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09:12:32

테베

1. 그리스의 도시, 고대 폴리스
1.1. 신화1.2. 역사
2. 이집트의 도시3. 목성의 제14위성

1. 그리스의 도시, 고대 폴리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상고대 미노스 문명
미케네 문명
암흑시대
고졸기
고대 고대 그리스
아테네 스파르타 테베 마케도니아 에페이로스 왕국
헬레니즘 제국
안티고노스 왕조
로마 제국
중·근세 동로마 제국
니케아 제국 라틴 제국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모레아 전제군주국
오스만 제국
근대 제1공화국
그리스 왕국
비텔스바흐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
제2공화국
그리스 왕국
글뤽스부르크 왕조
그리스국
그리스 망명 정부
현대 그리스 내전
그리스 왕국 | 그리스 공산당
그리스 왕국
글뤽스부르크 왕조
군사정권
제3공화국
}}}}}}}}} ||

Θῆβαι / Thebes

아테네 북서쪽, 중앙그리스 주에 속하는 그리스의 도시.

과거 그리스 중부 보이오티아의 도시국가(폴리스)이다.

이름인 Θῆβαι는 고전 그리스어로는 '테바이', 코이네 그리스어로는 '테베'라 읽는데, 여성 복수명사이다.# 현대 그리스에서는 Θήβα라고 쓰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고대 그리스 당시의 발음과 크게 차이 나게 되었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θíva](≒시바)로 읽는다. 고전 라틴어로도 그리스어 표현을 가져와서 테바이(Thebae)라고 읽는데, 역시 여성 복수명사로 취급한다. 영어로는 [θí:bz](≒십즈, 띱즈)이다. 현대어 발음을 실제로 들어보면 한국인에게는 묘한 어감특이한 지명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한국어로는 '테베'라고 주로 적고 일본어에서도 テーベ라는 표기가 나타나는데 αι를 'ㅔ'로 읽었던 코이네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표기이다. 다만 일본어에서는 고전 그리스어와 고대 라틴어의 영향으로 테바이(テーバイ)라고 적는 경우가 더 많다.

1.1. 신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테베 왕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리스 신화에서는 영웅 카드모스가 군신 아레스의 아들 드라콘 이스메니오스를 쓰러뜨리고 그 이빨을 땅에 뿌려 태어난 용아병들의 생존자들과 함께 카드메아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카드메아의 창건자 카드모스는 아레스 신의 분노를 사서 그 벌로 8년 동안 아레스의 노예로서 돌산을 옮기는 일을 하였다고 한다.

8년동안 돌산을 옮기는 일을 하면서 종살이를 끝낸 카드모스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딸 하르모니아와 결혼하였고, 또한 카드메아를 테베라는 이름으로 새로 지었다.

카드모스의 아내 하르모니아의 목걸이와 예복이 왕가에 전해졌는데 이를 소유한 여인들도 전부 불행해졌다. 그러나 이 목걸이에는 헤파이스토스가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에 대한 저주를 걸어두었는데, 이 목걸이 때문에 그 자손들이 모두 불행한 최후를 맞이했다고 전한다.

실제로 그리스 신화를 보면 테베가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오이디푸스 설화부터 다 비극이다.

스핑크스테우메소스의 여우 등 괴물로 몸살을 앓은 동네기도 하다.

1.2. 역사

보이오티아 동맹의 맹주로, 그리스에서 강력한 세력을 떨쳤던 테베는 페르시아 제국과 그리스 도시국가들 간의 전쟁 당시에는 한때 페르시아 제국을 편들어 아테네를 적대하기도 하였다.[1] 고전 시대에는 대체로 아테네, 스파르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양강의 대립 구도를 견제하는 제3세력을 유지할 정도의 능력은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페르시아 전쟁이 그리스 연합군의 승리로 돌아간 후 아테네스파르타가 중심이 된 그리스 연합군이 공격하면서 그들과 맞서 싸우다 참패한다. 이 패배로 테베는 아테네와 스파르타에 의해 보이오티아와 도시 국가들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맹주 자리에서 끌어내려지게 된다. 이때 스파르타는 테베를 그리스의 상호방위동맹에서 제명시키려 했으나 아테네의 만류와 중재로 테베는 제명을 면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아테네가 패권을 잃고 스파르타가 권력을 잡은 뒤로 보이오티아 동맹을 위주로 조용히 국력을 신장시킨다. 아테네와 같이 기원전 386년 코린토스 전쟁에서 스파르타를 상대로 선전했고, 기원전 371년 사선대형으로 유명한 명장 에파미논다스레욱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를 무찌르면서 한때 그리스의 패권을 장악했다. 하지만 에파미논다스의 사후에는 다시 내리막길.[2] 이후에도 신성부대로 대표되는 강력한 군사강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러나 필리포스 2세가 이끄는 마케도니아 왕국이 대두하면서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테베는 자랑하던 무적의 신성부대가 궤멸되는 참패를 맛보며 패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 싸움에서 신성부대는 사랑하는 동료들을[3] 전장에 버려두고 떠나지 못해 전멸할 때까지 싸웠고, 테베 시민들은 그들의 시체를 무덤에 합장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치세 초기인 기원전 335년에 다시 마케도니아에 대항하였으나 도시 전체가 파괴되어 완전히 몰락했다.(테베 공방전) 이후 카산드로스에 의해 재건된 뒤 고대 로마에 편입되었으나, 도시가 다시 해체되기도 했다. 신화만 비극인 게 아니라 역사도 비극. 그래도 명맥을 이어나갔으며, 중세시대에는 여러 정복자들에게 정복되었다가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며 이스테페(İstefe)로 불리기도 하는 등 여러모로 비극의 역사를 걸었다.

현대에는 인구 2만을 조금 넘는 평범한 읍 정도의 위치에 있으며, 19세기에 대규모 지진 피해를 입어 유적지가 상당수 파괴되었다.

2. 이집트의 도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룩소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목성의 제14위성

목성의 위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68245><colcolor=#fff> 내위성 <colcolor=#000,#fff>메티스 · 아드라스테아 · 아말테아 · #s-3
갈릴레이 위성 이오 · 유로파 · 가니메데 · 칼리스토
히말리아군 위성 (순행 1)레다 · 히말리아 · 에르사 · 판디아 · 리시테아 · 디아 · 엘라라 · S/2011 J 3 · S/2018 J 2
테미스토군 위성 (순행 2) 테미스토 카르포군 위성 (순행 3) 카르포S/2018 J 4 발레투도군 위성 (순행 4) 발레투도
아난케군 위성 (역행 3) 유포리에S/2003 J 4유페메S/2021 J 3S/2010 J 2S/2016 J 1므네메유안테S/2003 J 16하르팔리케오르토시에헬리케S/3003 J 12S/2017 J 7텔크시노에티오네S/2003 J 2아난케S/2022 J 3이오카스테헤르미페S/2017 J 9
카르메군 위성 (역행 2) LXXII · 헤르세 · 아이트네 · 칼레 · 타이게테 · LXI · 칼데네 · S/2003 J 10 · 에리노메 · 칼리코레 · LXVI · LXIX · 칼리케 · 카르메 · LXIII · 파시티 · LI · 유켈라데 · 아르케 · 이소노에 · S/2003 J 9 · 에이레네
파시파에군 위성 (역행 1) LXVII · 필로프로시네 · S/2003 J 23 · 아오에데 · 칼리로에 · 유리도메 · 코레 · 킬레네 · LVI · LIX · S/2003 J 4 · 파시파에 · 헤게모네 · 시노페 · 스폰데 · 아우토노에 · 메가클리테 · S/2003 J }}}}}}}}}
Thebe
테베
임시 명칭 S/1979 J 2
모천체 목성
공전 주기 약 16시간
지름 약 98.6km
발견 날짜 1979년 3월 5일
파일:220px-Thebe_-_January_4_2000_(26781645690).jpg
테베의 사진
테베(Thebe) 또는 목성 XIV는 목성의 제14위성이며 아말테아군에 속하는 내부 위성이지만 목성의 위성 중 7번째로 크다. 지름은 약 98.6km(116×98×84)다. 그리고 목성의 위성 중 4번째로 가까우며 공전 주기는 약 16시간이고 임시 명칭은 S/1979 J 2다.


[1] 크세르크세스 1세의 침공 당시 페르시아 제국을 원조했다. 하지만 테베도 초반부터 페르시아편을 든 것은 아니고 스파르타와 함께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페르시아에 맞서 싸웠으나 패하는 바람에 살기 위해서 페르시아편이 되었다.[2] 다만 스파르타도 테베의 세력이 꺾인 이후에도 패권국 자리에 오를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스파르타 참조.[3] 신성부대 항목을 참고. 말 그대로 사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