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04 17:36:00

테리 콜린스

테리 콜린스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d62><tablebgcolor=#002d62>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휴스턴 애스트로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휴스턴 콜트 포티파이브즈 시대 (1962~1964)
초대
해리 크래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62~1964
파일:휴스턴 콜트 포티파이브즈 엠블럼.gif
휴스턴 애스트로스 시대 (1965~ )
2대
루먼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4~1965
3대
그레이디 해튼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8
4대
해리 워커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72
5대
솔티 파커
파일:미국 국기.svg
1972
6대
레오 듀로셔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3
7대
프레스턴 고메즈
파일:쿠바 국기.svg
1974~1975
8대
빌 버든
파일:미국 국기.svg
1975~1982
9대
밥 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2~1985
10대
할 레이니어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88
11대
아트 하우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3
12대
테리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4~1996
13대
래리 디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97~1999
14대
맷 갈란테
파일:미국 국기.svg
1999
13대
래리 디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99~2001
15대
지미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2~2004
16대
필 가너
파일:미국 국기.svg

2004~2007
17대
세실 쿠퍼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09
18대
데이브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2009
19대
브래드 밀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0~2012
20대
토니 데프란체스코
파일:미국 국기.svg
2012
21대
보 포터
파일:미국 국기.svg
2013~2014
22대
톰 로우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4
23대
A.J. 힌치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19
24대
더스티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3
25대
조 에스파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24~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1년 ~ 현재
1대
빌 리그니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9)
2대
레프티 필립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1)
3대
델 라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2)
4대
바비 윙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3~1974)
5대
화이티 허조그
파일:미국 국기.svg
(1974)
6대
딕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6)
7대
놈 셰리
파일:미국 국기.svg
(1976~1977)
8대
데이브 가르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9대
짐 프레고시
파일:미국 국기.svg
(1978~1981)
10대
진 모크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1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4)
10대
진 모크
파일:미국 국기.svg
(1985~1987)
12대
쿠키 로하스
파일:쿠바 국기.svg
(1988)
13대
무스 스터빙
파일:미국 국기.svg
(1988)
14대
더그 레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1)
15대
벅 로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1~1992)
16대
존 와탄
파일:미국 국기.svg
(1992)
15대
벅 로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4)
17대
마르셀 라케만
파일:미국 국기.svg
(1994~1996)
11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96)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1996)
19대
테리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7~1999)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1999)
20대
마이크 소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2000~2018)
21대
브래드 어스무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9)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2)
22대
필 네빈
파일:미국 국기.svg
(2022~2023)
23대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2024~)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19><tablebgcolor=#000019>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6년 ~ 현재
1대
미야케
파일:일본 국기.svg
(1936~1937)
2대
무라카미
파일:일본 국기.svg
(1937)
3대
야마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38~1939)
4대
무라카미
파일:일본 국기.svg
(1939)
5대
야마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40)
6대
이노카와
파일:일본 국기.svg
(1940~1942)
7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43~1947)
8대
하마자키
파일:일본 국기.svg
(1947~1953)
9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54~1956)
10대
후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57~1959)
11대
토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1959~1962)
12대
니시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63~1973)
13대
우에다
파일:일본 국기.svg
(1974~1978)
14대
카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79~1980)
15대
우에다
파일:일본 국기.svg
(1981~1990)
16대
도이
파일:일본 국기.svg
(1991~1993)
17대
오기
파일:일본 국기.svg
(1994~2001)
18대
이시게
파일:일본 국기.svg
(2002~2003)
19대

파일:미국 국기.svg
(2003)
20대
이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
21대
오기
파일:일본 국기.svg
(2005)
22대
나카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
23대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08)
24대
오이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8~2009)
25대
오카다
파일:일본 국기.svg
(2010~2012)
26대
모리와키
파일:일본 국기.svg
(2013~2015)
27대
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2018)
28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2020)
29대
나카지마
파일:일본 국기.svg
(202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2d72>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뉴욕 메츠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1962~
1대
케이시 스텡겔
파일:미국 국기.svg
1962~1965
2대
웨스 웨스트럼
파일:미국 국기.svg
1965~1967
3대
설티 파커
파일:미국 국기.svg
1967
4대
길 호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71
5대
요기 베라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5
6대
로이 맥밀란
파일:미국 국기.svg
1975
7대
조 프레이저
파일:미국 국기.svg
1976~1977
8대
조 토레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81
9대
조지 뱀버거
파일:미국 국기.svg
1982~1983
10대
프랭크 하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1983
11대
데이비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90
12대
버드 해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90~1991
13대
마이크 커베이지
파일:미국 국기.svg
1991
14대
제프 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3
15대
댈러스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1993~1996
16대
바비 발렌타인
파일:미국 국기.svg

1996~2002
17대
아트 하우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4
18대
윌리 랜돌프
파일:미국 국기.svg
2005~2008
19대
제리 마누엘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20대
테리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17
21대
미키 캘러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2018~2019
22대
카를로스 벨트란
파일:미국 국기.svg
2020
23대
루이스 로하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0~2021
24대
벅 쇼월터
파일:미국 국기.svg
2022~2023
25대
카를로스 멘도사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4~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파일:external/www.bloggingmets.com/terry-collins-mets.jpg
테리 리 콜린스
Terry Lee Collins
생년월일 1949년 5월 27일 ([age(1949-05-27)]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신지 미시간주 미들랜드
포지션 2루수,유격수,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71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461번, PIT)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마이너 (1971~197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1974~1978)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198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1984)
지도자 피츠버그 파이리츠 불펜코치 (1992~1993)
휴스턴 애스트로스 감독 (1994~1996)
애너하임 에인절스 감독 (1997~1999)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코치 (2001)
오릭스 버팔로스 감독 (2007~2008)
뉴욕 메츠 감독 (2011~2017)
수상이력 스포팅뉴스 올해의 MLB 감독상(2015)[1]

1. 개요2. 선수시절3. 지도자 시절4. 감독 성적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뉴욕 메츠의 전 감독.

2. 선수시절

미시건 주 출신으로, 이스턴 미시건 대학교를 졸업하고 1971년 드래프트에 나와 전체 461번으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지명을 받았다. 지명된 후 피츠버그 산하 마이너와 다저스 산하 마이너에서 10년간 뛰었으나 메이저에는 올라오지 못하고 선수생활을 마감하였다. 통산 671경기 출장에 타율 .251을 기록하였다.

3. 지도자 시절

은퇴 후 1981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팀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1992년 짐 릴랜드 감독이 이끄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불펜코치로 선임되어 1993년 시즌까지 활동하였다. 1993년 시즌 이후 당시 휴스턴 애스트로스 감독 아트 하우(Art Howe)가 해임되자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휴스턴은 3시즌 연속 2위를 마크하면서 번번히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해 1996년 시즌 후 그는 휴스턴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 이 후 애너하임 에인절스의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감독 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으나, 애너하임에서도 처음 두 시즌을 2위로 마치면서 개인 통산 5년 연속 PO탈락을 맛보았고, 1999년 시즌에는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인해 제자리 꼴찌로 추락하고, 몇몇 선수들의 항명파동까지 터지는 최악의 흑역사를 남기며 29경기를 남긴 시점에서 자진사임하였다.[2]

2001년 시즌에는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의 코치를 맡았고, 2006년 시즌 후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버팔로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성적 부진으로 인해 2008년 5월 21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교류전 후 자진사임하였다.[3] 오릭스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중국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2010년 시즌에는 뉴욕 메츠 마이너 코디네이터로 일하였고, 2010년 11월 23일 메츠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1년 9월 27일 클럽 옵션이 실행되었고, 2013년 9월 메츠와 2년 연장계약을 맺었다. 2014년 12월 23일 기준 메츠에서의 성적은 304승 344패 승률 .469.

감독으로서의 평가는 꽤 좋지 않은 편. 전략적으로 뛰어나지 않으며 무엇보다 혹사 논란이 상당한 편이다. 맷 하비의 토미존 수술을 비롯, 카를로스 토레스의 13-14시즌 혹사와 15시즌 폭망에 대해 책임이 있다는 평가이며, 15시즌 현재 마무리 쥬리스 파밀리아 역시 14시즌 부터 15시즌 정규시즌은 물론 포스트시즌까지 엄청나게 굴리고 있다.[4] 결국 디비전 시리즈,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도 거의 매경기 등판에 2이닝, 1+이닝 세이브를 했던 파밀리아는 월드시리즈에서 3블론이라는 역대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5차전처럼 수비수의 실책으로 망한 경기도 있지만 콜린스 감독 역시 6점차에서도 파밀리아를 내보내는 등 패배에 책임이 있다고 봐야 한다.

2016시즌 들어서는 부상이 있는 노아 신더가드스티븐 마츠를 혹사시키고 있어 팬들에게 대차게 까이고 그러고도 8월 6일 디트로이트와의 경기에서 신더가드를 112개나 던지게 하는 짓까지 저질렀다. 8월 9일(현지시간 기준) 애리조나와의 홈경기에서 부상을 달고 뛰는 스티븐 마츠를 6이닝 동안 무려 120개나 던지게 했다. 그러고 팀은 지니 까임도 2배. 8월 12일 애리조나와의 경기에서 9:0 대패를 당한 후 한 기사에서 '선수들이 열정이 없다.'라며 깠다.

팀성적이 바닥이었던 8월에는 경질설까지 돌았었으나 9월 이후 성적이 반등하면서 와일드카드에 진출하였다. 팬들 역시 '사람은 나름 됨됨이가 훌륭한데 제발 혹사만 좀...'이라는 반응. 2017년에는 부상으로 망가진 팀을 이끌면서 고생 중이신데, 시즌 종료 후 감독 자리에서 은퇴를 할 예정이다. 나이도 적지 않아서 이제는 노후를 보내시려는 듯. 내년 시즌에는 샌디 앨더슨 단장 보좌역을 담당하게 된다. 후임 감독으로는 현대 유니콘스의 용병으로도 한국에 잘 알려진 미키 캘러웨이가 선임되었다.

4.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1994 HOU 162 86 76 .531 지구 2위 DS 탈락
1995 162 84 78 .519 지구 3위 -
1996 162 82 80 .506 지구 2위 -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1997 LAA 22 8 14 .364 지구 4위 중도 취임
1998 29 19 10 .655 지구 4위 중도 취임
1999 29 19 10 .655 지구 4위 중도 취임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2011 NYM 60 26 34 .433 지구 4위 -
2012 162 77 85 .475 지구 3위 -
2013 162 85 77 .525 지구 3위 -
2014 162 96 66 .593 지구 1위 CS 탈락
2015 162 90 72 .556 지구 1위 WS 준우승
2016 162 89 73 .549 지구 2위 WC 탈락
2017 162 75 87 .462 지구 5위 -
총계 2012 995 1017 .495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color: #002D7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ff> A조 파일:중국 국기.svg
테리
콜린스
파일:대만 국기.svg

예치센
파일:일본 국기.svg
하라
다쓰노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B조 파일:호주 국기.svg

디블
파일:쿠바 국기.svg
히기니오
벨레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비니
카스티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그난테
C조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니
위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마치에리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
존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루이스
소호
D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리페
알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
델모니코
파일:파나마 국기.svg
엑토르
로페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호세
오켄도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svg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워드마크.svg
}}}}}}}}}}}} ||


[1] MLB 사무국과 별개로 미국의 스포츠 주간지 스포팅뉴스가 독자적으로 만든 시상식. 1936년부터 매년 열리며, 30개 구단 감독이 자신을 제외하고 가장 유능하다 생각하는 감독에게 투표하는 방식으로 수상자를 뽑는다. 그래서 기자단 투표로 뽑는 MLB 올해의 감독상에서 광탈한 감독들이 선정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2] 후임이 에인절스 역사상 최고의 감독인 마이크 소시아였고, 콜린스의 자진 사임후 임시 감독을 맡았던 벤치코치가 조 매든 現 시카고 컵스 감독이다.[3] 당시 오릭스의 야수인 고토 미쓰타카가 입단 첫해인 2002년과 2003년에는 배번호 49번, 2004년부터 배번호 1번을 달았으나 콜린스 감독이 배번 1번을 원하여 양보했을 때 일본 내 여론이 좋지 않았다. 고토는 2009년부터 다시 1번을 되찾아 달았다.[4] 애초에 이 사람 별명이 Drill Sergeant. 훈련교관이라는 뜻으로 하트만 상사의 그 보직 맞다. 이는 그가 해병대 출신이라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