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4:07:58

포드 미시간 공장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주주
포드 가문지분 2%/의결권 40%뱅가드그룹지분 8.7%블랙록지분 7.3%스테이트 스트리트지분 4.2%
전/현직 주요 인물
헨리 포드설립자헨리 포드 2세윌리엄 클레이 포드 주니어의장짐 팔리CEO
계열사 및 사업부
<colbgcolor=#003179> 브랜드 <colbgcolor=#FFFFFF,#222222>포드링컨
없어진 브랜드 에드셀머큐리머쿠어컨티넨탈
고성능 브랜드 포드 퍼포먼스(FP)
상용차 포드 프로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포드 연구 및 첨단 엔지니어링 센터독일 아헨던튼 기술 센터영국 에섹스포드 그린필드 연구소미국 캘리포니아포드 프루빙 그라운즈포드 자동차 연구 및 엔지니어링중국 난징
제조사 포드 오토산포드 캐나다포드 독일장링 포드창안 포드포드 아르헨티나포드 리오 호 자동차JMC 푸샨포드 멕시코포드 루마니아포드 남아프리카포드 스페인오토얼라이언스포드 태국포드 베트남
부품 제조사 모터크래프트
자동차 제조 공장 <colbgcolor=#003179> 북미 <colbgcolor=#003179> 캐나다 오크빌 조립 단지에섹스 엔진 공장윈저 엔진 공장
미국 시카고 조립 공장디어본 트럭 공장플랫 록 조립 공장캔자스 시티 조립 공장켄터키 트럭 공장루이빌 조립 공장미시간 조립 공장오하이오 조립 공장루즈 전기차 센터클리블랜드 엔진 플랜트 No. 1디어본 엔진 및 연료 탱크 공장리마 엔진 공장로슨빌 부품 공장스털링 액슬 공장디어본 설비 및 금형 공장우드헤븐 단조 공장버팔로 스탬핑 공장시카고 스탬핑 공장디어본 다각화 제조 공장디어본 스탬핑우드헤븐 스탬핑 공장리보니아 송전소샤론빌 송전소반 다이크 전기 파워트레인 센터
멕시코 쿠아우티틀란 스탬핑 및 조립 공장에르모시요 스탬핑 및 조립 공장치와와 엔진 공장이라푸아토 전기 파워트레인 센터
유럽 쾰른 차체 및 조립 공장독일자를루이 차체 및 조립 공장독일쾰른 엔진 공장독일쾰른 설비 및 금형 공장독일콜타코 쾰른 유한회사 공장독일쾰른 변속기 공장독일발렌시아 차체 및 조립 공장스페인발렌시아 엔진 공장스페인다게넘 엔진 공장영국헤일우드 변속기 공장영국크라이오바 조립 공장루마니아크라이오바 엔진 공장루마니아오토산 엔진 및 변속기 공장튀르키예오토산 엔진 및 변속기 공장튀르키예오토산 공장튀르키예
아시아 중국 포드 리오 호 자동차포드 리오 호 엔진 공장창안 포드 충칭 차량 운영 공장창안 포드 충칭자동차유한공사 엔진 공장창안 포드 충칭자동차유한공사 변속기 공장창안 포드 항저우 공장JMC 푸산 조립 공장JMC 샤오란 조립 공장JMC 샤오란 엔진 공장
태국 오토얼라이언스 태국(AAT) 공장 | 포드 태국 제조(FTM) 공장
베트남 포드 베트남 하이즈엉 조립 공장
인도 하난드 엔진 공장
남미 파체코 스탬핑 및 조립 공장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실버튼 조립 공장남아프리카 공화국스트루안데일 엔진 공장남아프리카 공화국
배터리 블루오벌 SK
합자회사 장링 포드49%창안 포드50%포드 리오 호 자동차70%오토얼라이언스50%포드 오토산41%포드 베트남75%자동차 연료 전지 협력폐지
리테일 포드 넥스트
차량 리스 포드 드라이브
자율 주행 래티튜드 AI
금융 포드 크레딧
해외 지사 포드 모터 아르헨티나포드 브라질포드 모터 컴퍼니 오브 캐나다포드 유럽(포드 영국트러스트포드포드 프랑스포드 독일포드 아일랜드포드 이탈리아포드 루마니아포드 스페인)| 포드 인디아포드 호주포드 뉴질랜드포드 모터 컴퍼니 필리핀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포드 모터 컴퍼니 오브 재팬포드 남부 아프리카
}}}}}}}}} ||

포드 미시간 어셈블리
Ford Michigan Assembly Plant
파일:포드 미시간 공장.png
<colbgcolor=#003179><colcolor=#FFF> 개요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치 미시간 주 웨인 카운티 웨인
상세 주소 38303 Michigan Ave, Wayne, MI
우편 주소 48184
개장 연도 1957년
소유 기업 포드 모터 컴퍼니
규모 46ha
좌표 북위 42도 16분 36초
서경 83도 24분 32초
홈페이지 주소 파일:포드 로고.svg #
지도


1. 개요2. 상세3. 생산차량4. 과거 생산차량

1. 개요

미국 미시간 주 웨인에 위치한 포드 모터 컴퍼니의 차량 제조 공장이며, 포드 레인저브롱코가 이 공장에서 제조된다.

2. 상세

과거에는 미시간 트럭 어셈블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2024년 4월 기준 5,957명이 해당 공장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인 5,612명이 시간제 근로자이다. 3개의 메인 건물이 있으며, 총 부지 규모는 46ha이다. 과거 2018년까지 차량을 생산했던 웨인 스탬핑 앤 어셈블리 공장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1957년에 건설된 후 확장과 공장 개수가 이루어졌다. 초창기에는 머큐리 콜로니 파크를 생산하는 왜건 전용 공장으로 시작했지만 1964년부터 트럭 공장으로 개조가 이루어져 F100 생산 공장으로 바뀌었다. 이듬해 10만 번째 트럭이 생산되었다.

1968년에는 전체 차량 생산량의 2배까지 생산할 수 있는 공장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후 1974년, 1991년, 1996년 3번에 걸쳐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1997년에는 SUV, 2010년에는 포드 포커스 생산라인이 만들어진 바 있었으며, 2018년 5월까지 제조되었다. 그 과정에서 포커스 생산라인에는 5억 5,000만 달러[1]를 투자해 내연차, 하이브리드, PHEV 등 다양한 라인업을 생산하기도 했다.

해당 공장에는 500kW 태양광 패널 시스템과 인접 시설 간 전기 부품 운송 트럭을 충전할 수 있는 10개의 전기차 충전소가 비치되어 있다.

2018년부터 19년형 포드 레인저를, 이후 포드 브롱코의 생산을 시작했으나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출시는 2021년 여름으로 미뤄졌다. 현재는 주당 5,300대 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 생산차량

포드 미시간 공장의 생산차량
<rowcolor=#ffffff> 생산 차량 생산 기간
파일:2024-ford-ranger-xlt-front-3-4.jpg <colcolor=#000><colbgcolor=#FFF> 2018년~현재
레인저
파일:2021-ford-bronco.jpg 1996년~1996년
2020년~현재
브롱코

4. 과거 생산차량

포드 미시간 공장 과거 생산차량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적용 차량 생산기간
파일:1974 포드 갤럭시.png 1958년~1974년
갤럭시
파일:1975 포드 매버릭.png 1974년~1975년
매버릭
파일:그라나다79.jpg 1975년~1980년
그라나다
파일:1988 ½ 포드 EXP.png 1980년~1990년
EXP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ford_escort_1.jpg 1980년~2002년
에스코트
파일:3세대 익스페디션.png 1997년~2009년
익스페디션
파일:ford_7268.jpg 1999년~2018년
포커스
파일:2017-ford-focus-electric_100583350_l.jpg 2011년~2018년
포커스 일렉트릭
파일:2018 포드 C-MAX 하이브리드.png 2012년~2018년
C-맥스 하이브리드/PHEV
}}}}}}}}}}}} ||
머큐리의 포드 미시간 공장 과거 생산차량
<rowcolor=#ffffff> 생산 차량 생산 기간
파일:1957 머큐리 콜로니 파크 전면부.png <colbgcolor=#FFF><colcolor=#000> 1957년~1959년
콜로니 파크
파일:1973 머큐리 몬테레이.png 1959년~1974년
몬테레이
파일:1975 머큐리 코멧.png 1974년~1975년
코멧
파일:머큐리 모나치.png 1975년~1980년
모나크
파일:머큐리 링크스 왜건.png 1980년~1987년
링크스
파일:머큐리 LN7.jpg 1980년~1990년
LN7
파일:머큐리 트레이서.png 1990년~1999년
트레이서
링컨의 포드 미시간 공장의 생산차량
<rowcolor=#ffffff> 생산 차량 생산 기간
파일:링컨 베르사유.png 1975년~1980년
베르사유
파일:2009 링컨 네비게이터.png 1997년~2009년
네비게이터/네비게이터 L


[1] 원화가치 약 8,065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