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2:19:23

안테미우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안테미우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sine collega: 동료 없이 단독 선출
  • Annus A post consulatum B (et C): B(와 C)의 집정관 집권으로부터 A년 뒤
황제 겸 집정관 }}}
401년 402년 403년 404년
플라비우스 빈켄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프라비타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루모리두스
동방 아리스타이네투스
405년 406년 407년 408년
플라비우스 스틸리코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아니키우스 아우케니우스 바수스
아니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부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필리푸스
동방 플라비우스 안테미우스
409년 410년 411년 412년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바라네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sine collega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테르툴루스
브리타니아·갈리아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413년 414년 415년 416년 417년
헤라클리아누스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콘스탄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콰르투스 팔라디우스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418년 419년 420년 421년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모낙시우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플린타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동방 플라비우스 에우스타티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아그리콜라
422년 423년 424년 425년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Ⅲ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동방 플라비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빅토르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카이사르
서방 플라비우스 아비투스 마리니아누스 플라비우스 카스티누스 요안네스 아우구스투스
426년 427년 428년 429년 430년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히에리우스 플라비우스 펠릭스 플라비우스 플로렌티우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Ⅲ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르 플라비우스 타우루스 플라비우스 디오니시우스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431년 432년 433년 434년
동방 플라비우스 안티오쿠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플라비우스 아레오빈두스
서방 아니키우스 아우케니우스 바수스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르 아스파르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Ⅳ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435년 436년 437년 438년 439년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Ⅴ 플라비우스 안테미우스 이시도루스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Ⅵ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Ⅶ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세나토르 플라비우스 시기스불투스 아니키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파우스투스 페스투스
440년 441년 442년 443년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타우루스 셀레우쿠스 키루스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플라비우스 아나톨리우스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파테리우스
동방 플라비우스 에우독시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디오스코루스
444년 445년 446년 447년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ⅩⅧ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카이키나 데키우스 아기나티우스 알비누스 플라비우스 노무스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
동방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르
서방 플라비우스 칼레피우스
448년 449년 450년 451년
동방 플라비우스 제노 플라비우스 Flor(entius) 로마누스 프로토게네스 마르키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루피우스 프라이텍스타투스 포스투미아누스 플라비우스 아스티리우스 발레리우스 팔토니우스 아델피우스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겐나디우스 아비에누스
452년 453년 454년 455년
동방 플라비우스 스포라키우스 요안네스 빈코말루스
서방 플라비우스 바수스 헤르쿨라누스 플라비우스 오필리오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플라비우스 플라키두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스투디우스 프로코피우스 안테미우스
456년 457년 458년 459년
동방 바라네스 플라비우스 파트리키우스
요한네스
서방 에파르키우스 아비투스 아우구스투스 율리우스 발레리우스 마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리키메르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콘스탄티누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루푸스
460년 461년 462년 463년
동방 플라비우스 아폴로니우스 플라비우스 다갈라이푸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토니누스 메살라 비비아누스
서방 플라비우스 마그누스 플라비우스 세베리누스 리비우스 세베루스 아우구스투스 카이키나 데키우스 바실리우스
464년 465년 466년 467년
플라비우스 루스티키우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푸사이우스
아니키우스 올리브리우스 (타티아누스) 플라비우스 요한네스
동방 플라비우스 바실리스쿠스
서방 플라비우스 헤르메네리쿠스
468년 469년 470년 471년
프로코피우스 안테미우스 아우구스투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sine collega 카일리우스 아코니우스 프로비아누스
동방 플라비우스 제노 플라비우스 요르다네스
서방 플라비우스 마르키아누스 메시우스 포에부스 세베루스
472년 473년 474년 475년
동방 플라비우스 마르키아누스
서방 루피우스 포스투미우스 페스투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레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제노 아우구스투스
sine collega sine collega sine collega
476년 477년 478년 479년 480년
플라비우스 바실리스쿠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Basilisci Augustiet Armati 일루스 플라비우스 제노 아우구스투스 카이키나 데키우스 막시무스 바실리우스
플라비우스 아르마투스 sine collega sine collega sine collega
481년 482년 483년 484년
동방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아팔리우스 일루스 트로쿤데스 Annuspost consulatum Trocundi 플라비우스 테오데리쿠스
서방 루피우스 아킬리우스 마이키우스 플라키두스 세베리누스 아니키우스 아킬리우스 아기난티우스 파우스투스 데키우스 마리우스 베난티우스 바실리우스
485년 486년 487년 488년
동방 Annuspost consulatum Theoderici 플라비우스 롱기누스 Annuspost consulatum Longini Annuspost consulatum Longini
서방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멤미우스 심마쿠스 카이키나 마보르티우스 바실리우스 데키우스 Nar. 만리우스 보에티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우스 에클레시우스 디나미우스
루피우스 아킬리우스 시비디우스
489년 490년 491년 492년
동방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플라비우스 롱기누스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아나스타시우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페트로니우스 프로비누스 아니키우스 프로부스 파우스투스 플라비우스 올리브리우스 플라비우스 루푸스
493년 494년 495년 496년
동방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Annuspost consulatum Eusebii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파울루스
서방 카이키나 데키우스 파우스투스 알비누스 투르키우스 루피우스 아프로니아누스 아스테리우스 플라비우스 비아토르 Annuspost consulatum Viatoris
플라비우스 프라이시디우스
497년 498년 499년 500년
동방 플라비우스 아나스타시우스 아우구스투스 요한네스 스키타 요한네스 퀴 에트 깁부스 플라비우스 파트리키우스
플라비우스 히파티우스
서방 Annuspost consulatum Viatoris 플라비우스 파울리누스 Annuspost consulatum Paulini Annuspost consulatum Paulin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58대 황제
안테미우스
ANTHEMIVS
파일:Solidus_of_Anthemius.pn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PROCOPIVS ANTHEMIVS
프로코피우스 안테미우스
출생 미상
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사망 472년 7월 11일
로마 제국 로마
재위 기간 로마 황제
467년 4월 12일 ~ 472년 7월 11일 (5년 92일)
전임자 리비우스 세베루스
후임자 올리브리우스
배우자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58대 황제로, 서방 제국의 황제이며, 동방 제국의 황제 마르키아누스사위. 어쩌면 마요리아누스 황제 다음으로 가장 노력한 황제로 열심히 노력했으나 끝내 서로마 제국 최고 권력자에게 사망하게 된다.

2. 상세

테오도시우스 2세의 유년기에 섭정을 한 동방 대관구장(Praetorian prefect of the East) 안테미우스[1]의 외손자이며[2], 발렌스 황제 때의 반란자이자 율리아누스의 이종사촌이던 프로코피우스의 친 증손자(아들의 아들의 아들)이다.[3] 453년경 마르키아누스의 딸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와 결혼했다.

마르키아누스가 죽은 이후 실세 아스파르는 안테미우스 대신 본인의 부하 장수인 레오를 옹립했는데, 이는 안테미우스는 여러 고위 귀족 및 황제의 인척이거나 후손이라 마음대로 조종하기에 부담스러웠던 반면 레오는 그런 혈연이 전혀 없는 평민 출신이기 때문에 조종하기 쉬웠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때문에 레오가 즉위하고 나서도 안테미우스의 존재는 불안 요소였다. 레오 1세는 나름대로 군사적인 능력이 있었던 안테미우스를 서로마 황제로 임명해서 북아프리카의 반달족을 방어할 겸, 그리고 그게 불가능해도 서로마에서 알아서 제거하게 할 생각으로 멀리 쫓아내고자 하였고, 결국 성공했다. 당시 서로마 황제 직위가 이런 동로마 내 계승 투쟁에서 밀린 사람을 차도살인용으로 밀어내는 정도로 전락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안테미우스는 서로마로 유배당했는데 서로마로 가던 도중 뜻밖의 우군을 얻게 된다. 당시 달마티아 지역의 마기스테르 밀리툼(사령관)으로 있던 마르켈리누스(Marcellinus)는 서로마제국의 직전 황제였던 마요리아누스의 휘하에 있던 장수였는데, 마요리아누스가 리키메르에게 살해당하자 리키메르에게 반기를 들고 반독립 세력이 되어 있었다.

안테미우스가 새로운 서로마 황제로 즉위한다는 소식을 들은 마르켈리누스는 안테미우스와 손을 잡고 그의 호위세력을 자처하게 된다. 이로써 달마티아는 다시 서로마의 영역으로 편입된다.

안테미우스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직에 오른 후 당시 서로마를 좌지우지하고 있던 권신 플라비우스 리키메르(Flavius Ricimer)에게 딸 알리피아를 시집보내면서 정치적으로 연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안테미우스는 그리스인이고 철학자였기 때문에 이교를 부활시킬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받았고, 실제로 친한 친구였던 이교 철학자 메시우스 포이부스 세베루스에게 로마 시장(Praefectus urbi)과 집정관직을 맡겼다. 또한 (저 위에 사진에 있듯이) 그가 발행한 동전의 뒷면에는[4] 네메아의 사자를 때려잡는 헤라클레스를 새겼는데, 이는 사라졌던 로마 다신교를 부활시킨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런 이교적 성향 때문에 안테미우스는 서로마에서 인기가 없었다.

게다가 안테미우스와 리키메르의 사이도 점점 벌어졌는데, 허수아비 황제를 두고 편하게 통치하려던 리키메르의 의도와는 달리 안테미우스는 능력 여부를 떠나 일단 황제로써의 역할에 욕심을 보였기 때문이다. 리키메르와 알리피아의 부부관계도 좋지 않았던데다 안테미우스의 지지 기반이었던 마르켈리누스는 리키메르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이 때 동로마 황제 레오 1세가 반달족을 정벌하기 위한 대규모 원정을 계획하는데, 아프리카 원정에 앞서 마르켈리누스가 시칠리아에 있던 반달족을 쫓아내고 시칠리아를 정복한다. 마르켈리누스는 이어 아프리카의 반달 정벌에도 참여하려고 하지만 리키메르의 반대로 무산되고 시칠리아 방어에 주력하게 된다.[5]

마르켈리누스가 빠진 반달족 정복계획은 결국 대실패로 돌아가는데, 당시 해군 총사령관을 맡은 레오 1세의 처남 바실리스쿠스의 무능함 때문이었다.[6] 이 원정의 실패를 끝으로 로마 제국은 유스티니아누스가 고토를 회복할 때까지 아프리카의 곡창지대를 영영 차지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설상가상으로 시칠리아에 있던 명장 마르켈리누스마저 암살당한다. 누가 암살했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암살의 배후에도 리키메르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로마의 대함대를 격파하고 승리한 반달 왕 가이세리크는 기세를 몰아 올리브리우스를 앉히고자 압력을 넣었다. 올리브리우스와 가이세리크의 아들 후네릭은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딸들을 각각 아내로 맞은, 한국식으로 말하면 동서였기 때문이다. [7] 이런 가운데 안테미우스는 갈리아의 남부 서부를 거의 장악하고서 몇 안 남은 로마령이었던 아를을 포위한 서고트 왕국에 맞서 아들 안테미올루스를 출진시켰는데 결국 서로마군은 크게 패하고 안테미올루스 또한 전사하며 갈리아 일대의 몇 안 남은 거점들마저 뺏기게 되었다. 안 그래도 제위 유지가 위태위태하던 안테미우스에게 이는 치명타가 되었다.[8] 리키메르는 올리브리우스를 새 황제로 옹립하였고, 472년 로마에 있는 안테미우스를 공격한다.

싸움은 안테미우스가 리키메르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는 양상으로 전개됐다. 안테미우스의 강력한 우군이었던 마르켈리누스는 이미 죽었고 동로마 제국은 애초에 차도살인의 목적으로 안테미우스를 서로마에 보냈기 때문에 두 사람의 싸움에 신경쓸 이유가 전혀 없었다.

안테미우스는 얼마 안되는 병력으로 로마에서 몇달간 버텼지만 결국 리키메르의 군대를 당해내지 못하고 로마는 함락되었다. 로마는 안테미우스가 고용한 게르만족 용병들에게 약탈당했고[9] 안테미우스는 거지로 변장하여 성당으로 숨어 들어갔지만, 결국 리키메르에게 들켜 살해당했다.[10] 안테미우스의 죽음으로 인해 그가 꿈꿨던 로마 다신교의 부활도 무산되었다.

이로써 권신 리키메르는 아비투스, 마요리아누스, 세베루스, 안테미우스 네 명의 황제를 살해하는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리키메르 역시 안테미우스가 죽은 지 40여일이 지난 후에 알수 없는 이유로 급사하고[11] 새로 황제가 된 올리브리우스도 리키메르의 조카 군도바트에게 즉위 후 3개월여만에 살해당한다.

그리고 고작 4년만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게 된다.
[1] 당시에 아직 어렸던 황제 대신 테오도시우스 성벽 건설을 진두지휘했다.[2] 영어 위키백과 Anthemius (praetorian prefect) 중 'Through his daughter's marriage to magister militum Procopius, he became maternal grandfather to the later Western Emperor Anthemius.'[3] 영어 위키백과 Procopius (usurper) 중, 'His first wife was probably Artemisia, having married secondly the dowager Empress Faustina, while the Roman general of the 5th century Procopius and his son, the Emperor Anthemius, were among his descendants, the first being the son of his son Procopius.'[4] 애초에 허수아비 격으로 앉힌 데다가, 몇 년 밖에 재위 못했고, 서로마가 망하려면 10년도 안 남았는데 동전을 2종 이상 찍었으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5] 리키메르가 마르켈리누스의 반달 원정 참여를 반대한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있는데, 학자들은 대체로 안테미우스의 힘이 커질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6] 반달족 왕 가이세리크가 평화 협정을 제안하자 거기 넘어가 아무 대책 없이 카르타고 항에 기항했다가 야습을 받아 절반의 함대를 날려먹고 콘스탄티노플로 퇴각했다. 이 때문에 해군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 나머지 공격 부대도 반달족의 연이은 기습을 받아 궤멸된다. 이 전투는 본 곶 해전으로 알려져 있다.[7] 영어 위키백과 Ricimer 중, 'Genseric supported Olybrius' candidacy for emperor. Genseric had family ties with Olybrius as both Olybrius and Genseric's son Huneric had married the two daughters of Valentinian III. With Olybrius on the throne, Genseric would become the real power behind the throne in the West, replacing Ricimer.'[8] 영어 위키백과 Battle of Arles (471) 중, 'Alarmed with this development, Emperor Anthemius sent an expedition under Anthemiolus across the Alps against the Visigothic king Euric, who was besieging Arles. Euric crushed the Roman army and killed Anthemiolus and three Roman counts. Euric subsequently captured Arles and much of southern Gaul. The defeat in Gaul was a direct cause of the subsequent overthrow of Anthemius as emperor by Ricimer.'[9] 이 때 리키메르가 고용한 용병 중에는 나중에 서로마를 멸망시키는오도아케르도 있었다.[10] 영어 위키백과 Ricimer 중, 'Disguised as a beggar, the emperor was caught attempting to flee the city at the Church of Santa Maria in Trastevere, where he was beheaded on July 11, 472.'[11] 암살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