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IMSA GTP 참가 팀/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 <colbgcolor=#fff> 제조사 / 번호 | <colbgcolor=#fff> 팀 / 드라이버 |
5번 | | 6번 | | |
7번 | | 10번 | | |
23번 | | 24번 | | |
25번 | | 31번 | | |
40번 | | 60번 | | |
63번 | | 85번 | | |
93번 | | |||
* 제조사 및 번호칸이 회색인 차량은 IMSA 측에서 지정한 미쉐린 인듀어런스 레이스만 참가하는 엔트리이다. | ||||
| }}}}}}}}} |
브렌던 하틀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cddd6><colcolor=#50514c> 이름 | 브렌던 하틀리 Brendon Hartley | ||||||||||||||||||||||||||||||||||||||||||||||||||||||||||||||||||||||||||||||||||||||||||||||||||||||||||||||||||||||||||||||||||||||||||||||||||||||||||||||||||||||||||||||||||||||||||||||||||||||||||||||||||||||||||||||||||||||||||||||||||||||||||||||||||||||||||||||||||||||||||||||||||||
우승연도 | 2017, 2020, 2022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 역대 드라이버 챔피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19년 |
브누아 트렐뤼에 | | | | | | | |
2019-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350><tablebgcolor=#fff> | | }}}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1시즌 | 2022시즌 | 2023시즌 | 2024시즌* | 2025시즌 | |
| | | |||
*: 현재 진행중인 챔피언십 |
}}} ||
<nopad> | ||
토요타 가주 레이싱 No.8 | ||
IWSC - 캐딜락 웨인 테일러 레이싱 No. 10 | ||
브렌던 하틀리 Brendon Hartley | ||
생년월일 | 1989년 11월 10일 ([age(1989-11-10)]세) | |
국적 |
| |
소속 팀 | WEC | 포르쉐 팀 (2014~2017) SMP 레이싱 (2018-19) 토요타 가주 레이싱 (2019-20~) |
IMSA | 스타웍스 모터스포트 (2014~2015) 칩 가나시 레이싱 (2016) 테킬라 패트론 ESM (2017) 머스탱 샘플링 레이싱 (2019) 웨인 테일러 레이싱 (2022~) | |
F1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17~2018) | |
FE | GEOX 드래곤 (2019~2020) | |
주요 경력 | WEC | 드라이버 챔피언 : 4회 (2015, 2017, 2022, 2023) 경기 참가 : 66회 우승 : 21회 폴포지션 : 16회 |
F1 | 경기 참가 : 25회 커리어 포인트 : 4 |
1. 개요
뉴질랜드 출신의 레이싱 드라이버. 세계내구선수권(WEC)에서 토요타 가주 레이싱 소속으로 활동하며 시즌 우승을 세 번이나 거두었다. 레드불 레이싱의 주니어 프로그램 출신이며 포뮬러 원에서는 2017년 미국 그랑프리에서 피에르 가슬리의 일본 슈퍼 포뮬러 챔피언십 출전으로 만 28세의 나이에 토로 로쏘에서 데뷔하게 되었다. 그 후, 2018시즌부터는 다닐 크비얏이 경질되며 가슬리와 팀을 이루게 되었다.2. 선수 경력
2.1. WEC
6살에 카트로 레이싱에 입문한 하틀리는 2007년 유로피언 포뮬러 르노 2.0에서 챔피언을 달성하는 등의 수준급 하위 시리즈 경력을 보낸 후 2012년에 머피 프로토타입 LMP2 레이스카로 데뷔하며 경력을 쌓아갔다.이후, 2014년에는 최고 클래스 팀 중 하나인 포르쉐 LMP1 레이스카를 몰게 된다. [1] 그 해에 팀메이트인 티모 베른하르트와 F1 출신의 마크 웨버와 팀을 이루며 최종 챔피언십 순위는 9위를 찍는다. 당시 포르쉐가 복귀 후[2] 타팀에 비해 부족한 퍼포먼스를 지녔기에 아쉬운 결과.
2015년에는 포르쉐 레이스카가 말그대로 포텐이 터져버리며(..) 2위를 5점차로 따돌리며 월드 챔피언에 오른다. 이는 이제껏 그의 커리어 사상 최고의 순위이다. 비록 르망 24시에서 우승은 하지 못했지만[3] 챔피언십에서 승리한 것은굉장한 일이다.
2016년은 1번 포르쉐가 제 3전 르망 24시까지 1점만 획득하며 최악의 시작을 보였지만 잔여 경기에서 우승 4번, 3위 2번으로 모조리 포디움에 오르는 등의 저력을 보여줬지만 이미 점수차가 많이 벌어진 탓에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17년 아우디가 WEC에서 철수하며 LMP1은 토요타와 포르쉐만[4] 남으며 그들만의 레이스 자체도 작년보다 썰렁해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이 어떻든지간에, 그는 2번 포르쉐로 시즌을 시작하여 일본전을 제외한 전경기에서 포디움에 오르며 챔피언에 오르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그의 오픈휠 커리어가 다시 시작되는 일이 발생하는데 토로 로쏘 소속이었던 다닐 크비얏이 경질되며 토로 로쏘의 시트 한 자리가 비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팀은 레드불 레이싱의[5] 주니어 프로그램 드라이버인 그와 잔여 경기 계약을 하며 하틀리는 F1 커리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사실 이때가 WEC 시즌 중이었기 때문에 그는 남은 WEC 시즌을 치르면서 동시에 F1 커리어도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며 F1으로 진출하였다.
2019년 3월 15일 젠슨 버튼을 대신하여 1000 Miles of Sebring를 참가하여 3위를 기록하였다. 심지어 다음낭 열린 12 hours of Sebring에서도 DPi클래스 Mustang Sampling Racing의 캐딜락을 타고 3위로 경기를 마쳐 슈퍼세브링의 더블포디움를 기록하였다.
2019년 토요타 테스트 드라이버로 토요타에서의 첫 일정이 시작될 예정이다. 그리고 WEC 2019-2020 시즌 부터 페르난도 알론소의 빈자리를 대신하여 토요타 팀의 드라이버로 활동할 예정이다. 그는 두번째로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와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을 모두 몰아본 드라이버가 되었다. 첫번째는 2016년 양팀의 루키 테스트로 참여한 얀닉 달마스.
WEC 2019 시즌 라운드 1, 실버스톤 4시간에서 2위를 기록하며 복귀와 동시에 포디움을 달성하였다.
2022년 르망 24시 하이퍼폴에서는 폴을 따내었으며, 르망 24시에서 종합 우승을 거두었다.
2.2. 포뮬러 1
2.2.1. 2017시즌
브렌든 하틀리는 한때 레드불 주니어 팀의 유망주였지만, 2010년 성적 부진으로 인해 지원이 중단되며 F1 무대에서 멀어지는 듯했다. 이후 그는 포르쉐 LMP1 프로그램에 합류해 내구 레이스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르망 24시 우승과 WEC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며 세계적인 내구 레이서로 자리매김했다.그러던 중, 2017년 F1 시즌 후반부에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는 급작스러운 드라이버 공백에 직면했다. 다닐 크비얏을 해고한 상황과 카를로스 사인스 주니어를 임대로 내보낸 상황에서 피에르 가슬리가 일본 슈퍼 포뮬러 챔피언십에 참가하게 되며 미국 그랑프리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고, 팀은 대체 드라이버를 물색해야 했다. 이때 하틀리는 직접 헬무트 마르코에게 연락을 취했고, 팀은 그의 내구 레이스 경험과 기술적 역량을 높이 평가해 깜짝 호출을 결정했다.
그리하여 하틀리는 2017년 미국 GP에서 F1 데뷔를 치르게 되었고, 이는 1984년 이후 첫 뉴질랜드 출신 F1 드라이버라는 상징적인 기록이었다. 그는 단기간의 준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선보이며 13위 완주라는 성과를 남겼다. 이 활약은 팀의 신뢰를 얻는 계기가 되었고, 사인스가 떠난 한 시트를 따낸 이후 멕시코, 브라질, 아부다비 GP까지 연속 출전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하틀리의 데뷔는 단순한 대체 출전이 아닌, 내구 레이스 챔피언이 F1 무대로 들어온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되었다. 그는 이후 2018 시즌에 정규 드라이버로 계약을 이어가며 F1 커리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2.2.2. 2018시즌
2017년 말, 브렌든 하틀리는 내구 레이스 챔피언에서 갑작스레 F1 무대로 돌아온 이례적인 케이스로 주목받았다. 미국 GP에서의 깜짝 데뷔 이후, 토로 로쏘는 그를 정규 드라이버로 계약하며 2018 시즌에 풀타임 출전을 확정했다. 하틀리와 함께 시즌을 치른 팀메이트는 작년과 같이 프랑스 출신의 유망주 피에르 가슬리였다.하틀리는 뛰어난 기술 피드백 능력과 내구 레이스에서 증명된 장거리 주행 역량을 갖추고 있었지만, F1 그리드에서는 일관성과 페이스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가슬리는 2라운드 바레인 GP에서 4위라는 이변을 만들어내며 시즌 초부터 강한 인상을 남겼고, 그 이후에도 꾸준히 중상위권 성적을 기록하며 토로 로쏘의 주축으로 자리잡았다.
하틀리는 예선과 결선 모두에서 평균적으로 가슬리에게 밀리는 흐름을 보였으며, 21개의 그랑프리 중 단 3회만 포인트를 획득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경기는 독일 GP로,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를 거부하고 드라이 타이어를 고수해 10위를 기록, 팀의 보수적인 전략을 거스르고 스스로 포인트를 따냈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았다. 또다른 포인트는 아제르바이잔 GP(10위)와 미국 GP(9위)에서 기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포인트 획득은 시즌 전체 흐름을 뒤집기에는 부족했다. 하틀리는 지속적으로 Q1에서 탈락하며 예선 성적이 저조했고, 레이스 중 중위권에서의 접전에서 적극적인 포지션 방어나 추월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브라질 GP에서는 팀 오더 논란이 있었고, 가슬리와의 관계도 냉각된 분위기 속에서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결국 팀은 2018 시즌 종료 후 하틀리와의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그의 자리는 이후 알렉산더 알본이 차지하게 되었다. 하틀리는 F1 무대를 떠나 다시 내구 레이스와 하이브리드 머신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복귀했으며, 기술적인 역량은 여전히 높게 평가받았다.
이처럼 브렌든 하틀리의 2018 F1 시즌은 기술적 역량은 있었지만, F1에서 요구되는 퍼포먼스와 결과를 동시에 증명하긴 어려웠던 시즌이었다. 팀 내 경쟁에선 가슬리에게 완패했고, F1 드라이버로서의 자리매김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여전히 다방면에서의 경주 경험과 피드백 능력은 그를 특별한 드라이버로 남게 했다.
2019년부터는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테스트 드라이버가 되었다. 재밌게도 선배 토로 로쏘 드라이버인 장에릭 베르뉴와 다닐 크비얏 역시 토로 로쏘 방출 이후 페라리 테스트 드라이버를 맡았었다. 그야말로 뗄레야 땔 수 없는 묘한 관계...
2.3. 포뮬러 E
포르쉐 포뮬러 E의 테스트 및 개발 드라이버로 참여중이다. 포르쉐의 포뮬러 E 레이스 드라이버는 닐 야니와 안드레 로테러이다.2019-2020 시즌 드래곤 레이싱 팀의 드라이버로 포뮬러 E에 참가하게 되었다.
3. 연도별 성적
시즌 | 시리즈 | 팀 | 경기 | 우승 | 폴 포지션 | 패스티스트 랩 | 포디움 | 포인트 | 순위 |
2002-03 | 포뮬러 퍼스트 뉴질랜드 | 6 | 0 | ? | ? | 0 | 335 | 8위 | |
2003-04 | 포뮬러 포드 뉴질랜드 | 18 | 6 | 6 | 3 | 9 | 239 | 2위 | |
2005 |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 GVI | 15 | 3 | 1 | 2 | 7 | 807 | 3위 |
2005-06 | 빅토리 모터스포트 | 12 | 1 | 0 | 0 | 8 | 711 | 8위 | |
2006 | 포뮬러 르노 2.0 NEC | 모터스포트 아레나 | 14 | 0 | 0 | 1 | 1 | 151 | 10위 |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 | 14 | 0 | 0 | 0 | 0 | 21 | 13위 | ||
2006-07 |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 마크 페치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0 | - |
2007 |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 | 엡실론 레드불 팀 | 14 | 4 | 6 | 4 | 8 | 134 | 1위 |
포뮬러 르노 2.0 이탈리아 | 14 | 1 | 1 | 5 | 5 | 236 | 3위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 ASL 뮈케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 | 4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칼린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 | 12위 | |
2008 |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 | 22 | 5 | 5 | 4 | 11 | 208 | 3위 |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 6 | 0 | 0 | 0 | 0 | 0 | - | ||
RC 모터스포트 | 2 | 0 | 0 | 0 | 0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 칼린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 | 5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1 | 1 | - | 3위 | ||
2009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 16 | 1 | 0 | 0 | 1 | 15 | 11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NC[R] | ||
포뮬러 르노 3.5 | 테크 1 레이싱 | 13 | 0 | 3 | 1 | 3 | 26 | 15위 | |
2010 | 11 | 0 | 0 | 2 | 1 | 50 | 10위 | ||
P1 모터스포트 | 2 | 0 | 0 | 0 | 0 | ||||
GP2 | 스쿠데리아 콜로니 | 4 | 0 | 0 | 0 | 0 | 1 | 27위 | |
2011 | 포뮬러 르노 3.5 | 그래비티-샤루즈 레이싱 | 16 | 0 | 0 | 2 | 3 | 95 | 7위 |
GP2 | 오션 레이싱 테크놀로지 | 4 | 0 | 0 | 0 | 0 | 4 | 19위 | |
2012 | 4 | 0 | 0 | 0 | 0 | 1 | 25위 | ||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 | 머피 프로토타입스 | 2 | 0 | 0 | 1 | 1 | 15 | 10위 | |
르망 24시 - LMP2 | 1 | 0 | 0 | 0 | 0 | - | DNF[R] | ||
2013 | 롤렉스 스포츠카 시리즈 | 스타워크스 모터스포트 | 11 | 1 | 1 | 2 | 2 | 252 | 12위 |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 | 머피 프로토타입스 | 5 | 1 | 1 | 4 | 2 | 64 | 5위 | |
르망 24시 - LMP2 | 1 | 0 | 0 | 0 | 0 | - | 6위 | ||
2014 | WEC | 포르쉐 팀 | 8 | 0 | 1 | 0 | 3 | 64.5 | 9위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NC[R] | ||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 스타워크스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15 | 55위 | |
2015 | WEC | 포르쉐 팀 | 8 | 4 | 5 | 2 | 6 | 166 | 1위 |
르망 24시 | 1 | 0 | 0 | 0 | 1 | - | 2위 | ||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 스타워크스 모터스포트 | 1 | 0 | 0 | 0 | 0 | 23 | 30위 | |
2016 | WEC | 포르쉐 팀 | 9 | 4 | 2 | 3 | 6 | 134.5 | 4위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13위 | ||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 포드 칩 가나시 레이싱 | 1 | 0 | 0 | 0 | 0 | 27 | 27위 | |
2017 | WEC | 포르쉐 LMP 팀 | 9 | 4 | 2 | 2 | 8 | 208 | 1위 |
르망 24시 | 1 | 1 | 0 | 0 | 1 | - | 1위 | ||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 테퀼라 페이트론 ESM | 3 | 1 | 0 | 0 | 1 | 80 | 19위 | |
포뮬러 1 |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4 | 0 | 0 | 0 | 0 | 0 | 23위 | |
2018 | 21 | 0 | 0 | 0 | 0 | 4 | 19위 | ||
2018-19 | WEC | SMP 레이싱 | 1 | 0 | 0 | 0 | 1 | 19 | 18위 |
2019 |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 | 머스탱 샘플링 레이싱 | 1 | 0 | 0 | 0 | 1 | 30 | 28위 |
2019-20 | WEC | 토요타 가주 레이싱 | 8 | 2 | 1 | 0 | 8 | 202 | 2위 |
포뮬러 E | GEOX 드래곤 | 5 | 0 | 0 | 0 | 0 | 2 | 23위 | |
2020 | 르망 24시 | 토요타 가주 레이싱 | 1 | 1 | 0 | 0 | 1 | - | 1위 |
2021 | WEC | 3 | 2 | 0 | 0 | 2 | 75 |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