리만 살짝 붙어 있어서 그 사이에 빈 공간이 있다.[1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14] 덩굴무늬로 아라베스크의 일종이다.[15] 토끼의 두 눈은 흑토(검은 흙)로 점을 찍는 퇴화(堆畵)기법으로 나타냈는데, 퇴화기법이란 흑토과 백토(흰 흙) 등을 물감처럼 물에 풀어 갠 뒤 이걸로 무늬나 그림 등의 문양을 그리고 그 위에 유약을 바르는 기법이다.[16]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 청자 사자 장식 향로와 청자 투각 칠보 무늬 향로[1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18] 陶窯址=요지 또는 가마터[19] 청자를 구울때, 바닥에 받침을 대고 굽는다. 그리고 이렇게 굽는 과정에서 받침재료가 청자 몸체에 붙어서 받침의 흔적이 남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강진과 부안 일대의 도요지에서 청자를 만들 때 받침으로 규석을 잘게 부순 것을 썼는데, 본 향로에 사용된 받침의 흔적을 조사하니 여기서 만든 청자들에 남아있는 흔적과 그 재질이 일치한다.[2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21]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투각 칠보문 향로[22] 1981년 발행[23] 1983년 발행[24] 2016년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