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bc002d><colcolor=#fff>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 화재 사고 | ||
<nopad> | ||
소방 대응 최고 단계 | 2단계 | |
발생일 | 2025년 2월 14일 금요일 10시 51분경(UTC+9 / KST) | |
발생 위치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445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건축 공사장) | |
관할 관서 | 기장소방서 | |
유형 | 화재 | |
원인 | 건물 1층 수영장의 단열재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 | |
동원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인원 | 352명 |
장비 | 127대[1] | |
인명 피해 | 사망 | 6명 |
부상 | 36명 | |
재산 피해 | 집계 중 |
1. 개요
2025년 2월 14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에 있는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건축 공사장에서 일어난 화재 사고이다.2. 경과
- 화재 발생 19분 후인 11시 10분 경, 소방 대응 1단계가 발령되었다. 기장군은 이 사고와 관련해서 안전안내문자를 전송했다.
⚠️ 안전안내문자
기장군오늘 10:51 기장읍 연화리 445 반얀트리 공사장 화재발생 관련, 해광사~서암입구 도로통제 중이오니 시내버스 이용 시[2] 참고바랍니다. [기장군] - 불은 오전 10시 51분쯤 공사장 B동 1층 풀장 인근에 적재된 단열재에서 처음 발생했다.
- 12시 정각, 소방 대응 2단계로 격상되었다.
- 12시 46분 기준 8명이 심정지 상태이고, 인원 구조 중이다. 일부를 상대로 심폐소생술을 시도했다. 심정지 환자 8명과는 별개로, 7명이 연기흡입 등의 이유로 병원에 이송되었다.
- 12시 59분 기준, 소방이 "6명 심정지[3] 중 4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 13시 50분 기준, 심정지였던 남은 2명이 모두 사망해 사망자가 6명으로 늘었다.
- 홍문식 기장소방서장 브리핑을 통해 알려진 바로는 "도착했을 당시 이미 화재는 최성기(최고치)였고 B동 1층 인테리어 공사 현장에서 6명이 의식 없는 상태에서 발견됐다" "발견 장소에서 나가는 문이 막혀 있어 이들이 대피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연기를 마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 이후 부검 결과 6명 모두 일산화탄소 중독에 따른 사망으로 추정된다는 소견이 나왔다. #
3. 대응
-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오후 12시 47분 고용노동부, 소방청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상황판단회의를 열었다. 부산시에는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기장군은 현장에 통합지원본부를 설치해 소방활동을 지원하도록 했다. #
4. 여담
- 화재가 난 해당 리조트는 2022년 삼정기업이 착공하여 2025년 5월 오픈 예정이었다. 오픈에 앞서 협업 골프장을 운영하기도 했으며, 규모도 일반 리조트에 비해 컸기에 꽤나 화제가 되었지만, 불과 오픈을 3개월 앞두고 참변이 발생했다.
- 공교롭게도 바로 맞은편에 위치한 빌라쥬 드 아난티도 2023년 오픈을 앞두고 화재가 발생하여 오픈이 미뤄진 적이 있다.
- 해당 사고로 인해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는 무기한 중단되었다. #
- 해당 사고로 시공사인 삼정기업과 삼정이앤씨는 금융기관의 자금 조달이 끊기면서 기업회생 신청을 하였으며, 건물의 손상도가 심해 재시공 가능성까지 언급되고 있다. # # 삼정기업이 안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책임을 지고 재시공을 하거나 최악의 경우 부도가 날 수도 있는 상황이며, 일부 맘카페 등 부산 시민들 사이에서는 반얀트리의 부산 사업 철수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언급되었지만 다행히 반얀트리가 시공사를 바꿔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입장을 밝혀 해프닝으로 남게 되었다.
- 결국 2025년 3월, 반얀트리 시행사가 시공사 삼정기업과 계약을 해지하였다. 삼정기업의 기업회생 절차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문제 때문에 더 이상 정상적인 공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결국 계약이 해지되었다. 남은 마무리 공사와 화재 복구 공사는 다른 시공사가 선정되어 진행될 예정이며, 그에 따른 오픈 지연과 회원들의 불만을 피해갈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이미 큰 화재로 외부는 물론 내부 구조물까지 손상된 건물이기 때문에 위험부담을 안고 공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나서는 시공사가 있을지도 문제이다. # 삼정기업은 2025년 들어서 기업회생에 이어 대형 프로젝트 계약해지, 그리고 이 사건의 영향으로 창원시에서 진행할 예정이었던 대형 프로젝트인 구산해양관광단지 사업 차질까지 악몽의 연속을 겪게 되었다.
5. 보도
개관 앞둔 부산 호텔 공사장 화재…6명 사망 27명 부상"순식간에 눈앞이 깜깜" 암흑 미로로…인명피해 왜 컸나
부산 기장 반얀트리 호텔 공사현장 화재‥6명 사망
가연성 물질 화재에 거대한 연기‥공사 현장 전체 뒤덮어
"인테리어 자재가 대피로 장애물" 인명 피해 왜 컸나
반얀트리 해운대 공사장 불…"발화지점서 사망자들 발견"
1층부터 삽시간 불 번졌다…옥상 대피해 극적 헬기 구조
가스 내뿜은 자재, 연기 가둔 통유리…"방송도 잘 안 들려"
인명 수색·잔불 확인 종료…반얀트리 화재 모레 합동감식
개장 앞둔 리조트 큰불…6명 사망
“순식간에 검은 연기 뒤덮어” 헬기로 15명 구조
곳곳 쌓아둔 ‘내장재’ 피해 키웠나
독한 연기로 피해 커져…반얀트리 화재, 노동자 6명 숨져
'6명 사망' 부산 반얀트리 화재‥사고 당일까지 소방점검했다
"아주 큰 중대재해"…반얀트리 화재 수사 본격화
배관 관리실에서 불?…리조트 화재 본격 수사
'6명 사망' 부산 호텔 합동 감식…"발화점은 PT룸 배관 주변"
리조트 화재 최초 발화는 'PT룸'…"용접 작업" 진술 확보
‘6명 사망’ 부산 리조트 공사장 화재…“배관 주변서 발화”
"화재 교육 안 받았다" 반얀트리 화재 안전관리 부실 의혹
'6명 사망' 반얀트리 공사장, 무리한 속도전이 원인?
“안전 교육도 부실 진행”…사인은 ‘일산화탄소 중독’
사망자 6명 승강기 앞 발견…시공사 강제수사 착수
"이용 예정일 2월"…준공 늦자 기한 맞추려 속도전?
철골 드러났는데 '사용 승인'?…발인 미룬 유족들
반얀트리 시행·시공사 위기…협력업체도 연쇄 피해 우려
“이게 준공 건물이라니”…현장 본 부산 반얀트리 참사 유족 오열
'부산 반얀트리 화재' 유족들 오열 "이게 준공 건물 맞나요?"
반얀트리 화재 유족, 현장 방문 "나올 수 있었는데" 오열
화재 현장 찾은 유족 “진상 규명”…“스프링클러 밸브 잠겨”
경찰 “부산 반얀트리 화재, 준공 후 공사가 인명피해 키웠는지 집중 수사”
반얀트리 화재 안전 관리 곳곳 ‘공백’…“안전 조치 없어”
6.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화재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color=#bc002d> 1426년 | <colcolor=#373a3c,#ddd>한양 대화재V |
1922년 | 행촌동 화재 사고? | ||
1950년대 |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A,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H | ||
1960년 | 1960년 서문시장 화재A,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A | ||
1970년대 |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 (1971년)A,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A, 뉴남산관광호텔 화재 A,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2~1975년)A, 1975년 서문시장 화재 (1975년)H | ||
1980년대 |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1983년)A,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4년)H,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7년)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1990년 | <colcolor=#373a3c,#ddd>혜영 용철 사건H, 1990년 연쇄 방화사건V |
1991년 | 거성관 방화 사건V | |
1992년 |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V | |
1994년 | 봉대산 불다람쥐 17년 연쇄 방화사건(~2011년)V | |
1995년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사건V, 남포동 노래방 화재사고H | |
1996년 | 1996년 고성 산불H,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V | |
1997년 | 부천 다세대주택 가스 폭발 사고V A | |
1999년 |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A,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H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c002d> 2000년 | <colcolor=#373a3c,#ddd>2000년 4월 동해안 산불H, 군산 화재 참사(~2002년)? |
2001년 | 홍제동 방화 사건V, 예지학원 화재 사고H | |
2002년 | 2002년 청양-예산 산불H | |
2003년 | 대구 지하철 참사V | |
2004년 |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 V, 하얀성 화재 사건H | |
2005년 |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V, 2005년 양양 산불?, 2005년 서문시장 화재A,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A | |
2006년 | 잠실 고시원 화재 사고V | |
2007년 |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H | |
2008년 |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H, 서천 슈퍼 화재사건V, 숭례문 방화 사건V | |
2009년 |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H,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H |
A: 누전, 장비 고장 | E: 그 외 | H: 사람에 의한 실화 | V: 고의적 방화 | ?: 원인 불명/조사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