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제국 제62대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ROMVLVS AVGVSTVS | |
<nopad> | |
<colbgcolor=#943939><colcolor=#FCE774,#FCE774> 이명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Romulus Augustulus |
출생 | 465년 |
서로마 제국 판노니아 | |
사망 | 535년 이전(향년 70세 이전) |
카스텔룸 루카라눔 | |
재위 기간 | 로마 황제 |
475년 10월 31일 ~ 476년 9월 4일 (309일) | |
전임자 | 율리우스 네포스 |
부모 | 아버지: 오레스테스 어머니: 바바리아 |
종교 | 기독교 |
1. 개요
로마 제국(서로마 제국)의 62대 황제. 당시 서로마 제국 내의 실력자였던 오레스테스의 아들이다. 원래 이름은 로물루스였으며, 황제가 되면서 아우구스툴루스(작은, 어린 아우구스투스)가 덧붙었다. 서로마 제국이 오도아케르의 쿠데타로 멸망하면서,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남게 되었다.2. 생애
2.1. 즉위
동로마에서 임명하여 글리케리우스 황제를 쫓아낸 율리우스 네포스가 황제로 있었지만, 이 당시 양 로마 제국 간의 사이가 좋지 않았던 데다 리키메르 사후 그의 지지세력이 동로마 제국과 척을 지게 되면서 그 지도자인 오레스테스[1]는 동로마 제국의 뜻을 무시하고 자신의 아들을 황제로 추대한다.[2] 아이러니하게도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되었다.2.2. 폐위
서로마 제국에 용병으로 고용되어 있던 야만족 출신의 장교들이 봉급으로 땅을 요구했는데 오레스테스가 무슨 배짱에서인지[3]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이 때문에 이들이 오도아케르를 리더로 하여 로마에 쳐들어와서 전투에서 이기고[4] 오레스테스를 죽인 다음 라벤나로 들어가 황제를 폐위시켰다.
물론 여전히 율리우스 네포스는 자신을 제국 서방 황제로 자칭했으며 동로마 제국 측에서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황제 취급하지 않았지만, 율리우스 네포스는 이탈리아 반도에는 들어가 보지도 못하고 죽은 데다, 이후 이탈리아를 손에 넣은 오도아케르가 서로마 황제위를 정식으로 동로마 황제에게 반납하는 제스처[5]를 취하면서 이때를 계기로 서로마 제국 황제위는 동로마에게 흡수되어 사실상 사라졌다.
2.3. 이후 생애
한 사서에 따르면,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는 미소년이었고 여기에 오도아케르가 마음이 약해졌다고 한다. 오도아케르의 관용 덕택인지 그는 6000솔리두스의 연금을 받고 안전하게 퇴위할 수 있었고, 나폴리 근교의 자택으로 돌아갔으나, 그 뒤는 아무런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다. 그 난리통 속에서도 기원후 500년 이후까지도 살아 있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구체적인 근거는 없다. 다만, 테오도리크 대왕이 편지를 보냈다는 기록이 있어 507~511년 사이 까진 살아있었던건 확실하며 적어도 동로마의 이탈리아 수복전 전에는 죽었을 것으로 보인다.3. 이름 관련 징크스
로마 제국은 '실질적인 창건자와 같은 이름을 가진 이의 치세에 멸망했다'는 서사는 역사학자들에게 큰 흥미를 끌었다. '로마국'을 세운 로물루스와 '제정 로마'를 세운 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모두 가진 이 인물이 마지막 서로마 황제가 되었고, 첫번째 '카이사르'와 이름이 같은 '율리우스' 네포스를 마지막 서로마 황제로 간주해도 마찬가지라, 이러한 서사는 이내 당대의 화젯거리가 되었다.문제는 서로마만 그렇게 사라졌다면 단순 화젯거리로 끝났을 이 서사가[6], 로마의 이름을 이어받은 나라들에게도 들어맞으면서 일종의 징크스로 되어버린 것이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크스#s-3.7|3.7]]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크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창작물에서
배우는 토머스 브로디생스터[7].
<마지막 군단>이라는 영화에서는 이 황제가 나중에 탈출해서 영국으로 가서 아서 왕의 조상이 된다는 내용을 그리기도 하였는데 고증 면에서 판타지에 가깝다. 동로마 제국이 황제를 보호하겠다고 했다거나 뒤늦게 오도아케르를 승인했다거나,[8] 아니면 410년에 이미 황제를 자칭한 인물에게 선동되어 극히 일부를 빼면 일찌감치 갈리아로 떠난 브리타니아의 군단이 서로마 멸망 시점에도 건재하다든가[9] 하는 게 대표적. 미나모토노 요시츠네가 몽골에 건너가 칭기즈 칸이 되었다는 스토리 급이다.
희극인 '로물루스 대제'라는 연극이 있다. 이 작품에선 국정에는 아무런 관심없이 닭이나 키우는 무능한 암군으로 나오는데,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는 어린 나이에 즉위했다가 폐위되어 능력을 입증할 기회조차 없었던 인물이었던 반면 여기에 나오는 로물루스는 결혼할 나이가 된 딸까지 있는 늙고 무능한 황제라서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멀고, 실제로 국정에 관심 없고 닭이나 키우던 인물은 서로마 초대 황제 호노리우스였다. 작가는 프리드리히 뒤렌마트로, 국내에선 야인시대 이승만 역으로 유명한 배우 권성덕이 암투병 이후 복귀작으로 나왔던 작품이라 그쪽 매니아들에게 조금 화제가 되었던 작품이기도 하다.
Why? 시리즈 유럽의 성립과 발전에선 길가의 풀숲에서 주인공(미르)와 대화하는 장면이 나온다.[10] 이때 오도아케르의 수하들이 나타나자 헤어지면서 마지막으로 하는 말이 상당히 서글프면서도 씁슬한 것이, 나는 오늘 황제 자리를 내놔야해.
마블 코믹스에서는 지저 세계에서 젊음의 샘을 찾고 영생을 얻은 대신 타락하여 헐크 계열 슈퍼빌런 티라누스(Tyrannus)가 되었다는 설정.
5. 둘러보기
서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 | ||||||||||
최후의 순간 | → | 이탈리아 상실 | ||||||||
62대 율리우스 네포스 | ← | 63대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 오도아케르 | |||||||
율리우스 네포스 |
[1] 참고로 아틸라에게 부역한 매국노이긴 하지만 엄연한 로마인이었다.[2] 오레스테스 본인이 로마인이라서 법적으로는 황제가 되는데 하자가 없었지만, 아틸라에게 부역했던 경력 때문에 이미지가 안 좋아서 어린 아들을 황제로 추대했다.[3] 당시 서로마 정규군은 극도로 약화되어 있었던 데다 그나마도 각 지역에 사실상 정착하다시피 한 게르만족에 맞서 분산되어 방어전을 벌이느라 라벤나를 구원할 여력이 없었다. 이들은 서로마 멸망 이후에도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각개격파당하여 대부분 전멸한다.[4] 두 번 모두 이겼고 두 번째 전투에서 오레스테스를 참살했다.[5] 서로마 황제의 관을 보냈다. 물론 동로마 황제는 당연히 이걸 인정하지 않았고 이는 이후 오도아케르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보낸 테오도리크에게 죽는 원인이 된다.[6] 당장 서로마가 멸망해도 동로마는 멀쩡했고, 이후로도 천년은 더 갔으니...[7] 영화 촬영 당시 세는 나이로 16살, 개봉 당시 18살이었다. 동안으로 유명한 배우 답게 영화에서는 배우의 실제 나이보다 어려보이게 나온다. 그래서 배우가 10대 중후반임에도 불구하고 제위 당시 10대 초반이었던 실제 역사속의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와 위화감이 없다.[8] 로물루스 황제는 애당초 동로마 제국의 승인을 받지 않고 옹립되었으며 그렇다고 오도아케르를 승인하지도 않았다. 테오도리크가 왜 오도아케르를 죽일 수 있었는가를 생각해 보자.[9] 오히려 건재했던 군단은 갈리아 지역에 배치되어 게르만족에 맞서 싸우고 있던 군단들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프랑크족과 마지막까지 싸웠지만 결국 중과부적으로 전멸한다.[10] 이때 주인공에게 충고한 것이 미르가 퀘스트 해결에 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