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0:58:5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Overwatch Champions Series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년 5월 31일부터 진행되는 메이저 시즌에 대한 내용은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메이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오버워치/e스포츠
,
,
,
,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33><tablebgcolor=#333>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오버워치
국내 e스포츠 대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파일:Overwatch_Champions_Series_임시.svg파일:600px-Overwatch_Champions_Series_full_darkmode.png
<rowcolor=#fff>지역 오픈본선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 오픈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
기타 대회
오버워치 코리아컵· 육군참모총장배 솔저: 76 토너먼트·오버워치 대학경쟁전
폐지된 오버워치 지역 리그
오버워치 컨텐더스(오픈 디비전/트라이얼/코리아)
→ 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333><tablebgcolor=#333>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대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oworldcup.png 파일:Overwatch_Champions_Series_임시.svg파일:600px-Overwatch_Champions_Series_full_darkmode.png 파일:오버워치 콜링 올 히어로즈 로고.svg 파일:Esports_World_Cup_logo.svg파일:Esports_World_Cup_logo.svg
오버워치 월드컵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대륙 리그 및 메이저 리그)
콜링 올 히어로즈 Esports World Cup
폐지된 오버워치 국제 대회
오버워치 리그 · 오버워치 컨텐더스(퍼시픽 쇼다운·아틀란틱 쇼다운) · NetEase Esports X Tournament
→ 오버워치 지역 e스포츠}}}}}}}}}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Overwatch Champions Series
파일:Overwatch_Champions_Series_임시.svg파일:600px-Overwatch_Champions_Series_full_darkmode.png
<colbgcolor=#ef6414><colcolor=#fff> 운영주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리그 주관사)
WDG(아시아 지역 총괄 운영)
FACEIT(북미 및 EMEA 지역 총괄 운영)
창설 2024년
약칭 OWCS
지역 아시아 · NA · EMEA
중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2]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4]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5]

[[미국 영국|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미국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6]

[[미국 영국|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미국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대회 일람3. 운영 방식
3.1. 맵풀3.2. 국제대회
3.2.1.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메이저3.2.2.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파이널
3.3. 지역 리그
3.3.1.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3.3.1.1. MAP VETO PROCESS (맵 비토)
3.3.1.1.1. 2024년 2월 19일 ~ 2024년 3월 18일3.3.1.1.2. 2024년 3월 18일~
3.3.2.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NA & EMEA
4. 시청 보상 (드롭스)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스킨6. 기타 사항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Overwatch Champions Series: OWCS)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오버워치 리그컨텐더스 폐지 후 새롭게 도입하는 오버워치의 e스포츠이다.

기존 오버워치 리그의 운영 방식인 프랜차이즈 시스템과 풀 리그 시스템을 채택하지 않고 새롭게 개방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며 블리자드가 직접 운영하지 않고 각 지역에 맞는 파트너사들과 협력하여 운영을 맡기는 방향으로 바뀌었다.[9] 프랜차이즈제 도입전 LoL Esports 시스템과 비슷해졌다.[10]

2. 대회 일람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OWCS_logo.png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rowcolor=#fff>국제 대회
{{{#!wiki style="margin:-16px -10px" 파일:OWCS_logo.png 파일:OWCS_logo.png
<rowcolor=#000> 메이저 파이널 }}}
지역 리그
파일:OWCS_Asia_lightmode.png 파일:OWCS_logo.png 파일:OWCS_logo.png
<rowcolor=#000> 아시아
KOR | JPN | PAC
NA EMEA }}}}}}}}}

3. 운영 방식

오버워치 이스포츠의 새로운 시작
||<table width=80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fff,#1c1d1f><-6> 파일:Overwatch_Champions_Series_임시.svg파일:600px-Overwatch_Champions_Series_full_darkmode.png ||
아시아 스테이지 1 메이저
OPEN 코리아 와일드카드 아시아
OPEN 재팬
OPEN 퍼시픽
NA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
Open Qualifiers Main Event Open Qualifiers Main Event
EMEA 스테이지 1 스테이지 2
Open Qualifiers Main Event Open Qualifiers Main Event
아시아 스테이지 2 파이널
OPEN 코리아 와일드카드 아시아
OPEN 재팬
OPEN 퍼시픽
NA 스테이지 3 스테이지 4
Open Qualifiers Main Event Open Qualifiers Main Event
EMEA 스테이지 3 스테이지 4
Open Qualifiers Main Event Open Qualifiers Main Event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는 아시아[11][12], EMEA[13], 북미[14]로 총 3개의 대륙으로 나누어져 진행된다.
  • 1년에 총 두개의 서킷으로 진행되며 첫번째 서킷은 메이저, 두번째 서킷은 파이널이라는 국제대회를 목표로 진행된다
  • 로스터는 최대 8인으로 제한되며 지역쿼터제가 적용되어 해당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플레이어는 2명으로 제한된다.

3.1. 맵풀

ASIA
쟁탈 혼합 밀기 플래시포인트 호위
부산 블리자드 월드 콜로세오 뉴 정크 시티 서킷 로얄
리장 타워 왕의 길 뉴 퀸 스트리트 도라도
네팔 미드타운 이스페란사 수라바사 66번 국도
사모아 눔바니 감시 기지: 지브롤터
EMEA/NA
쟁탈 혼합 밀기 플래시포인트 호위
일리오스 블리자드 월드 콜로세오 뉴 정크 시티 서킷 로얄
리장 타워 왕의 길 뉴 퀸 스트리트 도라도
네팔 미드타운 이스페란사 수라바사 리알토
사모아 할리우드 샴발리 수도원

3.2. 국제대회

  • OWCS는 1년에 두번의 서킷으로 진행되며 각각의 서킷은 MAJOR(메이저)와 FINALS(파이널)로 향하는 여정이 된다.
  • 2024년 국제 대회는 드림핵과의 파트너십으로 드림핵에서 라이브 토너먼트가 진행되며 메이저는 5월 드림핵 댈러스, 파이널은 11월 드림핵 스톡홀름에서 열리게된다.

3.2.1.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메이저

OWCS 아시아, NA, EMEA의 첫번째 서킷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팀들이 참여하게 된다. 5월 드림핵에서 진행되며 첫번째 서킷의 마무리가 된다.

3.2.2.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파이널

11월 드림핵에서 진행되며 챔피언스 시리즈의 최상위권 팀들이 참여하게 된다.

3.3. 지역 리그

3.3.1.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OWCS 아시아 지역 안내
아시아는 코리아, 재팬, 퍼시픽[15] 세개의 디비전으로 구분되며 WDG가 아시아 지역을 전체 총괄한다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챔피언십
(OWCS Asia Championship)
아시아 최강팀을 가리기 위한 대륙 리그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지역 본선
(OWCS Asia Reginal Tournament)
오픈 상위 팀이 벌이는 나라별 본선 리그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지역 오픈
(OWCS Asia Open Qualifiers)
한국, 일본, 퍼시픽 각 지역 별로 참가팀을 받는 온라인 지역 리그 예선전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챔피언십
    • 각 지역별 리그에서 선발된 7개의 팀과 와일드카드로 올라온 1개의 팀으로 구성된 총 8개의 팀이 오프라인으로 경기를 치르게 된다.
    •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서킷의 상위 2팀은 첫번째 서킷에서는 5월에 진행되는 메이저, 두번째 서킷에선 11월에 진행되는 파이널에 진출한다.
    • 총 30만 달러 (한화 약 3억 8천 8백만원)의 연간 상금이 측정되어 있으며 각 서킷별로 15만불씩 지불되며 이는 국제 대회와는 별도의 상금이다.
    • 아시아 챔피언십 전 경기는 WDG 이스포츠 스튜디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지역 본선
    • 코리아, 재팬은 각각 9개의 팀이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지역별 상위 4개팀은 플레이오프로 진출 및 시드 결정전을 진행, 최하위 팀은 탈락하여 남은 하위 4팀간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LCQ(Last Chance Qualifiers)를 진행한다. 시드 결정전과 LCQ결과로 1,2 시드 팀은 4강으로 직행하며 1번 시드팀은 4상 상대를 고를수도 있다.
    • 퍼시픽은 8개 팀이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경기를 진행한다.
    • 코리아에서는 3팀, 재팬과 퍼시픽은 각각 2팀을 선별하여 총 7개의 팀이 진출한다.
    • 마지막으로 코리아 4위, 재팬 3위, 퍼시픽 3위 세 팀간 와일드카드 매치가 진행되며 여기서 우승한 1팀이 아시아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총 8팀이 OWCS 아시아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
    • 코리아 지역 본선만 WDG e스포츠 스튜디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재팬과 퍼시픽은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지역 오픈
    • 코리아, 재팬, 퍼시픽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마다 128개의 팀이 참여가능하다.
    • 공개적으로 팀을 모집하여 코리아와 재팬은 상위 9개팀, 퍼시픽은 상위 8개팀이 지역 본선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는 기존의 오픈 디비전과 유사하다.
    • 지역 오픈은 비방송으로 진행된다.
  • 주로 미국에서 진행되어 미국 시간에 맞추어져 있던 오버워치 리그와는 다르게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는 아시아 지역에서 치러지는 리그답게 아시아 시간 기준 프라임 타임에 맞추어 진행된다. 월화수 오후 5시에는 OWCS 재팬, 목요일 오후 5시에는 OWCS 퍼시픽 그리고 금토일 오후 5시에는 OWCS 코리아가 생중계로 편성되어 말 그대로 일주일 내내 리그가 진행된다.
  • OWCS 아시아 챔피언십 또한 한국 시간 기준 목, 금, 토, 일 오후 5시에 한국어, 일본어, 영어로 생중계된다.
3.3.1.1. MAP VETO PROCESS (맵 비토)
OWCS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하는 맵 밴픽 시스템이다.
3.3.1.1.1. 2024년 2월 19일 ~ 2024년 3월 18일
각 세트의 모든 맵은 경기전에 두팀이 밴픽을 진행하여 선정한다.
  • 쟁탈
    • A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B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A팀이 밴하지 않은 맵중 하나를 선택한다.
    • B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혼합
    • B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A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B팀이 밴하지 않은 맵중 하나를 선택한다.
    • A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밀기
    • B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A팀이 밴하지 않은 맵중 하나를 선택한다.
    • B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플래시 포인트
    • B팀이 맵 하나를 선택한다.
    • A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호위
    • A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B팀이 맵 1개를 밴한다.
    • A팀이 밴하지 않은 맵중 하나를 선택한다.
    • B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Tie Breaker
    • Tie Breaker 1 - 쟁탈
      • 밴 되지 않고 플레이 하지 않고 남은 맵 1개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 A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 Tie Breaker 2 - 밀기
      • 밴 되지 않고 플레이 하지 않고 남은 맵 1개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 B팀이 해당 맵의 진영을 선택한다.
3.3.1.1.2. 2024년 3월 18일~
  • 1세트는 무조건 쟁탈이며, 상위 랭크 팀이 맵을 선택한다.
  • 2세트는 1세트 패한 팀이 쟁탈을 제외한 혼합, 밀기, 플래시포인트, 호위 중 하나와 선택한 모드의 맵을 선택한다.
  • 3세트 부터 이전 세트에서 패한 팀이 이전에 했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 중 하나와 선택한 모드의 맵을 선택한다. 즉, 모드 중복이 불가능하다.
  • 7전 4선승제는 6세트 부터 전 세트에서 패한 팀이 4세트 이전에 했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그 세트에 했던 맵은 선택이 불가능하다. 단, 같은 모드 연속 선택은 불가능하다.
  • 타이브레이커 발생시 5세트에서 패한 팀이 4세트 이전에 했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그 세트에 했던 맵은 선택이 불가능하다. 단, 5세트에 했던 모드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3.3.2.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NA & EMEA

파일:owcl-emea-regions.png
OWCS NA & EMEA 지역 진행 순서
  • 북미 와 EMEA 지역은 1년동안 4개의 스테이지, 한 서킷에 2개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 각각의 스테이지마다 오픈 퀄리파이어와 메인 이벤트가 진행되며 메인 이벤트 성적을 통해 국제대회로 갈 수 있는 서킷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 오픈 퀄리파이어는 스위스 스테이지와 그룹 스테이지로 구성된다. 최대 512개의 팀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참여 가능하며 16개 팀이 그룹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 그룹스테이지에서는 16개팀이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치러지며 각 그룹 상위 2팀 8개 팀이 메인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메인 이벤트는 그룹스테이지에서 진출한 8개 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 북미와 EMEA지역은 FACEIT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되며 해당 지역의 OWCS 공식 참여수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4. 시청 보상 (드롭스)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경기를 생중계로 시청하면 스프레이, 아이콘, 프로필 카드 및 스킨 등 게임 내 꾸미기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한국에서 시청 보상은 유튜브 생중계 채널 혹은 트위치를 통해서만 제공되며[16], 치지직과 아프리카는 시청 드롭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시청 보상을 획득하려면 유튜브 혹은 트위치 계정에 Battle.net 계정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 2024년 2월 26일 ~ 3월 18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fff,#1c1d1f><rowbgcolor=#333e48><rowcolor=#fff><width=25%> 2시간 ||<width=25%> 4시간 ||<width=25%> 6시간 || 8시간 ||
파일:OWE 아이콘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png파일:OWE 스프레이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png파일:라이프위버 스프레이 포근한 라이프위버.png파일:OWE 아이콘 코기 쿠키.png
아이콘: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스프레이: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스프레이:
포근한 라이프위버
아이콘:
코기 쿠키
}}}
  • 2024년 3월 18일 ~ 31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fff,#1c1d1f><rowbgcolor=#333e48><rowcolor=#fff><width=20%> 2시간 ||<width=20%> 4시간 ||<-2> 6시간 ||
파일:OWE 스프레이 오버워치 이스포츠.png파일:OWE 아이콘 오버워치 이스포츠.png파일:DVa 네임카드 DVa의 호떡.png
스프레이:
오버워치 이스포츠
아이콘:
오버워치 이스포츠
프로필 카드:
D.Va의 호떡
8시간 스킨: 키리코 OWCS 홈 & 어웨이
}}}
  • 2024년 4월 1일 ~ 22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fff,#1c1d1f><rowbgcolor=#333e48><rowcolor=#fff><width=20%> 2시간 ||<width=20%> 4시간 ||<width=20%> 6시간 || 8시간 ||
파일:OWE 아이콘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png파일:OWE 스프레이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png파일:파라 스프레이 Calling All Heroes 파라 폴라로이드.png파일:OWE 네임카드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png
아이콘: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
스프레이: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
스프레이:
Calling All Heroes 파라 폴라로이드
프로필 카드: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2024
}}}
  • 2024년 4월 22일 ~ 29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fff,#1c1d1f><rowbgcolor=#333e48><rowcolor=#fff><width=20%> 2시간 ||<width=20%> 4시간 ||<width=20%> 6시간 || 8시간 ||
파일:OWE 아이콘 동글이마리.png파일:OWE 스프레이 나노블레이드 협정.png파일:OWE 스프레이 아이언클래드 전투.png파일:OWE 네임카드 피어나는 우정.png
아이콘:
동글이마리
스프레이:
나노블레이드 협정
스프레이:
아이언클래드 전투
프로필 카드:
피어나는 우정
10시간 스킨: 라인하르트 OWCS 홈
12시간 스킨: 라인하르트 OWCS 어웨이
}}}
  • 2024년 6월 1일 ~ 3일 (드림핵 댈러스)
    {{{#!wiki style="word-break:keep-all;letter-spacing:-0.05rem;font-size:0.9rem;"
<rowcolor=#fff>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파일:OWE 아이콘 댈러스 메이저 - 낮.png파일:캐서디 스프레이 로데오 캐서디.png파일:애쉬 스프레이 로데오 애쉬.png파일:OWE 아이콘 댈러스 메이저 - 밤.png
아이콘:
댈러스 메이저 - 낮
스프레이:
로데오 캐서디
스프레이:
로데오 애쉬
아이콘:
댈러스 메이저 - 밤
<rowcolor=#fff> 5시간 6시간
파일:OWE 네임카드 댈러스 정오.png파일:OWE 스프레이 포르쉐 드리프트.png
프로필 카드: 댈러스 정오 스프레이:
포르쉐 드리프트
<rowcolor=#fff> 7시간 8시간
파일:OWE 네임카드 댈러스 밤.png파일:OWE 네임카드 포르쉐.png
프로필 카드: 댈러스 밤 프로필 카드: 포르쉐
<rowcolor=#fff> 9시간 10시간
파일:OWE 네임카드 제로백.png 무기 장식품: OWCS
프로필 카드: 제로백
11시간 스킨: 애쉬 OWCS 홈

[1] 2160p60까지 화질을 지원하며 한국에서 오버워치 드롭스를 지원하는 유일한 플랫폼이다.[2] 화질이 1440p60까지 지원된다. 아프리카TV 자체 드롭스로 문화상품권 5천원을 랜덤으로 증정하고 있다.[3] 화질은 1080p까지 지원되지만 아직 정식 운영중인 플랫폼이 아닌 관계로 프레임율이 30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시청이 불편할 경우에는 다른 선택지도 있으니 참고할 것.[4] WDG 계정[5] 블리자드 공식 계정[6] 오버워치 이스포츠 공식 사이트[7] faceit에서 운영하는 북미/EMEA 지역 홈페이지 한국어 번역이 지원되기는 하나 완벽하지는 않다.[8] WDG에서 운영하는 아시아 지역 홈페이지[9] 컨텐더스에서도 오픈 리그를 맡기는 경우도 있었지만 챔피언스 시리즈는 여러 전반적인 부분들을 모두 다 맡겨서 진행한다.[10] 스테이지 1=스프링, 메이저=MSI, 스테이지 2=서머, 파이널=월즈[11] 한국, 일본, 퍼시픽[12] 퍼시픽에는 태국, 대만, 홍콩, 마카오, 싱가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이 포함된다[13] 알제리, 오스트리아, 바레인,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공화국, 덴마크, 이집트,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조지아,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마케도니아, 모로코, 네덜란드, 노르웨이, 오만, 폴란드, 포르투갈, 카타르, 몰도바 공화국,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니지, 터키,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영국[14] 아르헨티나,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에콰도르,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자메이카, 멕시코, 니카라과, 파라과이, 페루, 푸에르토리코, 우루과이, 미합중국, 베네수엘라[15] 태국, 대만, 홍콩, 마카오, 싱가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16] 트위치의 경우 한국어 중계는 2024년부로 더 이상 제공하지 않으니 유의. 때문에 일본어/영어 중계를 통해서만 보상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