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3:59:06

퓌러붕커

히틀러 벙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d02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히틀러의 성공시대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파일:300px-Bundesarchiv_Bild_183-V04744,_Berlin,_Garten_der_zerstörte_Reichskanzlei.jpg
베를린 국가수상부 청사 근처의 벙커 외부시설.
앞에 있는 두 구조물 중 왼쪽은 입구, 오른쪽은 감시탑이다.
파일:80EC9C31-B1FA-4386-8A8D-090A5B266F4A.jpg
벙커 내부의 모형.
1. 개요2. 건설3. 구조4. 패전 이후5. 현재6. 여담

[clearfix]

1. 개요

퓌러붕커(Führerbunker; 총통엄폐호, 총통방공호) 또는 히틀러 벙커(Hitler's bunker)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자 퓌러히틀러와 고위 지휘관들을 보호하기 위해 베를린 중심부에 만들어진 지하 방공호이다.

볼프스샨체소련군에 의해 함락되기 전에 빠져나와 베를린으로 돌아온 히틀러가 1945년 1월 16일부터 에바 브라운과 함께 공습 등으로 붕괴되어 가던 총통 관저 대신 이 곳에 거주했으며 4월 30일 패전 직전에 둘은 이곳에서 결혼식을 올린 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독일이 항복한 후 1947년 12월 5일에 폐쇄되었고 동독 정부에 의해 공간 전체가 완전히 매립되었다.

2. 건설

1차 건축이 1936년에 끝났고 1943년까지 2차 건축이 이어졌다. 1차 건축 기간에 지어진 부분을 포어붕커(Vorbunker)라고 하고 2차 건축 기간에 지어진 부분을 퓌러붕커(Führerbunker)라고 한다. 최종적으론 이 두 곳을 연결하는 작업 등을 통해 1944년 10월 23일에 완공되었다.

3. 구조

벙커 내부는 천장이 낮고 비좁은 방들이 중앙 복도 양편에 모여 있었으며, 대전 말기에는 이 곳에서 매일 회의가 열렸다. 외부 세계와 연락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는 베를린에서 남쪽으로 24km 떨어진 초센의 독일 국방군최고사령부와 연결된 전화 교환대와 무선송신기, 무전기 각 1대씩이 전부였다. 소련 육군의 포격이 총리관저의 벽을 철저하게 파괴하고 그 아래에 있는 벙커를 유독가스로 채웠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올라가고 산소가 부족한 가운데 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졌다.
파일:히틀러 벙커 집무실.jpg
프리드리히 대왕[1]의 초상이 걸려 있던 히틀러의 집무실이다.
약 8.2m 깊이의 지하에 있으며 30개의 작은 방이 있다. 벙커는 약 4m 두께의 철근 콘크리트로 둘러싸여 있으며 정문과 정원으로 통하는 비상구가 있다.
파일:히틀러 방.jpg
히틀러에바 브라운이 자살한 방이다.
벙커의 가장 깊은 곳엔 히틀러의 거처가 있었는데 고급스럽고 호화스러운 가구로 도배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가구들은 원래라면 히틀러 부부의 자살 후 유언에 의해 SS 대원들이 지른 불로 다 타 버렸어야 했으나 불을 지른 직후 방문을 바로 닫아버려 산소가 금방 떨어져 금방 불이 꺼지는 바람에 약간만 탄 채 벙커를 점령한 소련군에 노획된다.

소련 육군이 벙커에 진입했을 때는 대부분의 생존자들이 탈출해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로후스 미슈 SS 통신상사만 포로로 잡을 수 있었고 (서방에 비밀로 하고 빼돌려진) 히틀러 부부의 불탄 시신과 괴벨스 부부의 타다 만 시신을 벙커 밖에서, 탈출을 포기하고 권총 자살한 한스 크렙스빌헬름 부르크도르프 장군의 시체 및 살해당한 괴벨스 부부의 아이들 시신 등을 벙커 안에서 확보했다. 벙커에 처음 진입한 소련군 병력은 의외로 여군들이었다.

4. 패전 이후

파일:1988년 퓌러붕커 폐허.jpg
1988년 9월, 건설 노동자로 변장한 동독 사진작가 로베르트 콘라트(Robert Conrad)가 잠입해 촬영한 퓌러붕커의 내부. 포어붕커와 퓌러붕커를 연결하는 통로가 있던 공간이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의 패망으로 끝난 후 퓌러붕커의 출입구 부분은 소련군 점령지역인 동베를린에 속하게 됐다. 점령 후 벙커에 있던 히틀러의 고급 가구와 에바 브라운이 생전에 썼던 고급 의류 등도 소련군이 싸그리 노획해 가져갔다.

나치와 히틀러에 대해서는 치를 떠는 소련이었던 만큼 1947년 퓌러붕커와 지상을 연결하는 출입구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폭파했다. 벙커의 감시탑은 이 때 파괴됐고, 벙커 내벽은 무너졌으며, 벙커 천장도 폭발의 충격에 내려앉았지만 워낙 단단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나머지 공간은 이 폭발에도 버텼다. 12년 후 동독 정부에서 다시 한 번 폭파시켰지만 이번에도 벙커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이에 동독 정부는 지상으로 드러난 출입 계단 같은 흔적만 대충 흙으로 메우고 풀이 자랄 때까지 방치했다. 1980년대 말에 콘라트가 잠입했을 때는 퓌러붕커의 대부분이 지하수에 수몰된 상태였다.

1986년 동독 정부는 퓌러붕커를 포함해 국가수상부 청사, 옛 외무부 청사가 있었던 자리에 대규모 주거 단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 자리에 건물을 세우려면 내구성 문제로 지하의 빈 공간들을 전부 메워야 했다. 이 건설 현장 지하에는 퓌러붕커 외에도 국가수상부와 외무부의 방공호로 쓰인 공간이 존재해 그대로 건물을 지으면 내려앉아 무너질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1989년까지 대규모 공사를 벌여 나머지 벙커의 잔해들을 모조리 매립하는 작업을 실시했다. 퓌러붕커가 있었던 자리에 퍼부었던 흙을 거두고, 퓌러붕커의 천장까지 지상에 노출시킨 다음 벙커 천장을 뜯어냈으며 없애기 곤란한 벙커의 외벽과 바닥은 흙과 자갈을 채워 완전히 메워 버렸다. 이 공사 기간 중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콘라트가 노동자로 변장해 30차례에 걸쳐 잠입해 내부를 촬영한 것이 퓌러붕커를 찍은 마지막 사진으로 남았다. 하필 퓌러붕커 부지 일부가 베를린 장벽 밑에 있어 콘라트는 몰래 촬영하면서 만에 하나 들키면 서베를린으로 탈출하려는 것으로 의심받을 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

콘라트의 잠입 촬영을 다룬 슈피겔 기사가 있는데 국가수상부, 외무부 청사와 연결된 방공호에도 잠입해 찍은 사진도 함께 볼 수 있다.

5. 현재

파일:퓌러붕커 터.jpg
2011년에 촬영한 퓌러붕커의 터다.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으며 안내판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위치는 'Gertrud-Kolmar-Straße 14, 10117 Berlin, Germany(Führerbunker)'으로, Pflegestation Am Brandenburger Tor(브란덴부르크 문 요양원) 앞마당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브란덴부르크 문과도 가깝기 때문에 베를린을 여행하면서 들릴수도 있다.

나치의 쇠락이 남긴 연구 가치가 큰 곳이지만 오히려 이 점 때문에 독일인들은 이 곳을 영원히 봉인하기에 이른다. 소련 및 동독 정부가 벙커 내부 구조를 철저히 조사하지 않고 철거 및 매립했기 때문에 히틀러의 집무실과 같은 극히 일부의 주요 공간 이외의 공간은 정확히 어떤 기능이 있고 누가 사용했는지 여전히 알지 못한다.

만일 주차장을 다시 파내려간다면 벙커 터를 발굴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게 되면 네오나치성지순례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나치 상징물은 법에 의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발굴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은 없다. 조사를 한다고 해도 초음파 조사와 같이 외부에서만 관측할 가능성만 있고, 설령 직접 발굴한다고 해도 저 요양원 건물과 그 주차장을 완전히 철거하고 재개발할 때나 가능할 것이며 조사가 끝나면 그 지하 공간도 함께 철거될 것이다. 이런 식의 발굴조사를 구제발굴이라고 한다.

어차피 위에서 언급했듯 소련군이 점령 후 벙커 내부의 히틀러의 가구 등을 싸그리 노획한 데다 1980년대에 동독 정부가 벙커 천장을 전부 뜯어내고 벽과 바닥도 최대한 부순 뒤 매립했기 때문에 구조가 고스란히 남아 있지도 유물 등이 남아 있지도 않으므로 굳이 거액을 들여 다시 파낼 만한 가치가 있는 것도 아니다.

6. 여담

  • 영화 몰락(다운폴) 전반의 공간적 배경이 퓌러붕커이다. 내부 구조 고증도 뛰어나다.


[1] 감자 대왕이라고도 불렸다. 프로이센 왕국의 최고전성기를 이끌어 독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주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