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0:29

M4A1/운용국

M4A1 셔먼/운용국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4A1
Medium Tank, M4A1 "Turtleback"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clearfix]

1. 개요

미 육군의 중형전차, M4 셔먼의 한 갈래인 M4A1 운용국 일람.

해당 형식은 무려 9,000여대가 생산되어 세계 각지로 판매되었기에 현재까지도 일부 국가에서 사용 중에 있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파일:utah-beach-m4a1e8-sherman-tank.jpg
유타 해변 전쟁기념관 소장 미국 육군 소속 M4A1E8
파일:brazil-ddj-m4a1-107w-1.jpg
인디애나 주 브라질 주방위군 기지 소장 미국 육군 소속 M4A1E8
원조 사용국으로, 본국인 미국에서는 세계 대전 종전 후, 대다수의 차량을 주 방위군이 사용하였기에, 이 때문에 이후 벌어진 6.25 전쟁에서는 미군 소속으로는 M4A1이 참전하지 않았으나, 이를 베이스로 하여 개조된 M32B1 시리즈의 경우 구난전차로 다수가 투입되어 큰 활약을 하였다.

2.1.2.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erman_Grizzly_Tank_%285781153275%29.jpg
캐나다 육군 소속 그리즐리 I 네임드 차량 "아킬라" T146323번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과 같이 다수의 차량을 공여받아 운용하였으며, 상술했듯 캐나다에서도 설비를 구매하여 "그리즐리 I 순항전차"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2.2. 중앙아메리카

2.2.1. 멕시코

파일:Mexican_M32.jpg
멕시코 육군 소속 M32 첸카
1947년 소수의 M32B1을 공여받아 M32 첸카로 개수해 사용 중이다.

2.3. 남아메리카

2.3.1. 아르헨티나

파일:arhen_M4ICRPD.jpg
아르헨티나 전차 박물관 소장 아르헨티나 육군 소속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1950년대 영국으로부터 4량의 셔먼 IC 하이브리드를 받았으며,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로 개수하여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다.

2.3.2. 파라과이

파일:paraguainan_sherman_repotenciado.jpg
파라과이 육군 대통령 경호연대 소속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1988년 1량을 아르헨티나로부터 공여받아 대통령 경호연대 소속으로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다.

2.3.3. 브라질

파일:brazilsherman.jpg
콘데 데 린하레스 군사 박물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4A1
파일:Tanque M4 Coposite hull exposto no Museu da FEB, em São Gabriel, no RS.jpg
가우초 브라질 원정군 박물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4 컴포지트 헐 "E-B-11-413"
1950년대 미국의 군사원조 프로그램으로 M4A1 1량과 M4A1E9 1량을 공여받았으며, M4 컴포지트 헐도 소수를 공여받았다.

2.3.4. 칠레

파일:Chilean_M4A1E9.jpg
칠레 육군 제3기갑여단 소속 M4A1E9
1950년대 M4A1E9를 구매하여 사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파일:soviet_captured_M4A1.png
소련 육군 노획 Pz.Kpfw. M4 748(a) "식인은 그만! 오크와에서 제5기갑연대가 노획함"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독일 국방군 5기갑연대가 노획했던 M4A1을 쿠머스도르프 전차시혐장에서 노획하였다.

3.2. 서유럽

3.2.1. 영국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극초기형 M4A1 네임드 차량 "마이클"
영국군 제식명 미군 제식명
셔먼 II M4A1
셔먼 I 하이브리드 M4 컴포지트 헐
셔먼 IIA M4A1 (76) W
셔먼 IIAY M4A1E8
상술했듯,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부터 미군에게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셔먼의 성능에 매우 만족한 영국 군부는 미국 정부와 연락을 취하여 아예 통짜로 설비까지 사와서는 자국에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영국군은 M4A1의 제식명을 따로 분류하여 사용했는데, 일반 M4A1은 셔먼 II, 76mm 버전은 셔먼 IIA, HVSS 현가장치 및 76mm 버전은 셔먼 IIAY로 분류하였다고 한다.

프랑스나 벨기에와 같이 전후 센추리온 전차가 만들어졌음에도 다수를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타국에 판매하는 등 퇴역 처분을 밟았다.

3.2.2. 프랑스

파일:Sherman_tank,_Hartmanns_Willerkopf_at_Casemate_35-3_-_Marckolsheim,_photo_2.jpg
마르콜샤임 야외 전시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4A1 (76) W 네임드 차량 "하르트만즈빌러코프" 45번차
파일:sher021.jpg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4A1E8 네임드 차량 "우스쿠브(اسکوب)" 51번차
제2차 세계 대전 와중 수많은 수량을 공여, 제작하여 사용했으며, 전후 냉전기에도 프랑스군의 주력 전차로 사용되었다.

이후에도 예비용으로 배치되어 있다 AMX-30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시작할 즈음 퇴역하였다.

3.2.3. 네덜란드

파일:M4A1E9_Sherman_pic1.jpg
네덜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왕립 육군(RNLA) 소속 M4A1E9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M4A1E8 40대와 M4A1E9 50대를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3.3. 중부유럽

3.3.1. 독일

나치 독일 시기와 현 독일 시기를 분할하여 설명한다.

3.3.2. 나치 독일

파일:노획M4A1.jpg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의 독일 국방군 5기갑연대 노획 M4A1 네임드 차량 "식인은 그만! 오크와에서 5기갑연대가 노획함"
파일:M4_748(a).jpg
유기된 독일 국방군 노획 Pz.Kpfw. M4 748(a)[1]
대전기 초부터 병기부족을 채우기 위해 점령한 나라의 각종 기갑차량을 개조하고 굴린 나치 독일답게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부터 노획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Pz.Kpfw. M4 748(a)[2]라는 노획코드를 붙였으며, 1945년 종전 직전까지 사용했다.

특히 이 노획된 M4A1들은 주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획득한 것들이었는데, 다수가 영국군의 라이센스 버전인 "셔먼 II" 였다.
파일:워대디셔먼.jpg
독일 국방군 제501중전차대대 노획 M4A1 네임드 차량 "워대디 II"[3]
파일:M4&M3.jpg
쿠머스도르프 전차시험장의 M4A1 "워대디 II"[4]
1943년에는 미군 소속의 M4A1도 노획된 적이 있었는데, 특이하게도 네임드 차량이었다.

이 차량은 독일 쿠머스도르프 무기시험장에 보내져서 5호 전차 판터와 함께 테스트를 치렀던 기록이 남아있다. 상단의 사진도 그 중 하나.

3.3.3.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4A1_on_Panzermuseum_Munster.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주독미군 소속 M4A1 (76) W 네임드 차량 "배틀링 비치" 3036792번차
서독 시기, 독일 연방군 측에서는 M4A1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주독미군에서 일부 차량을 치장 물자로 사용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동서독 통일 이후 M4A1 (76) W 한 량을 미국으로부터 기증받아 현재 문스터 전차 박물관에서 소장중이며, 독일 곳곳에 있는 주독미군 기지에도 M4A1이 전시되어 있다.

3.3.4. 폴란드

파일:polandgrizzly.jpg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그리즐리 I
자유 폴란드군에서도 다수의 그리즐리 순항전차 및 셔먼 II와, 셔먼 IIA를 공여받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사용했다.

현재는 폴란드 군사 박물관에 1량의 그리즐리 전차가 전시 중에 있다.

3.4. 남유럽

3.4.1. 그리스

파일:Greek_M32B1_sherman.jpg
헬레닉 군사 기갑 박물관 기갑 훈련소 소장 그리스 육군 소속 M32B1
그리스 왕국 시기 소수의 M32B1을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3.4.2. 이탈리아

파일:Rome_M4A1_sherman_76.jpg
로마 기계화 박물관 소장 이탈리아 육군 소속 M4A1 76/52
이탈리아군 제식명 미군 제식명
Carro Armato M4A1 M4A1
Carro Armato M4A1 76/52 M4A1 (76) W
M4A4, M4 컴포지트 헐, 셔먼 파이어플라이 등과 더불어 M4A1 (76) W와 M4A1 다수를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3.4.3. 포르투갈

파일:portugalshermanM4A1.jpg
인트롱카멘투 정비연대 소장 포르투갈 육군 소속 그리즐리 순항전차
도합 50량의 그리즐리 I 및 그리즐리 APC를 MDAP 프로그램에 의해 캐나다로부터 공여받아 1980년대까지 사용하였다.

3.4.4.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파일:YugoM32B1.jpg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M32B1 "3375번차"
소수의 M32B1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아 구난전차로 사용하였다.

3.5. 북유럽

3.5.1. 덴마크

파일:dk-m32b1.jpg
옥스뵐 육군 군사 학교 소장 덴마크 육군 소속 M32B1
영국으로부터 구매한 센추리온 전차를 견인할 차량의 부재로 M32B1 2량을 구매하여 운용하였다.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파일:taiwanshermanm4a175w.jpg
항일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중화민국 육군 소속 M4A1 (75) W[5]
국공내전 시기 최소 2량의 M4A1을 상하이를 방어하는 화이하이 전역 당시 투입하였으나 유실하였으며, 국부천대 이후 대만에서는 패전의 원인이 부실한 기갑전력과 이를 뒷바쳐 줄 강력한 화력의 차량이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리고, 기갑군사령부 참모총장이었던 장웨이궈 소장은 괌, 류큐, 필리핀 및 기타 전역에서 미군 잉여 물자, 특히 장갑차와 탱크를 찾아 나섰으며, 스크랩 당하기 직전의 차량들을 구매하고 수리하여 천천히 기갑 전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당시 타이페이에 소재한 영국 대사관의 케네스 C. 클렌츠 영국대사에게 도움을 청하여 미국 전차, 특히 셔먼을 얻기 위하여 노력했는데, 이는 전후 유럽 폐차장에 격파, 혹은 돈좌된 독일, 미국, 소련 탱크가 정말로 썩어 넘기게 많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결국 이런 고물 전차들 85대의 수입 허가를 받았으나, 영국 대사 크렌츠는 고물 셔먼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복원을 위해 미국으로 다시 운송한다고 거짓말을 하여 탱크 수출 허가를 얻었는데 이 고물 셔먼들은 수에즈 운하를 통해 대만으로 향하고 있었다.

당시 미국은 중국에 대한 눈치 때문에 대만에 대한 군사 지원을 일절 하지 않고 있었으며, 이 사실을 알게 된 미 국무부 중국 사무국은 분노하여 영국 외무부에 해당 셔먼 탱크의 수출 허가를 취소하고 나머지는 억류할 것을 강력하게 항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30대의 M4 셔먼 탱크가 무사히 1949년 12월 12일 가오슝 항구에 도착했고, 이 차량들 중에는 D82081 포탑이 장착된 셔먼 IIA 6대[6], D50878 포탑이 장착된 셔먼 II 2대[7], 셔먼 V[8] 22대가 있었다.

대만에 들어왔던 셔먼들은 전량 무장이 탈거된 차량들이었으며, 이후 75mm M3 전차포를 다시 부착하여 복원 작업을 마쳤다.

1950년 6월, 대만의 셔먼들은 모두 수리를 끝내 배치를 완료하였고 같은 해 11월 8일 장제스 총통이 직접 검사하였는데, 이로부터 2년 뒤인 1952년 대만의 모든 M4 셔먼은 일선에서 퇴역하고, 치장장비로 전환되었다.

마지막 남은 M4A1 (75) W는 현재 중화민국 내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이며, 2015년 중화민국 내 항일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에 쓰이지도 않은 개조 차량이 뜬금없이 등장한 것도 모자라서[9], "M4A4"라는 명판을 붙고 등장했기에 관영매체는 물론 인터넷에서도 제대로 조사하지도 않고 내보냈냐는 비판을 가했다.

이후 그나마 참전했던 차량인 M4A3 (75)를 등장시켰는데, 이번에도 M4라고만 적는 오류를 범했다.

4.1.2. 일본

파일:JGSDF equipment display M32B1 TRV.jpg
육상자위대 무기전시관 소장 M32B1 TRV
소수의 M32B1을 공여받아 구난전차로 1980년까지 사용하였다.

4.2. 동남아시아

4.2.1. 필리핀

필리핀 사관 학교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4 컴포지트 헐[10]
M4 컴포지트 헐과 M4A1 다수를 공여받았으며, 이후 한국전쟁 당시에 제10전차대대 소속으로 참전하였으며, 이후 냉전 시기까지 헌역으로 사용하였다.

4.3. 서아시아

4.3.1. 이스라엘

파일:m-50-m-51-isherman-super-sherman_1.jpg
야드 라 시온 기갑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1 셔먼
제1차 중동전쟁 시기에는 영국으로부터 구매한 셔먼 II를 재생하여 사용했으며, 본격적으로 사용한 시기는 제2차 중동전쟁 직전으로 다수의 차량을 프랑스와 벨기에로부터 구입하여 무장하고, 주포인 76.2mm M1 대전차포의 이름을 따서 VVSS 현가장치를 장착한 M4 셔먼은 "M-1 셔먼"이라 칭하였으며, 해당 셔먼을 HVSS 서스펜션 장착 및 엔진 개조 등을 하여 "M-1 슈퍼 셔먼"이라는 제식명을 부여하여 운용하였다. [11]

4.3.2. 시리아

파일:syriaM4A1berge.jpg
퍼레이드 등장 시리아 육군 소속 셔먼 II APC
영국군이 두고 간 총합 51량의 셔먼 II들과, 이를 자체적으로 개조한 파생형인 셔먼 II APC를 운용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4.3.3. 이란

파일:Military_Museum_in_Sa'dabad_Palace.jpg
사드 아바드 궁전 박물관 소장 이란 육군 소속 M4A1 (76) W
1951년에 15량을 구매하여 1980년대까지 사용하였다.

4.4. 남아시아

4.4.1. 파키스탄

파일:Dcutc0bX0AEvtzz.jpg
아유브 국립 공원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M4A1E6 "708호차"[12]
독립 이후, 영국이 파키스탄에 남겨두고 갔던 "셔먼 II"를 잠시간 사용하던 파키스탄군은 75mm M3 전차포의 낮은 화력을 실감하여, 미국으로부터 M4A1E6 200대를 공여받아서 사용하였다.

이후, 이 차량들은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에 참전하여 실전을 치렀다.

특히 상단 사진의 주인공인 708호차 M4A1E6은 엄청난 성과를 내었는데, 1965년 2차 국경분쟁 당시 "켐 카란"에서 인도군의 MBT인 센추리온 전차 3대와 단신으로 맞붙어서 3:1이라는 엄청나게 불리한 상황에서도 단시간에 센추리온 3대를 모두 격파한 전설적인 기록을 내었다.

현재에도 퇴역하지 않고 치장물자로 배치하고 있는 중이다.

4.4.2. 인도

파일:106088648_3516983768329094_3599624216095877438_n.jpg
자이살메르 전쟁 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M4A1E6
제 1,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에 파키스탄군의 차량을 노획하였으며, 이 중 일부 차량은 인도군이 사용하다 기갑장비가 부족한 방글라데시군에게 일부 인수되기도 하였다.

4.4.3. 방글라데시

파일:bangladesherman.jpg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4A1E6 & M32B1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파키스탄군의 차량을 일부 노획하거나, 인도군으로부터 몇몇 차량을 공여받아 운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5. 아프리카

5.1. 우간다

파일:Uganda_Kampala_M-1_super_sherman.jpg
캄팔라 야외 방치 우간다 육군 소속 M-1 슈퍼 셔먼
1960년대,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이디 아민은 우간다군을 강하게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1969년에 이스라엘로부터 퇴역한 M-1 슈퍼 셔먼 총 12량을 구입하여 우간다군에 배치시켰는데, 이는 우간다군 최초의 탱크이었으며, 전량 제5기갑사단으로 배치되었다.

해방 작전 당시 사용된 이후, 살아남은 극히 일부의 개체가 2000년대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우간다 캄팔라에 살아남은 마지막 M-1 슈퍼 셔먼 1량이 야외에 방치되고 있는 중이며, 악용의 소지를 막기 위해서인지 기관총과 같은 무장은 모두 탈거되어 비무장 상태로 남아있다.

5.2.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South_African_M4A1_76mm.jpg
프리토리아 연대 기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 육군 소속 셔먼 II A
파일:SouthAfricanFirefly1.png
남아프리카 군사사 박물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 육군 소속 셔먼 IC 하이브리드
남아프리카 연방 시기에 영국군으로부터 셔먼 II A와 셔먼 IC 하이브리드를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이후 남아프리카 연방이 멸망하고 새롭게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 육군으로 편제되어 잠시간 사용되다 빅커스 MBT와 올리판트 전차가 배치될 시기에 퇴역하였다.

현재는 프리토리아 연대 기지에 연방 시절에 사용되었던 셔먼 II A 한 량이 전시되고 있다.

6. 오세아니아

6.1. 호주

파일:Royal Australian Armoured Corps Tank Museum M4 composite.jpg
왕립 호주 기갑군 전차 박물관 소장 M4 컴포지트 헐
M4 컴포지트 헐 1대를 테스트용도로 사용했다.

6.2. 뉴질랜드

파일:NZ_National_Army_Museum_M4A1.jpg
뉴질랜드 국립 육군 박물관 소장 셔먼 II
영연방이었던 뉴질랜드군도 셔먼 II 사양을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1] 아군 오사를 막기 위해 하켄크로이츠를 도배한 것이 인상적이다.[2] (a)에서 a는 amerika 즉 미국을 뜻한다.[3] 1943년 쿠머스도르프 전차시혐장에서 5호 전차 판터와 현가장치 성능을 비교하던 중 촬영한 사진이다.[4] 옆에 있는 전차는 독일군이 동부전선에서 노획한 M3 리이다.[5] 평시에는 청궁링 공원에 정태보존 되어 있다.[6] M4A1 (76) W의 영국 제식명.[7] M4A1의 영국 제식명.[8] M4A4 셔먼의 영국 제식명.[9] 상술했듯 M4A1 (75) W은 1949년 국부천대 이후 셔먼 V와 함께 구매한 물건으로, 참전 차량이 아니기에 명백한 오류이다.[10] 차량 소개판에 적혀있는 M4A1은 오기이다.[11] M-1 셔먼 이라는 제식명은 76.2mm M1 전차포를 탑재한 모든 셔먼에게 부여되었다.[12] 마지 카딤 후산 전차장이 지휘하던 차량이다. 특히 전면 변속기 하단의 마운트와, 2번째 현가장치의 마운트를 보면 원래 공병전차로 사용되던 차량임을 알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