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
Scuderia Toro Rosso | ||
<colbgcolor=#3f00ff> 국적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팀명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06~2017) 레드불 토로 로쏘 혼다 (2018~2019) | |
본사 | 레드불 유한회사 | |
본부 |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 라벤나 현 파엔차 | |
감독 | 총감독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프란츠 토스트 (Franz Tost) |
기술 감독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조디 에깅턴 (Jody Egginton) | |
고문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헬무트 마르코 (Helmut Marko / 레드불 유한회사 고문 & 레드불 드라이버 개발 책임자 겸임) | |
주요 드라이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비탄토니오 리우치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스캇 스피드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안 베텔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앙 보르데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하이메 알게수아리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앙 부에미 [[호주| ]][[틀:국기| ]][[틀:국기| ]] 다니엘 리카도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장에릭 베르뉴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다닐 크비얏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막스 베르스타펜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피에르 가슬리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 브렌던 하틀리 [[태국| ]][[틀:국기| ]][[틀:국기| ]] 알렉산더 알본 | |
연혁 | 미나르디 F1 팀 (1985~2005)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06~2019)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0~2023) 비자 캐시 앱 레이싱 불스 포뮬러 원 팀 (2024~ ) | |
출전 기록 | ||
레이스 참가 횟수 | 268회 | |
우승 | 1회 | |
폴 포지션 | ||
패스티스트 랩 | 1회 | |
포디움 | 3회 | |
첫 경기 | 2006 바레인 GP | |
첫 그랑프리 우승 | 2008 이탈리아 GP | |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 | ||
마지막 경기 | 2019 아부다비 GP | |
드라이버 챔피언 | 0회 | |
컨스트럭터 챔피언 |
[clearfix]
1. 개요
2005년 미나르디 F1 팀이 레드불에 인수된 이후 재창단된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의 역사와 기록을 담은 문서다.2. 역사
2.1. 미나르디 시절
자세한 내용은 미나르디 F1 팀 문서 참고하십시오.2.2. 2006~2013년
미나르디는 2005시즌을 마지막으로 레드불에 인수되어,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란 이름으로 재탄생한다.[1]
창단 초기에는 바뀐 엔진 규정 때문에 참가할 엔진도 구하지 못해서 그 전년도에 쓰던 코스워스 V10 엔진의 RPM을 낮춰 다른 팀들과 합의해서 사용해야만 했을 정도였는데 미나르디가 늘 그랬듯 하위를 맴돌았지만, 2007시즌 중간에 영입된 어느 루키의 포텐이 2008시즌 터지면서 잠깐 영광의 시기를 맛본다. 2008 이탈리아 GP에서 폴투윈을 따낸 것. 미나르디-토로 로쏘 역사를 합쳐 유일한 폴 포지션과 GP 우승이다. 이 해 39포인트를 따내며 6위를 기록, 팀 역사상 최고 성적임은 물론이요 퍼스트 팀인 레드불 레이싱까지 제치기에 이른다.[2][3]
하지만 이듬해 베텔이 08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데이빗 쿨싸드의 후임으로 낙점되어 퍼스트 팀인 레드불 레이싱으로 이적하면서, 다시금 레드불의 따까리 신세로 전락. 2012시즌까지도 중하위를 전전하는 중. 그래도 최근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레드불과는 독립성을 띄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는 편. 2012시즌부터는 에어로 다이나믹 설계부터 차이가 나기 시작한 결과 외형적 차이점이 뚜렷해졌다.
2016 시즌 버전 토로 로쏘 레이스카와 레드불 레이스카의 비교. 사진 윗쪽 레이스카가 토로 로쏘의 레이스 카고 사진 아랫쪽 레이스카가 레드불 레이싱 레이스카다.
레드불 레이싱과 모기업이 같다보니 차량 도색도 가까이에서 보면 매우 다르지만 멀리서 보면 비슷하여 F1을 처음 관람하는 팬들의 경우에는 두 팀을 구분하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레드불 차량은 노즈 끝과 공기 흡입구가 선명한 노랑색이며, 토로 로쏘 차량은 노즈 끝이 황금색이고 붉은색이 다소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2013 시즌부터는 레드불 레이싱의 F1 레이스 카 사이드 팟에 레드불 대신 인피니티 로고가 박혀 레드불과 토로 로쏘의 차량 구별이 한층 쉬워졌으나 2016 시즌부터는 레드불과 르노 간 불화 때문에 르노-닛산의 고급 브랜드인 인피니티 스폰서를 떼고(토로 로쏘는 스페인의 엔진오일 CEPSA였다.) 다시 사이드 팟에 레드불 로고를 달았다. 그러나 레드불은 레이스카에 무광 리버리를 선택하는 등 대대적인 변화를 주었다. 그러나 토로 로쏘와 구별을 못 할 정도는 아닌데 16년부터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채택하였으나, 군청색에 가까운 토로 로쏘와는 꽤 다른 모습이다.
2015년까지는 두 팀 리버리가 흡사하였기 때문에 처음 보는 사람들이 헷갈리기도 한다. 두 팀을 구분짓기 쉬운 방법이 있는데, 바로 측면에 붙은 황소 모양을 보고 판단하면 쉽게 구분지을수 있다. 레드불이 2D형태의 자사 문양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반해, 토로 로소는 좀 더 3D, 입체에 가까운 형상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아래 2017 시즌 차량부터는 동일한 형상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색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색으로 판단하면 된다.
2017시즌부터는 사진처럼 토로 로쏘가 블루, 레드, 실버를 조합한 새 리버리를 사용함에 따라 레드불과의 구별의 난점은 사라진 상태.
2.3. 2014년
2013 시즌이 끝나며 은퇴한 마크 웨버의 레드불 시트에 토로 로쏘의 다니엘 리카도를 이적시켜 자리를 메움으로써 사실상 레드불 드라이버 양성 코스의 가장 마지막 단계임을 증명했다. 2014시즌 종료 후 이적한 세바스티안 베텔의 자리 또한 다닐 크비얏을 이적시켜 메우며 확인사살.2.4. 2015년
2015 시즌 개막 전에는 여러모로 주목을 받았던 팀이었는데, 최연소이자 가장 빠른 루트로 F1에 진출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은 막스 베르스타펜과 전설의 랠리드라이버 카를로스 사인츠의 아들이자 포뮬러 르노 시리즈 챔피언을 먹고 올라온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를 동시에 영입했기 때문.2.5. 2016년
2016년 레드불 레이싱 드라이버 다닐 크비얏이 중국, 러시아 그랑프리에서 일으킨 사건[4] 때문에 토로 로쏘로 강등되었다. 따라서 그의 빈 자리는 막스 베르스타펜이 차지했다.2.6. 2017년
2017 시즌은 리버리의 변경과 함께 출발, 그러나 시즌 도중 드라이버 관련해선 일이 좀 많았다. 크비얏이 워낙 사고를 치고 다닌 바람에 말레이시아 GP에서 그를 경질시켰으나, 미국 GP에서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가 르노로 이적하며 잠시나마 그를 다시 불러들였다. 그러나 곧이어 브랜든 하틀리의 기용으로 크비얏을 완전히 쫓아내는 등 드라이버 라인업이 시즌 초와 시즌 후가 완전히 달라지는 사태 발생.2.7. 2018년
2018 시즌은 불안과 함께 출발하였다. 바로 맥라렌을 3년간 몰락 시킨 혼다의 엔진을 쓰게 된 것. 당연하지만 혼다가 맥라렌에서 벌였던 재난을 알고 있는 팬들에게 수 많은 걱정을 불러왔는데, 일단 몬자 서킷 등지에서의 프리시즌 테스트 직후에는 토로 로쏘 드라이버들이 만족감을 나타내며 맥라렌이 실수하였다고 발언하였는데.... 아니나 다를까 2018 시즌 1라운드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의 결과는 폭망. 반면 르노로 바꾼 맥라렌은 엔진만 문제였다는 것을 손수 증명하듯 알론소의 5위로 3강 바로 밑에서 마무리했다. 3년간 맥라렌과 전 챔피언 알론소의 F1 커리어를 박살내고 론 데니스를 날려버린 혼다 엔진의 마수가 이번에는 그냥저냥 중위권은 하던 토로 로쏘를 자우버 급의 진정한 나락으로 떨어드리나 했는데, 무슨 일인지 바로 다음 라운드인 바레인에서 가슬리가 Q3까지 기록한데 이어 레이스에서는 4위를 하는 사고를 쳐버렸다! 혼다의 엔진 서플라이어 복귀 이후 최고의 성적이자 토로 로쏘로서는 2017년 싱가포르 그랑프리 이후 최고의 성적이다. 혼다 엔진은 미스테리 엔진이라 불리며 점점 실체가 미궁속으로 빠졌다. 아제르바이잔 내지 스페인 그랑프리가 끝날 때 즈음이면 실상이 어떤지 알 수 있을 듯 하다.시즌 14전인 이탈리아 그랑프리까지 마친 결과, 혼다 엔진은 아직 나머지 3개 엔진들을 완벽히 따라잡지는 못했다. 그러나 세 엔진 중 가장 느리고 자주 터지는(...) 르노와 엎치락뒤치락 할 정도는 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엔진을 바꾼 맥라렌이 생각만큼 반등하지 못한 반면, 토로 로쏘는 매년 보여주는 성적과 별반 다르지 않은 성적을 내고 있어 맥라렌의 입장이 더욱 머쓱해졌다.[5]
2018 시즌 결과는 9위. 이번시즌 완전히 폭망한 윌리엄스만이 아래에 있는 하위권의 성적이지만 1군 레드불을 위해 자주 새 파워유닛을 장착, 그로 인해 그리드 패널티를 잊을만 하면 받는 것은 참작할 만하다.
2.8. 2019년
2019 시즌의 섀시 코드는 STR14. 이번 시즌에선 가슬리를 레드불로 보내고, 하틀리를 방출함으로써 드라이버 라인업이 완전히 바뀌게 되었다. 그런데 새로운 드라이버랍시고 데려온 드라이버는 당초 포뮬러 E에 참가하기로 했던 레드불 주니어 출신 루키 알렉산더 알본, 그리고 자신들의 손으로 쫓아냈다가 결국 다시 불러낸 다닐 크비얏인지라 일각에서는 레드불 인재 고갈의 실태라고 부르고 있다.다행히 크비얏도 알본도 예상 이상으로 잘 해주고 있다. 특히 크비얏은 Q3에도 자주 가는 등 예선에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알본도 루키지만 어느정도 적응이 끝나자 준수한 드라이빙을 선보이고 있다. 훌륭한 차량과 드라이버의 조합으로 시즌 초반 중위권에서 굉장히 경쟁력 있는 팀으로 부상.
그리고 독일 GP에서는 크비얏이 3위로 마무리하면서 토로 로쏘에게 11년 만의 포디움을 가져다주었다.
피에르 가슬리가 레드불에서의 부진으로 트레이드 형태로 토로로쏘로 강등되었다. 그 대신 알본이 레드불로 승격되면서 그 빈 자리를 메우게 됐다.
일본 GP에서는 자국 레이스인 슈퍼 GT와 슈퍼 포뮬러[6]에서 전년도 챔피언을 모두 석권한 야마모토 나오키가 토로로쏘의 엔진 서플라이어인 혼다 측의 이벤트 성사덕분에 FP1에 참가했다. 1시간 20분 동안의 첫 F1 주행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적응력으로 인상 깊은 주행을 보여주었다. 이후 가슬리는 FP2부터 참가했다.
시즌 후반기에 엔진이 종종 터지기도 하는 등 중위권 경쟁에서 확 치고 나가진 못하였으나, 1년도 안 되어 돌아온 가슬리가 심심찮게 활약을 하다가 브라질에서 무려 2위를 달성, 토로 로쏘에겐 그야말로 값을 매길 수 없는 3번째 포디엄을 안겼다.[7]
결국 2019 시즌은 85포인트로 6위, 작년의 눈물나는 성적을 딛고 중위권의 다크호스로 당당히 부상하였다. 마지막 레이스인 아부다비에서까지 르노와 5위 다툼을 할 정도로 크게 선전하며 토로 로쏘라는 팀명을 쓰는 마지막 시즌을 명예롭게 마무리지었다.
3. 역대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레드불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012055> 2005 | RB1 | 코스워스 | TJ2005 | (3.0 V10) | |||||||
2006 | RB2 | 056 | (2.4 V8) | ||||||||
2007 | RB3 | RS27 | |||||||||
2008 | RB4 | ||||||||||
2009 | RB5 |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2010 | RB6 (* X2010) | RS27-2010 | (2.4 V8) | ||||||||
2011 | RB7 (* X2011) | RS27-2011 | |||||||||
2012 | RB8 | RS27-2012 | |||||||||
<colbgcolor=#1d19ac> 2013 | RB9 | RS27-2013 | |||||||||
2014 | RB10(* X2014) | 르노 에너지 F1-2014 | (1.6 V6 T) | ||||||||
2015 | RB11 | 르노 에너지 F1-2015 | |||||||||
2016 | RB12 | ||||||||||
2017 | RB13 | ||||||||||
2018 | RB14 | ||||||||||
2019 | RB15(* X2019 컴페티션) | RA619H | |||||||||
* 가상 프로토타입 굵은 글씨는 드라이버 챔피언, 기울어진 글씨는 컨스트럭터 챔피언 차량 |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012055> 2020 | RB16 | RA620H | (1.6 V6 T) | ||||||||
2021 | RB16B | RA621H | |||||||||
2022 | RB18 | RBPTH001 | |||||||||
2023 | RB19 | 혼다 RBPTH001 | |||||||||
2024 | RB20 | 혼다 RBPTH002 | |||||||||
굵은 글씨는 드라이버 챔피언, 기울어진 글씨는 컨스트럭터 챔피언 차량 | }}}}}}}}}{{{#!folding [ RB 포뮬러 원 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2024 | VCARB 01 | 혼다 RBPTH002 | (1.6 V6 T) | }}}}}}{{{#!folding [ 알파타우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2020 | AT01 | RA620H | (1.6 V6 T) | ||||||||
2021 | AT02 | RA621H | |||||||||
2022 | AT03 | RBPTH001 | |||||||||
2023 | AT04 | 혼다 RBPTH001 | }}}}}}{{{#!folding [ 토로 로쏘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012055> 2006 | STR1 | 코스워스 | TJ2005 | (3.0 V10) | |||||||
2007 | STR2 | 056 2006 | (2.4 V8) | ||||||||
2008 | STR3 | 056 2007 | |||||||||
2009 | STR4 | 056 2008 |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012055> 2010 | STR5 | 056 2009 | (2.4 V8) | ||||||||
2011 | STR6 | 056 2010 | |||||||||
2012 | STR7 | 056 2011 | |||||||||
2013 | STR8 | 056 2012 | |||||||||
2014 | STR9 | 르노 에너지 F1-2014 | (1.6 V6 T) | ||||||||
2015 | STR10 | 르노 에너지 F1-2015 | |||||||||
2016 | STR11 | 060 | |||||||||
2017 | STR12 | ||||||||||
2018 | STR13 | RA618H | |||||||||
2019 | STR14 | RA619H | }}}}}} }}}}}}}}} |
4. 역대 출전 드라이버 및 기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00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3f00ff> | }}} | ||||||||
{{{#!wiki style="margin: 0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fff> 출전 시즌 | 드라이버 | 레이스 엔트리 | 레이스 스타트 | 우승 | 폴 포지션 | 패스티스트 랩 | 포디움 | 포인트 | 월드 챔피언 |
2006~2007 | 비탄토니오 리우치 | 35 | 35 | 0 | 0 | 0 | 0 | 4 | 0 | |
2006~2007 | 스캇 스피드 | 28 | 28 | 0 | 0 | 0 | 0 | 0 | 0 | |
2007~2008 | 세바스티안 베텔 | 25 | 25 | 1 | 1 | 0 | 1 | 40 | 0 | |
2008~2009 | 세바스티앙 부르데 | 27 | 27 | 0 | 0 | 0 | 0 | 6 | 0 | |
2009~2011 | 하이메 알게수아리 | 46 | 46 | 0 | 0 | 0 | 0 | 31 | 0 | |
2009~2011 | 세바스티앙 부에미 | 55 | 55 | 0 | 0 | 0 | 0 | 29 | 0 | |
2012~2013 | 다니엘 리카도 | 39 | 39 | 0 | 0 | 0 | 0 | 30 | 0 | |
2012~2014 | 장에릭 베르뉴 | 58 | 58 | 0 | 0 | 0 | 0 | 51 | 0 | |
2014, 2016~2017, 2019 | 다닐 크비얏 | 72 | 72 | 0 | 0 | 1 | 1 | 54 | 0 | |
2015~2016 | 막스 베르스타펜 | 23 | 23 | 0 | 0 | 0 | 0 | 62 | 0 | |
2015~2017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 56 | 56 | 0 | 0 | 0 | 0 | 112 | 0 | |
2017~2019 | 피에르 가슬리 | 35 | 35 | 0 | 0 | 0 | 1 | 61 | 0 | |
2017~2018 | 브렌던 하틀리 | 25 | 25 | 0 | 0 | 0 | 0 | 4 | 0 | |
2019 | 알렉산더 알본 | 12 | 12 | 0 | 0 | 0 | 0 | 16 | 0 | }}}}}} |
[1] Toro Rosso는 이탈리아어로 Red Bull 이다.[2] 이 시기까지는 미나르디 출신의 미캐닉이나 팀원들이 많이 남아 있었다. 당시 영상을 보면, 기뻐하는 그들의 모습이 정말로 짠하다.[3] 물론 추후에 알파타우리까지 합하면 가슬리가 2020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기적적으로 우승하며, 2008년의 감동을 재현했다.[4] 중국에서는 오프닝 랩의 과격한 드라이빙을 베텔에게 지적당했고, 그 다음 러시아 그랑프리에서는 베텔에게 어뢰 두방을 꽂아주었다.[5] 물론 맥라렌은 2017시즌을 통틀어 30포인트에 그쳤다가 2018시즌 2/3가 흐른 시점에서 이미 52포인트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확실히 나아지기는 했다. 문제는 혼다가 작년에 비해서 훨씬 나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는 바람에 고생은 맥라렌이 다 하고 멀쩡한 엔진은 토로 로쏘, 레드불이 가져가게 되었다는 점..[6] 피에르 가슬리가 이 대회를 거쳐 F1에 진출했다.[7] 심지어 브라질 GP 서킷 골인 지점 전 직선 구간에서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의 루이스 해밀턴이 피에르 가슬리를 추월하지 못했다. 0.062 차이여도 현존 최강의 레이스카인 메르세데스를 타고도! 물론 그만큼 혼다의 엔진이 적응이 잘 되고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