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2 09:03:09

미하일 4세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99대 황제
미하일 4세
Μιχαὴλ Δ´
파일:Michael_IV_the_Paphlagonian_(cropped).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미하일 4세 파플라고니아
(Μιχαὴλ (Δ´) ὁ Παφλαγών)
출생 1010년
동로마 제국 파플라고니아
사망 1041년 12월 10일 (향년 30-31세)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1034년 4월 11일 ~ 1041년 12월 10일 (7년)
전임자 로마노스 3세
후임자 미하일 5세
배우자 조이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생애
2.1. 즉위 이전2.2. 즉위2.3. 황제 미하일 4세
2.3.1. 내치2.3.2. 외치
2.4. 최후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99대 황제이자 파플라고니아 왕조의 창건자[1][2]. 그의 형이자 환관인 요안니스 오르파노트로포스와 조이 황후의 도움으로 황제에 올라 나름대로 제국을 잘 이끌었으나 31살에 요절했다.

만약 그가 장수했다면 바실리오스 2세만은 못하더라도 미하일의 뒤를 이은 미하일 5세보다는 훨씬 안정적으로 제국을 통치할 수 있는 적어도 명군 소리를 들었을 것이다.

2. 생애

2.1. 즉위 이전

미하일은 1010년경 파플라곤의 소작농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에서 환전상으로 일했다. 그의 형 요안니스 오르파노트로포스는 환관으로 발탁되어 황궁에 있는 여성들의 숙소를 관장했다. 요안니스는 미하일을 비롯한 세 동생들을 책임지기 위해 일자리를 알선해줬다. 이무렵, 조이 황후는 50대의 나이에 60살의 로마노스 3세와 결혼했다. 두 부부는 아이를 가지려 했지만 고령의 나이였기 때문에 실패했고, 두 사람 관계는 소원해졌다. 로마노스는 그녀와 침대를 함께 쓰기를 거부하고 아내가 국고에 접근하는 걸 차단하고 소액의 연금만 줬다. 그러던 1033년, 조이는 요안니스 오르파노르포스의 소개로 미하일과 만났다. 조이는 잘생기고 매력적인 10대 청년에게 반했고 그를 정부로 삼았다. 이후 세간에서 미하일과 조이가 황제를 시해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자, 로마노스 3세는 미하일에게 성해에 걸고 무죄를 맹세하라고 요구했다. 미하일은 선뜻 그렇게 했고, 로마노스는 마음이 누그러져 미하일을 자신의 수행원으로 삼았다.

2.2. 즉위

1034년 4월 11일, 로마노스 3세는 그의 목욕탕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다. 당대 기록들은 황제가 익살, 교살되었거나 독살당했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평소 몸이 안 좋았던 황제가 목욕 도중 심장마비나 발작으로 죽어버렸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무튼 로마노스가 사망한 직후, 조이는 미하일과 결혼했고 다음날 총대주교 알렉시오스 1세를 불러 새 황제의 대관식 주례를 맡았다. 이후 미하일 4세는 대관식을 치르고 모든 신하들로부터 충성을 서약받았다. 콘스탄티노플 시민들 역시 무리한 토목 공사를 일삼았던 로마노스 황제에게 불만이 많았기 때문에 미하일의 석연치 않은 즉위에 반발하지 않았다.

2.3. 황제 미하일 4세

2.3.1. 내치

미하일은 즉위 초기에는 조이와 함께 제국을 공동으로 통치했다. 그러나 그는 조이가 로마노스 3세를 배신한 것처럼 자신 역시 배신할 것을 걱정했고 그의 형이자 환관인 요안니스 오르파노르포스 역시 조이가 권력을 잡게 된다면 위험해진다고 경고했다. 결국 미하일은 조이를 규방에 가두고 엄중하게 감시하게 했고, 그녀에게 로마노스 때보다 훨씬 적은 연금을 줬다. 그녀의 친구들은 허가 없이는 그녀를 만나러 오지 못했다. 이후 미하일은 형 요안니스에게 많은 권력을 양도하면서도 제국을 위한 개혁을 실시했다.

미하일은 형에게 재정과 세금의 문제를 맡기고 나머지 모든 일은 자신이 직접 도맡아 처리했다. 그는 지방 행정과 대외 관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고 로마노스 3세의 실정으로 사기가 떨어졌던 군대를 어느 정도 복구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비록 정규 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배우는 속도가 빨라서 여러 뛰어난 학자들의 가르침을 모조리 깨우쳤다. 그는 간질 환자였으나 정서적으로 매우 건전해 화를 내거나 언성을 높이는 법이 없었고 침착하면서도 빠르게 말했으며 타고난 재치와 표현력을 자주 선보이곤 했다.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그가 비천한 가문 출신에 간질 환자라는 핸디캡을 안고서도 이 정도로 탁월한 능력을 갖추고 제국을 잘 이끌어가는 것에 탄복했다.

하지만 그가 이렇듯 성실하게 제국을 다스리는 동안 그의 형 요안니스 오르파노르포스는 과도한 세금을 매겨 백성들의 반발을 샀다. 특히 그는 세금을 회피하기 일쑤였던 아나톨리아 귀족들에게도 세금을 확실하게 뜯어냈다. 이에 반발한 귀족들은 종종 봉기를 일으켰고 1034년엔 콘스탄티노스 8세로부터 황제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콘스탄티노스 달라세노스가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게다가 요안니스는 바실리오스 2세 이래 현물로 세금을 납부해오던 불가리아 주민들에게 현금 납부를 강요해 그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켰다. 그 결과, 불가리아 주민들은 제국을 상대로 봉기한다.

2.3.2. 외치

1038년, 미하일은 요안니스의 추천을 따라 매제인 스테파노스를 수송 함대 사령관, 게오르기오스 마니아케스를 육군 사령관으로 삼고 시칠리아 원정을 단행했다. 시칠리아 원정은 본래 바실리오스 2세가 1026년에 단행하려 했으나 그 전해에 죽는 바람에 지연된 것이었고, 현재 시칠리아에 근거지를 둔 사라센인들이 남부 이탈리아의 동로마 영토를 침략하고 지중해에서 해적질을 했기 때문에 미하일로서는 반드시 정벌해야 했다. 게다가 마침 시칠리아에서 내분이 일어나면서 성공 확률이 더 높아졌다. 급기야 팔레르모의 지배자 알 아칼은 반란군에게 시달리다가 1035년 동로마 제국에게 구원을 호소해 가뜩이나 시칠리아를 정벌하려 했던 제국군에게 좋은 명분을 제공했다. 비록 알 아칼은 곧 암살되었지만 동로마 제국은 어차피 명분은 제공되었으니 그대로 원정을 단행했다.

1038년 초여름, 시칠리아 원정군이 출격했다.(마니아케스의 시칠리아 원정) 늦여름에 시칠리아에 상륙한 원정군은 파죽지세로 밀고 나갔다. 사라센군은 분열된 상태에서도 용감히 싸웠으나 제국군의 기세를 전혀 막지 못했다. 제국군은 순식간에 메시나를 손에 넣었고 팔레르모로 가는 북부 해안 도로와 메시나를 잇는 고개를 통제하는 중요한 요새인 로메타[3]도 격전 끝에 함락시켰다. 1040년에 시라쿠사를 함락시켰던 등 시칠리아의 동해안 전체를 장악했었다고 한다.[4]

그러나 시라쿠사를 공략한 후 원정군은 문제에 직면했다. 게오르기오스 마니아케스와 스테파노스가 서로 갈등을 빚었던 것이다. 'History Times'이라는 유튜버의 영상 'Normans in Italy // Wars of the Lombards & Byzantines (1008-1053)'의 21분 35~50초 즈음에 따르면, 여러 해안가의 도시들을 봉쇄 후 함락해나가는 과정에서 스테파노스가 마니아케스만큼 철저하지 못해 전멸시키지 못하고 일부 이슬람군이 도시를 탈출해 배로 도망가는 것을 허용하게 되자 마니아케스는 스테파노스를 모욕을 담아 질책하였으며, 나아가 무능하다면서 공개적으로 채찍질을(publicly whipping) 했다고 한다. 스테파노스가 과연 남자인지 의심스럽다면서 황제에게 즐거움이나 주는 자(즉 남색 상대라는 의미)일 뿐이라고 조롱했다고도 한다. 그래도 스테파노스는 황제의 인척인데 이는 정치적으로 큰 실책이었다. 이에 스테파노스는 복수를 결심하고 콘스탄티노플에 긴급 사자를 보내 마니아케스를 반역자라고 몰아붙였다. 그러자 마니아케스는 소환되어 변명할 기회도 빼앗긴 채 투옥되었다.

한편 남이탈리아의 랑고바르드계 3대 공국 중 하나인 살레르노 공국이 보내준 파견부대 대장인 아르두인이[5] 이슬람측으로부터 생포한 말을 바치라고 요구받았는데 아르두인이 거절하자, 마니아케스는 아르두인을 벗기고서는 두들겨 팼다고도[6] 한다.[7] 즉 마니아케스는 그 시대 최고의 장군이었지만 국내정치에서든, 외국(혹은 포이데라티)와의 관계에서든 인화력이 부족했던 것이다.[8] 이렇게 랑고바르드계 공국들이 빈정이 상해서 이탈하게 되자 이탈리아에서의 정세가 불리해졌고, 시칠리아 전선에서는 스테파노스가 총사령관을 맡았으나 얼마 안 가 병사했고, 환관 바실리오스가 그 뒤를 이었지만 변변치 못해 원정군의 사기가 뚝 떨어지는 걸 막지 못했다. 결국 원정군은 힘을 잃고 퇴각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042년에는 마지막 전초기지인 메시나를 다시 뺏겨 시칠리아 재정복이 무산되었음은 물론, 이 때가 동로마의 마지막 시칠리아 영유였다. 즉 이 이후에는 손도 못 댔다.[9] 위의 각주에서 이 1042년이 아닌 902년이나 965년을 동로마의 마지막 시칠리아 영유로 간주하는 것은 이 때에는 오래 안정적으로 영유했던 것이 아니라 전쟁 중의 일시적인 손바뀜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1038년 아풀리아에서 반란이 일어나 일부 지휘관들이 살해되었고 1040년에는 동로마의 군사 총독이 살해되었으며 현지 민병대가 해안 지대에서 연이어 폭동을 일으켰다. 특히 노르만 용병대는 베네벤토 공자 아테눌프를 지도자로 선출하고 이탈리아 속주 총독 엑사고스토스를 생포하기까지 했다. 이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시칠리아 원정군 일부가 긴급히 파견되었고 몇 개월 뒤에는 메시나를 제외한 시칠리아 전역이 도로 사라센의 수중에 들어갔다.

1040년, 불가리아인들은 제국의 수탈에 맞서 페터르 데얀(Peter Delyan)의 지도 아래 폭동을 일으켰다. 몇 주 뒤 페터르의 사촌인 알루시안이 콘스탄티노플을 탈출해 반란 세력에 합류했다. 두 사람은 순식간에 불가리아 서부에서 비잔티움 세력을 몰아낸 다음 북부 그리스를 침공했다. 그해 말, 그들은 다라키온을 손에 넣고 아드리아 해로 나가는 길을 확보한 후 곧이어 남쪽의 레판토 만까지 진출한 후 동쪽의 테베를 공략하려 했다.

이 소식을 접한 미하일은 친정을 선포했다. 당시 그는 괴저병으로 두 다리가 끔찍하게 부어올라 거의 마비 상태였고 조금만 움직여도 통증이 심했다. 형제들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이 극구 만류했지만 그의 고집을 꺾지는 못했다. 그는 자기 치세에 제국의 영토가 전혀 늘어나지 않았다면서 적어도 줄어들게 놔두지는 않겠다는 각오를 보였다. 미하일 프셀로스는 황제가 세심하게 원정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한 뒤 군대를 이끌고 국경을 넘어섰을 때, 지휘관들이 진지에 남아있으라고 권했으나 이를 묵살하고 말에 올라타더니 안정된 자세로 능숙하게 말을 몰았다고 기술했다.

황제가 전선에 막 이를 때 페터르과 알루시안이 서로 내분을 벌였다가 알루시안이 페터르의 눈과 코를 잘라버리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 뒤 봉기가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그는 황제에게 항복할 테니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가달라고 제안했다. 이리하여 미하일은 1041년 초에 눈과 코를 잃은 페터르을 비롯한 수많은 포로들을 거느리고 수도에 개선했다.

2.4. 최후

그의 뇌전증과 수종병은 결국 치료되지 않았으며, 미하일 4세는 이것을 로마노스 3세를 암살하고 제위를 찬탈한 데 대한 천벌이라 여겨 짧은 재위 기간 내내 참회 기도를 드리고 기부와 자선을 하며 종교에 집착하였다. 하지만 결국 회복하지 못하였고 불가리아 반란을 제압한 직후인 1041년 12월 10일 31살의 젊은 나이에 죽었다. 슬하에 자녀가 없어 조카인 미하일 5세를 후계자로 삼았다.


[1] 그가 파플라고니아인이어서 파플라고니아 왕조라고 한다[2] 마케도니아 왕조의 제12대 황제이기도 하다[3] Rometta. 이 시칠리아 원정 이전에는 이 로메타가 동로마 입장에서 진짜로 마지막 거점이었고, 965년에 함락되었었다. 으레 902년에 함락된 타오르미나(Taormina)가 동로마 측의 시칠리아 내 마지막 거점으로 알려져 있으나, 진짜 마지막은 로메타였다. 영어 위키백과 Muslim conquest of Sicily 중 'The Muslim conquest of Sicily began in June 827 and lasted until 902, when the last major Byzantine stronghold on the island, Taormina, fell. Isolated fortresses remained in Byzantine hands until 965, but the island was henceforth under Muslim rule until conquered in turn by the Normans in the 11th century.' 및 'Although few strongholds in the northeast remained unconquered and in Christian hands, the fall of Taormina marked the effective end of Byzantine Sicily, and the consolidation of Muslim control over the island.' 등의 대목이 있다.[4] 영어 위키백과 Muslim conquest of Sicily 중, 'Maniakes quickly recaptured the entire eastern coast' [5] 동로마-롬바르드는 남이탈리아에서 6세기 말 이래로 전통적인 숙적이었지만, 어떤 면에서는 그 땅에서 어울려 산 지 수백년 되어 서로 섞였을 뿐더러, 이슬람 상대로는 교파, 국적, 종족 등의 차이를 덮고서 동맹해서 싸운 일도 더러 있었고 이 케이스도 그 중 하나이다.[6] 마찬가지로 윗 각주 영상 22분 20~30초 즈음에 'when Ardoin refused to surrender a captured horse to the Byzantine general, Maniakes had him stripped and beaten'이라고 나온다.[7] George Maniakes 중 'However, he soon ostracised his admiral, Stephen, whose wife was the sister of John the Eunuch, the highest ranking man at court, and, by publicly humiliating the leader of the Lombard contingent, Arduin, he caused them to desert him, with the Normans and Norsemen.'[8] 이래서인지 몰라도 후대 콘스탄티노스 9세 때 반란을 일으켰는데 반란군의 최전선에서 같이 싸우다 죽었다.[9] 영어 위키백과 Muslim conquest of Sicily 중, 'The Kalbids soon recovered their losses, and Messina, the last Byzantine outpost, fell in 1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