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8:48:03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RBPT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147,#002147>
파일:레드불 심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2147><colcolor=#fff> 레드불 레이싱 레드불 레이싱 · 레드불 주니어 팀 · RB 포뮬러 원 팀
F1 이외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레드불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스) · 레드불 유한회사 · 레드불링 · 레드불 레이싱 팀나스카 · 애스턴 마틴 발키리 · 레드불 RB17 · 르노 메간 R.S. RB7 / R.S. RB8 · 르노 클리오 레드불 레이싱
드라이버 막스 베르스타펜 · 유키 츠노다 · 리암 로슨 · 세바스티앙 부에미 · 제이크 데니스 }}}}}}}}}

<colbgcolor=#002147><colcolor=#fff> Red Bull POWERTRAINS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파일:RBPT.png
정식 명칭 Red Bull Powertrains Ltd
한국어 명칭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유한회사
설립일 2021년 4월 16일 ([age(2021-04-16)]주년)
설립자 헬무트 마르코
크리스티안 호너
핵심 인물 크리스티안 호너CEO
벤 호지킨슨(Ben Hodgkinson)기술 감독
본사 소재지 영국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버킹엄셔밀턴킨스
모기업 레드불 유한회사
홈 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F1 엔진 제작4. 제작한 엔진 및 PU 역사5. 둘러보기

1. 개요

레드불 파워트레인스 유한회사(RBPT)는 오스트리아의 레드불 유한회사가 소유하고 영국에 본사를 둔 포뮬러 원 파워 유닛 제조 회사이다. 2021년 이후 일본의 혼다가 포뮬러 원에서 철수함에 따라 2022년부터 혼다에서 개발한 포뮬러 원 파워 유닛의 운영 부문을 인수하기 위해 2021년에 설립되었다. 그러나 혼다는 2022년 다시 레드불 레이싱 및 휘하의 자매 팀을 계속 지원하였고 2025년 말까지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혼다는 파워 유닛을 조립생산하고 트랙사이드 및 레이스 운영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파워 유닛은 혼다의 지적 재산으로 남아 있으며, 개발 동결로 인해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는 이를 개발하지 않고 있다.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는 포드와의 파트너십을 체결, 레드불 포드 파워트레인스로 사명을 변경하는 2026년부터 엔진 공급 및 운영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는 밀턴 킨스에 위치한 레드불 레이싱 섀시 부서 근처에 5,000평 규모의 시설에서 운영되고 있다.

2. 역사

2021년 2월 레드불 어드밴스드 테크놀로지스는 혼다와 포뮬러 원 엔진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했고, 2021 시즌이 끝난 후 혼다가 포뮬러 원을 떠난 2022 시즌부터 혼다로부터 엔진을 구매하여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로 이름을 바꾸고 2022년부터 레드불 레이싱과 알파타우리에 공급할 예정이었다.

2021년 4월 23일 레드불 파워트레인스는 2017년부터 메르세데스 AMG HPP의 기계 엔지니어링 책임자였으며 브릭스워스 공장에서 20년간 근무한 벤 호지킨슨을 기술 감독으로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5월 6일 레드불 레이싱은 스티브 블레웻(레드불 파워 유닛 생산 책임자), 오미드 모스타기미(엔진, 전자 및 에너지 회수 책임자), 핍 클로드(에너지 회수용 기계 설계 책임자), 안톤 마요(연소 파워 유닛 설계 책임자), 스티브 브로디(연소 엔진 운영 책임자) 등, 메르세데스 엔진 부서의 고위 직원 5명을 추가로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2022년 10월 2일, 혼다는 레드불 레이싱과의 파트너십을 재강화하는 계약을 발표했으며 2025년까지 엔진에 대한 완전한 감독권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2022년 일본 그랑프리부터 레드불 레이싱과 알파타우리의 차량에 혼다의 로고가 다시 부착될 예정이다.

2023년 2월 4일, 레드불 레이싱과 포드 모터 컴퍼니는 새로운 엔진 규정에 따라 포드가 2026년 포뮬러 원에 복귀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포드는 '배터리 셀 및 전기 모터 기술, 동력 장치 제어 소프트웨어 및 분석, 연소 엔진 개발' 분야의 전문 지식을 제공할 것이며, 사명이 '레드불 포드 파워트레인'으로 변경될 것이다.

3. F1 엔진 제작

레드불의 포뮬러 1 엔진 컨스트럭터 참가 기록
첫 참가 경기 2022 바레인 그랑프리
마지막 참가 경기 2022 아부다비 그랑프리
레이스 참가 횟수 22경기
사용된 섀시 레드불 레이싱,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포디엄 28회
폴 포지션 8회
패스티스트 랩 8회
레이스 우승 17회
포인트 794점
챔피언십 횟수
드라이버(1회) 2022
컨스트럭터(1회) 2022

4. 제작한 엔진 및 PU 역사

포뮬러 1/2022시즌에 RBPTH001(Red Bull PowerTrains Hybrid 001)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RBPTH001은 이름과는 달리 레드불이 아니라 혼다에서 개발, 생산 및 유지 관리한 모델이다. 새로운 E10 연료에 맞게 점화 타이밍, 실린더 압력, MGU-H 등이 다른 혼다 RA621H의 파생 모델이며 크랭크샤프트와 실린더 블록 형상도 E10 연료 사용 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정되었다. 또한 혼다 모터사이클 사업부에서 개발한 특수 코팅이 실린더 벽에 적용되었다. 분사 시스템, 배기, 터보차저의 컴프레서와 터빈 등도 모두 E10 연료에 최적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RBPTH001의 무게는 이전 작인 RA621H보다 중량이 더 무거워졌지만 배기 및 흡기 레이아웃과 전기 부품을 제외하면 두 엔진의 크기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새 엔진은 RA621H에 비해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는데 2022년 연료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RBPTH001은 이전 모델보다 열 효율이 더 높았다.
파일:Honda_RBPTH001.webp
RBPT의 1.6L V6 터보차져 파워유닛
시즌 브랜드 이름 형식 탑재 차종
2025시즌 레드불 혼다 RBPTH0002 1.6L 90° V6 터보 하이브리드 레드불 레이싱 RB21, RB VCARB 02
2024시즌 레드불 레이싱 RB20, RB VCARB 01
2023시즌 RBPTH0001 레드불 레이싱 RB19, 알파타우리 AT04
2022시즌 레드불 레이싱 RB18, 알파타우리 AT03

5. 둘러보기

파일:포뮬러 1 로고.svg 파워유닛 제조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AMGHPP.png
파일:mercedes-amg-f1-logo.svg 파일:Aston_Martin_Aramco_Formula1_logo.png 파일:맥라렌 포뮬러 1 팀 로고.svg 파일:아틀라시안윌리엄스.png
파일:페라리 로고.svg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HP 로고.svg 파일:Logo_Official-SF1TKS_Horizontal_CMYK_pos.png 파일:MoneyGram_Haas_F1_Team_Logo.png
파일:RBPT.png 파일:E-Tech Hybrid_B.png
파일: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로고.svg 파일:Visa_Cash_App_RB_F1_Team.png 파일:알핀 포뮬러 원 팀 로고.p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