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01:31:25

플로브디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블라고에브그라드 주.svg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블라고에브그라드)
파일:부르가스 주.svg
부르가스주
(부르가스)
파일:도브리치 주.svg
도브리치주
(도브리치)
파일:가브로보 주.svg
가브로보주
(가브로보)
파일:하스코보 주.svg
하스코보주
(하스코보)
파일:커르잘리 주.svg
커르잘리주
(커르잘리)
파일:큐스텐딜 주.svg
큐스텐딜주
(큐스텐딜)
파일:로베치 주.svg
로베치주
(로베치)
파일:몬타나 주.png
몬타나주
(몬타나)
파일:파자르지크 주.svg
파자르지크주
(파자르지크)
파일:페르니크 주.svg
페르니크주
(페르니크)
파일:플레벤 주.svg
플레벤주
(플레벤)
파일:플로브디프 주.svg
플로브디프주
(플로브디프)
파일:라즈그라드 주.png
라즈그라드주
(라즈그라드)
파일:루세 주.svg
루세주
(루세)
파일:슈멘 주.svg
슈멘주
(슈멘)
파일:실리스트라 주.png
실리스트라주
(실리스트라)
파일:슬리벤 주.png
슬리벤주
(슬리벤)
파일:스몰랸 주.png
스몰랸주
(스몰랸)
파일:소피아 시.png
소피아
파일:소피아 주.svg
소피아주
(소피아)
파일:스타라자고라 주.svg
스타라자고라주
(스타라자고라)
파일:터르고비슈테 주.png
터르고비슈테주
(터르고비슈테)
파일:바르나 주.png
바르나주
(바르나)
파일:벨리코터르노보 주.svg
벨리코터르노보주
(벨리코터르노보)
파일:비딘 주.png
비딘주
(비딘)
파일:브라차 주.svg
브라차주
(브라차)
파일:얌볼 주.svg
얌볼주
(얌볼)
}}}}}}}}}

플로브디프
Пловдив
파일:Plovdiv_flag.svg.png 파일:Plovdiv-coat-of-arms.svg.png
깃발 휘장
Древен и вечен
고대와 영원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e2382a> 국가 <colbgcolor=#fff,#00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불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불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SO 3166-2 BU-SO
}}}}}}}}} ||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e2382a> 면적 <colbgcolor=#fff,#000>101.98km²
시간대 UTC+2 / +3(서머타임)
}}}}}}}}} ||
인문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e2382a> 인구 <colbgcolor=#fff,#000>675,586명(2020년)
인구밀도 271명/km²
}}}}}}}}} ||
웹사이트 <colbgcolor=#fff,#000> #

파일:Plovdiv_view.jpg

1. 개요2. 언어 표기3. 역사4. 경제5. 관광6. 출신인물7. 자매도시8. 기타

1. 개요

파일:Bulgaria_Bulgaria-0785_-_Roman_Theatre_of_Philippopolis_(7432772486).jpg
로마 시대 극장

불가리아 중남부에 위치한 제2의 도시이자, 유서깊은 도시. 사학도들에게는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이름인 필리포폴리스로 더 익숙할 것이다. 그 명칭은 도시의 실질적인 창건자인 마케도니아 왕국의 군주 필리포스 2세에서 비롯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트라키아 속주의 주도가 위치했었다.

2. 언어 표기

불가리아어 Пловдив
그리스어 Η Φιλιππούπολη
튀르키예어 Filibe

3. 역사

원래 이 일대는 트라키아 부족이 살았던 곳이다. 하지만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1세가 이 일대를 정복하였으며 크세르크세스 1세의 초기 통치까지 페르시아의 속국이 되었다. 하지만 마케도니아 왕국필리포스 2세가 플로브디프를 정복하였으며 페르시아의 속국이얶던 오드뤼사이 왕국의 국왕은 폐위되었다. 하지만 알렉산더 대왕 사망 후 마케도니아 왕국이 분열 되자 오드리시아 왕국의 세우테스 3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속국 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주권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로마 황제인 클라우디우스가 이 일대를 정복해서 트라키아 속주의 주도로 만들었다. 필리포폴리스는 불가리아 일대에 유일하게 고대 상수도 시스템을 갖추었고, 수많은 공공 건물, 신사. 목욕탕, 극장, 경기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로마 제국이 점차 쇠락하자 필리포폴리스는 고트족과 훈족들이 노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완전히 정복하지는 못하고 비잔틴 제국의 중요한 국경 요새가 되었다. 하지만 필리포폴리스 위에 자리를 잡고 있단 불가리아인들이 필리포롤리스는 맹렬하게 노리기 시작했다. 결국 불가르 칸국의 14대 칸인 크룸이 플로브디프를 정복하였다. 하지만 비잔틴 제국도 반격을 가해서 몇 번 탈환 하였지만 최종적으로 불가리아 제1제국의 보리스 1세 대에 이르러 플로브디프는 확실히 불가리아 땅이 되었다. 이후 1189년 제3차 십자군 원정 때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가 이끄는 십자군에 점령당하거나, 제4차 십자군 원정 때 엔리코 단돌로가 이끄는 십자군에 콘스탄티노플이 점령당하자 라틴 제국의 주요한 중심 도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동쪽에서 오스만 제국이 강성해지기 시작하고 결국 1364년 랄라 샤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이 플로브디프를 점령하였다. 오스만 제국 당시 플로브디프는 콘스탄티노플, 에디르네, 테살로니키, 소피아와 함께 발칸 반도의 주요한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무슬림이 주로 거주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로브디프는 불가리아 민족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또한 불가리아 문화와 전통의 중심지로 살아남았다. 19세기 유럽에 민족주의 운동이 거세지자 불가리아인들도 이에 영향을 받아 불가리아의 독립을 점차 원하게 되었다. 결국 제1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일어나자 불가리아 민중들은 들고 일어났고 1878년 1월 17일 알렉산드르 부라고가 이끄는 러시아군에 의해 플로브디프는 해방되었고, 불가리아 임시 러시아 행정부의 수도가 되었다.

1879년 3월 3일 산 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어서 불가리아는 독립하였다. 하지만 발칸 반도에 러시아 세력이 강성해지는 걸 원하지 않았던 다른 유럽 열강이 러시아에 맹렬하게 압력을 가하였고 결국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였고 플로브디프는 동부 루멜리아 자치구의 수도가 되었다. 하지만 불가리아인들은 동부 루멜리아 자치구와 통일을 원하였고 1885년 자하리 스토야노프는 수백명의 무장 반군을 이끌고 플로브디프로 진군하였다. 이에 세르비아인이 반란해 전쟁이 일어났지만 결국 세르비아는 패배하고 불가리아 공국과 동부 루멜리아 자치구는 통합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9월 6일을 통일의 날이자 플로브디프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플로브디프는 불가리아 제2의 도시로 발전하였으며 불가리아의 주요한 산업 및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4. 경제

플로브디프는 불가리아의 경제 수도로 식품 가공, 담배, 양조 그리고 섬유 산업이 발전하였다. 하지만 공산주의 정부가 무너지고 불가리아 계획 경제가 붕괴된 후 산업 단지들은 폐쇄되었다. 하지만 현재도 납과 아연, 기계, 전자제품, 자동차 트럭, 화학제품, 화장품들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몇 년 동안 IT및 아웃소싱 서비스 부분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5. 관광

플로브디프에는 200개 이상의 고고학 유적지가 있으며 그 중 30개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적지이다. 플로브디프는 로마 시대. 중세 성벽과 탑, 오스만 제국 시절 지어진 하맘과 모스크 등 여러 시대의 유적들이 매우 많다.
* 필리포폴리스 로마 극장 (Пловдивски античен театър) : 세계에서 가장 잘 보존 된 로마 극장 중 하나로 도미티아누스 통치 시기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극장은 5,000명에서 7,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현재도 사용 중이다.
* 필리포폴리스 경기장 (Античен стадион) : 2세기에 지어진 로마 경기장으로 30,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 필리포폴리스 로마 포럼 (Римски форум на Пловдив) : 로마 제국 시절 중심지로 필리포폴리스의 주요 축하 행사 및 국가 행사가 열린 곳이다.
* 네벳 테페 (Небет тепе) : 기원전 4,000여년 전 트라키아인들의 초기 정착지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와 로마 제국에 의해 확장되었다.
* 도무스 아테네 (Резиденция Ейрене) : 3세기 중반에 지어진 저택으로 저택 중앙 모자이크에 그려진 그리스 여신 아테네의 이미지에서 이름을 따왔다.
* 드주마야 모스크 (Джумая джамия) : 오스만 제국이 플로브디프를 점령한 후 옛 교회 부지에 세운 모스크로 이베리아 반도 지역을 제외하고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다.
* 플로브디프 시나고그 (Паметник за спасение на пловдивските евреи Шофар) : 1892년 지어진 유대인 회당으로 현재 불가리아에 남아있는 2개의 시나고그 중 하나이다.

6. 출신인물

7. 자매도시

8. 기타

  • 플로브디프는 일곱 개의 구릉 위에 조성된 도시로, '일곱 언덕의 도시' 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시가지는 마리차 강의 양안에 형성되어 있고 플로브디프가 주도인 동명의 주는 불가리아에서 가장 풍요로운 지역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