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향남읍 자원순환시설 화재 사고 | ||
| ||
소방 대응 최고 단계 | 2단계 | |
<colbgcolor=#8a0808><colcolor=#fff> 발화 시각 | 2023년 8월 25일 11시 10분[1] | |
발생 위치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 607-3 (장안로 662-107) (주)탑에코 | |
유형 | 화재 | |
원인 | 폐유 저장 탱크 폭발(추정) | |
대피 인원 | 최소 11명 | |
인명 피해 | <colbgcolor=#bc002d,#333333><colcolor=#fff> 사망 | 1명 |
부상 | 0명 | |
재산 피해 | 집계 중 | |
동원 | 인원 | 103명 |
장비 | 47대 | |
소방 헬기 5대 |
1. 개요
YTN 뉴스 | |
SBS 뉴스 |
해당 화재에 대해 소방 대응 2단계가 발령되었다.
2. 대응 및 경과
화재 발생 직후 서해안고속도로에서는 검은 연기가 내뿜어져 오는 게 그대로 운전자들에게 목격되었고[2] 급기야 화재 규모가 대형으로 번지자 향남졸음쉼터 부근 2km 구간을 통제해 한때 극심한 정체가 빚어지기도 했다.
화재가 발생한 지 20분도 지나지 않은 11시 16분 경 소방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
화재가 규모가 더욱 커지고 진압이 어려워지자 30분도 지나지 않은 11시 36분 경 소방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화성 화재에 대해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13시 35분 경 서해안고속도로의 양방향 교통 통제가 전면 해제되었다.
불길이 잦아들자 소방 대응 1단계로 하향하였지만 아직까지도 불길이 다 잡히지 않아 진화 작업에 돌입했다.
14시 35분 경 공장 내부에서 불에 탄 시신 1구가 발견되었다.
3. 피해
상당히 규모가 큰 대형 화재임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는 확인되지 않은 듯...싶었지만 결국 오후에 사망자 1명이 발견되었다. 해당 사람은 공장 내부 직원으로 추정되며 내부 직원은 모두 다 대피시켰다는 증언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실종 신고가 들어오면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이 화재로 탑에코를 비롯해 다른 공장까지 건물 6개 동이 전소되었다.
4. 여담
- 화재가 발생한 해당 공장은 탑에코라는 이름의 페유를 이용해 재생연료유 등을 만드는 자원 순환 시설이며 서해안고속도로와 완전히 맞닿아 있다. 2015년 10월 폐기물처리사업 허가를 받아 운영해 왔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유류 저장고는 810톤의 폐유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화재 발생 당일 직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당일 날 탱크의 압력 게이지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려고 했다고 하지만 정확한 확인은 더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건물 밖 야적장 운반 용기에서도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었다.
5. 관련 기사
6. 안전안내문자
7. 둘러보기
<rowcolor=#fff> 한국의 화재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color=#bc002d> 1426년 | <colcolor=#373a3c,#ddd>한양 대화재V |
1922년 | 행촌동 화재 사고? | ||
1950년대 |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A,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H | ||
1960년 | 1960년 서문시장 화재A,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A | ||
1970년대 |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 (1971년)A,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A, 뉴남산관광호텔 화재 A,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2~1975년)A, 1975년 서문시장 화재 (1975년)H | ||
1980년대 |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1983년)A,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4년)H,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7년)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1990년 | <colcolor=#373a3c,#ddd>혜영 용철 사건H, 1990년 연쇄 방화사건V |
1991년 | 거성관 방화 사건V | |
1992년 |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V | |
1994년 | 봉대산 불다람쥐 17년 연쇄 방화사건(~2011년)V | |
1995년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사건V, 남포동 노래방 화재사고H | |
1996년 | 1996년 고성 산불H,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V | |
1997년 | 부천 다세대주택 가스 폭발 사고V A | |
1999년 |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A,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H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2000년 | <colcolor=#373a3c,#ddd>2000년 4월 동해안 산불H, 군산 화재 참사(~2002년)? |
2001년 | 홍제동 방화 사건V, 예지학원 화재 사고H | |
2002년 | 2002년 청양-예산 산불H | |
2003년 | 대구 지하철 참사V | |
2004년 |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 V, 하얀성 화재 사건H | |
2005년 |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V, 2005년 양양 산불?, 2005년 서문시장 화재A,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A | |
2006년 | 잠실 고시원 화재 사고V | |
2007년 |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H | |
2008년 |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H, 서천 슈퍼 화재사건V, 숭례문 방화 사건V | |
2009년 |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H,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H |
A: 누전, 장비 고장 | H: 사람에 의한 실화 | V: 고의적 방화 | ?: 원인 불명/조사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