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20:48:54

프리기두스 전투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로마의 내란·내전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rowcolor=#FAE572> 시대 내란·내전 주체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공화국
제1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제2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동맹시 전쟁 로마 공화국 vs 이탈리아 공화국
술라의 내전 파일:Senate_loyalists.png 술라파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마리우스
세르토리우스 전쟁 파일:Senate_loyalists.png 로마 원로원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세르토리우스
제3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스파르타쿠스
카이사르의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카이사르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폼페이우스
무티나 내전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로마 원로원
해방자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필리피 전투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페루시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시칠리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악티움 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라바룸.svg
로마 제국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 베스파시아누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여섯 황제의 해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푸피에누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군인 황제 시대 49년간 황제 18명 vs 갈리아 제국 vs 팔미라 제국
사두정의 내전 막센티우스 · 막시미아누스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갈레리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리키니우스 · 콘스탄티누스 1세
밀비우스 다리 전투 콘스탄티누스 1세 vs 막센티우스
무르사 전투 마그넨티우스 vs 콘스탄티우스 2세
프리기두스 전투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1세 vs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에우게니우스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니카의 반란 녹색당과 청색당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제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미하일 2세 vs 슬라브인 토마스
제1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콘스탄티노스 6세 vs 레온 토르니키오스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내전 안드로니코스 2세 vs 안드로니코스 3세
요안니스 5세 vs 요안니스 6세
요안니스 5세 vs 안드로니코스 4세
}}}}}}}}}
<colbgcolor=#C0C0FF><colcolor=black> 프리기두스 전투
Battle of Frigidus
시기 서기 394년 9월 5 ~ 6일
장소 슬로베니아 비파바 강
원인 서로마 제국의 황제 에우게니우스기독교 탄압.
교전세력 파일:east_roman_mon_256.png 동로마 제국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서고트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서로마 제국
지휘관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1세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플라비우스 티마시우스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플라비우스 스틸리코
파일:east_roman_mon_256.png 바쿠리우스†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알라리크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가이나스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플라비우스 에우게니우스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플라비우스 아르보가스트
병력 로마군: 20,000 ~ 30,000명
고트족: 20,000명
35,000 ~ 50,000명
피해 로마군: 피해 규모 불명
고트족: 10,000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서로마 제국군의 패배. 테오도시우스 1세의 로마 제국 통합.
영향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서로마 제국호노리우스
동로마 제국아르카디우스 즉위.

1. 개요2. 배경3. 전개와 여파

[clearfix]

1. 개요

프리기두스 강 전투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서로마 제국의 황제 에우게니우스가 맞붙은 내전으로 로마의 기독교화를 공고히 하고, 로마 다신교의 결정적인 쇠퇴를 결정지은 전투였다. 또한 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제국을 재통합한 테오도시우스 1세가 1년 후에 붕어함으로써, 로마 제국은 다시 동로마 제국서로마 제국으로 양분되었고 희대의 암군 호노리우스가 서로마의 황제가 되는 나비 효과를 불러온 전투였다.

2. 배경

서기 313년, 대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밀라노 칙령>으로 말미암아 로마 제국은 기독교를 공인했다. 그러나 80년 후인 392년 경,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이교로 전락한 로마와 그리스 사원을 모독하는 기독교인들을 탄압하기 시작했고, 서로마 제국의 실권을 거머쥔 플라비우스 아르보가스트는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암살당하자 고위 정무관인 플라비우스 에우게니우스를 후임 황제로 옹립했다. 에우게니우스는 승리의 제단과 베누스의 신전을 복원하여 로마의 다신교 부흥 정책을 실시했으며, 일찍이 테오도시우스 1세가 서로마 제국에 남겨둔 관료들을 제거하고 많은 이교도들이 원로원의 의석을 꿰차도록 했다.[1] 이러한 에우게니우스의 정책은 동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독실한 기독교도인 테오도시우스 1세의 어그로를 끌었다.

마침내 393년 1월, 아들 호노리우스를 서로마 제국 황제로 공표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에우게니우스를 찬탈자로 규정하고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출발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 본인이 스틸리코와 티마시우스를 대동하며 30,000명의 병력을 이끌었고 여기에 이베리아(흑해 동쪽 지역)의 바쿠리우스, 고트족의 알라리크가 이끄는 20,000명의 고트족과 보조군이 뒤따랐다.

3. 전개와 여파

에우게니우스와 아르보가스트는 헤라클레스의 상징을 군단기에 새기고 옛 전통에 따라 로마의 신들에게 승리를 기원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는 즉시 서로마군에 공격을 감행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10,000명의 고트족과 바쿠리우스가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단, 여기에는 로마군 본군이 아닌 껄끄러운 고트족을 일종의 형벌 부대로 써서 소모시키려는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의도였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당연히 에우게니우스가 이끄는 서로마군의 사기는 고조되었는데 이때 아르보가스트가 동로마군의 퇴로를 끊기 위해 분견대를 보내면서 서로마군의 병력이 분산되었다. 그러자 야훼에게 승리를 기원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아르보가스트의 분견대를 기습했다. 이때 강풍이 불면서 서로마군의 대열이 무너지자[2] 아르보가스트는 패주했고, 첫 번째 날의 승리에 방심하고 있었던 에우게니우스는 동로마군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했다. 아르보가스트 역시 얼마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교도들을 격파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신속히 서로마 제국의 지배권을 접수했으나 4개월 후, 어린 호노리우스와 아르카디우스를 남긴채 붕어했다. 역사가 티란니우스 루피누스에 따르면 기독교인들은 이 전투를 밀비우스 다리 전투와 마찬가지로 기독교의 승리라고 여겼으며, 기독교화에 대항하기 위한 이교도의 마지막 저항이라고 생각했다.[3]

하지만 종교적 측면은 고사하고 에우게니우스의 군대에는 '헤르쿨리아니'를 비롯한 서로마 제국의 정예병들이 상당수 포진해 있었기 때문에 이는 결과적으로 서로마 제국의 군사력 붕괴를 가속화시켰다. 게다가 승자인 테오도시우스 1세가 자식교육에 어느 정도 능력이 있었거나 오래 살았다면 모를까, 그가 이 전투 이후 1년만에 붕어하면서 서로마 제국을 맡게 된 인물은 훗날 라벤나에서 닭이나 치게 되는 호노리우스 황제였다. 결국 이 전투로 주력 부대가 괴멸된 서로마 제국은 고트족의 봉기, 훈족의 도래, 게르만족의 라인 강 침공을 자력으로 막지 못해 '포에데라티' 같은 보조군에 의존하거나 게르만 부족과의 외교전으로 응수할 수밖에 없었고 그상황에서도 스틸리코나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마요리아누스 같은 뛰어난 영웅들의 분전으로 나름 잘 버텨 나갔으나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100년을 못 넘긴채 게르만족 용병대장인 오도아케르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하면서 멸망하게 되었다.

[1] 그런데 테오도시우스 1세의 관료들은 그가 발렌티니아누스를 배려해서 임명한 것이라기보단 오히려 공동황제가 어리고 무력한 것을 악용한 전횡에 가까운 행보였을 가능성이 높다. 테오도시우스는 자신의 은인인 그라티아누스가 죽었는데도 그 시해자를 약속 어기기 전까지는 협상을 통해 인정할 정도로 위선적이고 교활한 면모가 많이 보이는 인물이었다. 어리고 무력했던 발렌티니아누스가 죽고, 어느 정도 나이도 찼고 권위와 인망도 있던 황제가 새로 서방에 즉위한 이상 테오도시우스계 관료들이 테오도시우스의 그동안의 전횡에 불만을 품었을 서방인들의 묵인하에 갈아치워지는 건 정치적으로도 납득이 갈 만한 현상이다.[2] 기독교에서는 신의 바람이 테오도시우스 1세를 도와 이교도들을 물리친 것(...)이라고 했지만 후대의 사가들은 이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평가한다.[3] 근데 콘스탄티누스-막센티우스 내전은 종교 전쟁과는 굉장히 거리가 먼 성격의 전쟁이었으며 오히려 두 황제의 정치적-개인적 갈등이 훨씬 큰 요소로 작용했다. 애초에 콘스탄티누스 1세는 개인적 신앙심이 어느 정도였나는 철저하게 불명으로 남아 있으나, 첫 상관이자 사실상의 군사-정치 스승이 다름아닌 이교 탄압으로 악명높던 디오클레티아누스였던 것을 시작으로 그들이 상상했을 "기독교 수호자 황제"와는 은근히 거리가 있는 행보를 보였고 자신의 종교에 대한 입장 표면에도 굉장히 신중한 태도를 보인 사람이었다. 즉 기독교의 성전이라고 주장할 건덕지가 있기라도 한 프리기두스 전투와 달리 밀비우스 다리 전투가 그런 전투라는 건 그냥 당대 기독교도 로마인들의 상상의 산물이다. 애초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내전 이전부터 자기 휘하 군대에게 로마 다신교에 대한 충성맹세를 시켰고, 이에 거부하며 그만두거나 대충대충 시늉만 내는 사람도 많았다는데, 콘스탄티누스가 딱히 자기 셋째 아들마냥 구밀복검에 능한 성격도 아니었던 만큼 반대면 반대였지 그렇게 신실한 사람이었으면 그 역시 그랬다가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요주의 인물로 찍히고 아버지 콘스탄티우스에게도 욕을 바가지로 먹었을 것이기에 주군과 친아버지에게 모두 찍혀 아무리 유능해봤자 출세는 꿈도 못 꾸고 한낱 하위 장교로 인생을 마쳤을 것이다. 즉 많은 후대의 기독교도 로마인들의 희망사항이었을 "천국의 선택을 받아 기독교를 수호하시는 콘스탄티누스 대제"라는 명제는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위해 복무하며 출세함'이라는 그의 커리어 하나만으로도 아주 시원하게 박살난다는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