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66, #330066 20%, #330066 80%, #330066);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서리 | |
이시영 | 남형우 | 안창호 | 신익희 | ||
제4대 | 제5대 | 서리 | 제6대 | ||
신규식 | 홍진 | 김갑 | 오영선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유필 | 조상섭 | 이동녕 | 조상섭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이동녕 | 양기탁 | 이동녕 | 최동오 |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이시영 | 박찬익 | 최동오 | |||
대한민국 법무부장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66, #330066 20%, #330066 80%, #330066);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신석우 | 문창범 | 신석우 | 남형우 | ||
제5대 | 서리 | 제6대 | 서리 | ||
문창범 | 김철 | 남형우 | 김철 | ||
제7대 | 제8대 | 서리 | 제9대 | ||
손정도 | 이척 | 김규면 | 노백린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조상섭 | 김갑 | 김철 | 최동오 | ||
제14대 | |||||
유동열 |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장관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 최학원(崔學源), 지석호(池錫浩) |
호 | 의산(義山) |
본관 | 해주 최씨 |
출생 | 1892년 6월 22일 |
평안도 의주부 월화면 마룡동 (現 평안북도 피현군 용흥리) | |
사망 | 1963년 9월 16일 (향년 71세) |
평양시 남산병원 | |
본관 | 해주 최씨 |
가족 | 아들 최덕신 손자 최건국, 최인국 |
묘소 | 애국렬사릉 |
국립서울현충원 무후선열 위패-212호 | |
상훈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북한 정치인.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2. 생애
1892년 6월 22일 평안도 의주부 월화면 마룡동(現 평안북도 피현군 용흥리)에서 태어났다.1919년 3.1 운동 당시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면 남문동(現 의주군 의주읍) 의주읍성 남문 밖 거리에서 최안국(崔安國)과 함께 군중들을 이끌고 만세시위를 주도했고, 3월 3일에는 기독교계 인사들과 공동으로 만세시위를 전개하기 위해 독립민회를 결성한 뒤 간사에 취임했다. 이튿날인 3월 4일 양실학원(養實學園)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던 중 일본 제국 육군 헌병대에 체포돼 1개월간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었다.
석방 후 그해 10월 중화민국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장, 국민부 외교위원장, 화성의숙 숙장 등을 역임했다. 당시 화성의숙에서 김일성이 배우러 다녔다. 김일성이 26년 겨울까지 약 6개월 화성의숙에 있을 때[2] 최동오는 김일성을 자기 집으로 불러 밥을 먹이는 등 마치 아들 돌보듯 아꼈다고 한다.# 이 인연으로 한국전쟁 발발했을 때 김일성이 납북 혹은 모시겠다고 설득했다고 한다.
해방 이후 남한에서 과도입법의원 부의장, 민족자주연맹 상무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48년 4월,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했다.
1950년 5월, 남한에서 체포되어 수감 도중 6.25가 발발하였고 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한 후 앞서 말한 김일성의 설득과 함께 납북됐다. 이후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무위원에 선출, 1963년 9월 16일 평양시 남산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이후 시신은 애국렬사릉에 애국지사 직함으로 안장되었으며 1990년 8월 15일,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 이후 아들 최덕신도 월북 후 김일성에게 극진한 특별대우를 받으며 북한 내 단체 간부를 하다가 죽었고 부친처럼 애국렬사릉에 묻혔다. 한편,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1991년 11월 22일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최동오를 기리는 무후선열 위패가 봉안되었다.
3. 둘러보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관선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민중동맹 | 조선인민당 | 한국독립당 | ||
| | | 최동오 | | |
신진당 | 조선인민당 | 서북대표 | |||
김봉준 | 홍명희 | | | | |
조선인민당 | 조선인민당 | 근로대중당 | |||
| | | | | |
변호사 | 애국부인회 | 여자국민당 | |||
이봉구 | | 황신덕 | 박승호 | 박현숙 | |
사회민주당 | 언론계 | ||||
| | | 장연송 | | |
서북대표 | 신진당 | 서북대표 | |||
| | | | | |
기독교청년회 | 가톨릭 | 사회노동당 | |||
변성옥 | | 김법린 | 장면 | 장건상 | |
한국독립당 | 한국독립당 | 서북대표 | |||
조완구 | | | 엄항섭 | | |
민중동맹 | 한국독립당 | 한국민주당 | |||
| | 이순탁 | 엄우룡 | | }}} }}}}}} |
4. 참고문헌
- 조선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