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Tank, M4A1 "Turtleback"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clearfix]
1. 개요
미 육군의 중형전차, M4 셔먼의 한 갈래인 M4A1 운용국 일람.해당 형식은 무려 9,000여대가 생산되어 세계 각지로 판매되었기에 현재까지도 일부 국가에서 사용 중에 있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유타 해변 전쟁기념관 소장 미국 육군 소속 M4A1E8 |
인디애나 주 브라질 주방위군 기지 소장 미국 육군 소속 M4A1E8 |
2.1.2. 캐나다
캐나다 육군 소속 그리즐리 I 네임드 차량 "아킬라" T146323번차 |
2.2. 중앙아메리카
2.2.1. 멕시코
멕시코 육군 소속 M32 첸카 |
2.3. 남아메리카
2.3.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전차 박물관 소장 아르헨티나 육군 소속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
2.3.2. 파라과이
파라과이 육군 대통령 경호연대 소속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
2.3.3. 브라질
콘데 데 린하레스 군사 박물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4A1 |
가우초 브라질 원정군 박물관 소장 브라질 육군 소속 M4 컴포지트 헐 "E-B-11-413" |
2.3.4. 칠레
칠레 육군 제3기갑여단 소속 M4A1E9 |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소련 육군 노획 Pz.Kpfw. M4 748(a) "식인은 그만! 오크와에서 제5기갑연대가 노획함" |
3.2. 서유럽
3.2.1. 영국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극초기형 M4A1 네임드 차량 "마이클" |
영국군 제식명 | 미군 제식명 |
셔먼 II | M4A1 |
셔먼 I 하이브리드 | M4 컴포지트 헐 |
셔먼 IIA | M4A1 (76) W |
셔먼 IIAY | M4A1E8 |
영국군은 M4A1의 제식명을 따로 분류하여 사용했는데, 일반 M4A1은 셔먼 II, 76mm 버전은 셔먼 IIA, HVSS 현가장치 및 76mm 버전은 셔먼 IIAY로 분류하였다고 한다.
프랑스나 벨기에와 같이 전후 센추리온 전차가 만들어졌음에도 다수를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타국에 판매하는 등 퇴역 처분을 밟았다.
3.2.2. 프랑스
마르콜샤임 야외 전시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4A1 (76) W 네임드 차량 "하르트만즈빌러코프" 45번차 |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4A1E8 네임드 차량 "우스쿠브(اسکوب)" 51번차 |
이후에도 예비용으로 배치되어 있다 AMX-30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시작할 즈음 퇴역하였다.
3.2.3. 네덜란드
네덜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왕립 육군(RNLA) 소속 M4A1E9 |
3.3. 중부유럽
3.3.1. 독일
나치 독일 시기와 현 독일 시기를 분할하여 설명한다.3.3.2. 나치 독일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의 독일 국방군 5기갑연대 노획 M4A1 네임드 차량 "식인은 그만! 오크와에서 5기갑연대가 노획함" |
유기된 독일 국방군 노획 Pz.Kpfw. M4 748(a)[1] |
특히 이 노획된 M4A1들은 주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획득한 것들이었는데, 다수가 영국군의 라이센스 버전인 "셔먼 II" 였다.
독일 국방군 제501중전차대대 노획 M4A1 네임드 차량 "워대디 II"[3] |
쿠머스도르프 전차시험장의 M4A1 "워대디 II"[4] |
이 차량은 독일 쿠머스도르프 무기시험장에 보내져서 5호 전차 판터와 함께 테스트를 치렀던 기록이 남아있다. 상단의 사진도 그 중 하나.
3.3.3. 독일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주독미군 소속 M4A1 (76) W 네임드 차량 "배틀링 비치" 3036792번차 |
동서독 통일 이후 M4A1 (76) W 한 량을 미국으로부터 기증받아 현재 문스터 전차 박물관에서 소장중이며, 독일 곳곳에 있는 주독미군 기지에도 M4A1이 전시되어 있다.
3.3.4. 폴란드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그리즐리 I |
현재는 폴란드 군사 박물관에 1량의 그리즐리 전차가 전시 중에 있다.
3.4. 남유럽
3.4.1. 그리스
헬레닉 군사 기갑 박물관 기갑 훈련소 소장 그리스 육군 소속 M32B1 |
3.4.2. 이탈리아
로마 기계화 박물관 소장 이탈리아 육군 소속 M4A1 76/52 |
이탈리아군 제식명 | 미군 제식명 |
Carro Armato M4A1 | M4A1 |
Carro Armato M4A1 76/52 | M4A1 (76) W |
3.4.3. 포르투갈
인트롱카멘투 정비연대 소장 포르투갈 육군 소속 그리즐리 순항전차 |
3.4.4.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M32B1 "3375번차" |
3.5. 북유럽
3.5.1. 덴마크
옥스뵐 육군 군사 학교 소장 덴마크 육군 소속 M32B1 |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항일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중화민국 육군 소속 M4A1 (75) W[5] |
그러던 와중, 당시 타이페이에 소재한 영국 대사관의 케네스 C. 클렌츠 영국대사에게 도움을 청하여 미국 전차, 특히 셔먼을 얻기 위하여 노력했는데, 이는 전후 유럽 폐차장에 격파, 혹은 돈좌된 독일, 미국, 소련 탱크가 정말로 썩어 넘기게 많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결국 이런 고물 전차들 85대의 수입 허가를 받았으나, 영국 대사 크렌츠는 고물 셔먼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복원을 위해 미국으로 다시 운송한다고 거짓말을 하여 탱크 수출 허가를 얻었는데 이 고물 셔먼들은 수에즈 운하를 통해 대만으로 향하고 있었다.
당시 미국은 중국에 대한 눈치 때문에 대만에 대한 군사 지원을 일절 하지 않고 있었으며, 이 사실을 알게 된 미 국무부 중국 사무국은 분노하여 영국 외무부에 해당 셔먼 탱크의 수출 허가를 취소하고 나머지는 억류할 것을 강력하게 항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30대의 M4 셔먼 탱크가 무사히 1949년 12월 12일 가오슝 항구에 도착했고, 이 차량들 중에는 D82081 포탑이 장착된 셔먼 IIA 6대[6], D50878 포탑이 장착된 셔먼 II 2대[7], 셔먼 V[8] 22대가 있었다.
대만에 들어왔던 셔먼들은 전량 무장이 탈거된 차량들이었으며, 이후 75mm M3 전차포를 다시 부착하여 복원 작업을 마쳤다.
1950년 6월, 대만의 셔먼들은 모두 수리를 끝내 배치를 완료하였고 같은 해 11월 8일 장제스 총통이 직접 검사하였는데, 이로부터 2년 뒤인 1952년 대만의 모든 M4 셔먼은 일선에서 퇴역하고, 치장장비로 전환되었다.
마지막 남은 M4A1 (75) W는 현재 중화민국 내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이며, 2015년 중화민국 내 항일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에 쓰이지도 않은 개조 차량이 뜬금없이 등장한 것도 모자라서[9], "M4A4"라는 명판을 붙고 등장했기에 관영매체는 물론 인터넷에서도 제대로 조사하지도 않고 내보냈냐는 비판을 가했다.
이후 그나마 참전했던 차량인 M4A3 (75)를 등장시켰는데, 이번에도 M4라고만 적는 오류를 범했다.
4.1.2. 일본
육상자위대 무기전시관 소장 M32B1 TRV |
4.2. 동남아시아
4.2.1. 필리핀
필리핀 사관 학교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4 컴포지트 헐[10] |
4.3. 서아시아
4.3.1. 이스라엘
야드 라 시온 기갑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1 셔먼 |
4.3.2. 시리아
퍼레이드 등장 시리아 육군 소속 셔먼 II APC |
4.3.3. 이란
사드 아바드 궁전 박물관 소장 이란 육군 소속 M4A1 (76) W |
4.4. 남아시아
4.4.1. 파키스탄
아유브 국립 공원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M4A1E6 "708호차"[12] |
이후, 이 차량들은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에 참전하여 실전을 치렀다.
특히 상단 사진의 주인공인 708호차 M4A1E6은 엄청난 성과를 내었는데, 1965년 2차 국경분쟁 당시 "켐 카란"에서 인도군의 MBT인 센추리온 전차 3대와 단신으로 맞붙어서 3:1이라는 엄청나게 불리한 상황에서도 단시간에 센추리온 3대를 모두 격파한 전설적인 기록을 내었다.
현재에도 퇴역하지 않고 치장물자로 배치하고 있는 중이다.
4.4.2. 인도
자이살메르 전쟁 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M4A1E6 |
4.4.3.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4A1E6 & M32B1 |
5. 아프리카
5.1. 우간다
캄팔라 야외 방치 우간다 육군 소속 M-1 슈퍼 셔먼 |
해방 작전 당시 사용된 이후, 살아남은 극히 일부의 개체가 2000년대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우간다 캄팔라에 살아남은 마지막 M-1 슈퍼 셔먼 1량이 야외에 방치되고 있는 중이며, 악용의 소지를 막기 위해서인지 기관총과 같은 무장은 모두 탈거되어 비무장 상태로 남아있다.
5.2.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연대 기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 육군 소속 셔먼 II A |
남아프리카 군사사 박물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 육군 소속 셔먼 IC 하이브리드 |
이후 남아프리카 연방이 멸망하고 새롭게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 육군으로 편제되어 잠시간 사용되다 빅커스 MBT와 올리판트 전차가 배치될 시기에 퇴역하였다.
현재는 프리토리아 연대 기지에 연방 시절에 사용되었던 셔먼 II A 한 량이 전시되고 있다.
6. 오세아니아
6.1. 호주
왕립 호주 기갑군 전차 박물관 소장 M4 컴포지트 헐 |
6.2.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립 육군 박물관 소장 셔먼 II |
[1] 아군 오사를 막기 위해 하켄크로이츠를 도배한 것이 인상적이다.[2] (a)에서 a는 amerika 즉 미국을 뜻한다.[3] 1943년 쿠머스도르프 전차시혐장에서 5호 전차 판터와 현가장치 성능을 비교하던 중 촬영한 사진이다.[4] 옆에 있는 전차는 독일군이 동부전선에서 노획한 M3 리이다.[5] 평시에는 청궁링 공원에 정태보존 되어 있다.[6] M4A1 (76) W의 영국 제식명.[7] M4A1의 영국 제식명.[8] M4A4 셔먼의 영국 제식명.[9] 상술했듯 M4A1 (75) W은 1949년 국부천대 이후 셔먼 V와 함께 구매한 물건으로, 참전 차량이 아니기에 명백한 오류이다.[10] 차량 소개판에 적혀있는 M4A1은 오기이다.[11] M-1 셔먼 이라는 제식명은 76.2mm M1 전차포를 탑재한 모든 셔먼에게 부여되었다.[12] 마지 카딤 후산 전차장이 지휘하던 차량이다. 특히 전면 변속기 하단의 마운트와, 2번째 현가장치의 마운트를 보면 원래 공병전차로 사용되던 차량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