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1:39:26

교초

1. 개요2. 역사
2.1. 원나라 이전2.2. 몽골제국-원나라2.3. 고려-조선
3. 여담

1. 개요

중국 원나라 당시에 원나라 조정에서 직접 발행하던 지폐.

북송 대에 처음 발행했던 교자의 직속 후신으로 교자보다 훨씬 오랫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일정 기간 이상 정기적으로 유통되던 지폐의 예시로서는 제일 이른 사례들 중에 하나로 꼽힌다.

2. 역사

2.1. 원나라 이전

송나라(북송·남송)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ce5b6> 역사 북송 | 남송
정치 황제 | 역대 송 황제
외교 틀:송나라의 대외관계
행정구역 카이펑시 | 항저우 | 송나라의 행정구역
경제 교자
인물 역대 송 황후
민족 한족
문화 수호전 | 성리학 | 동파육 | 철탑 | 황궁 | 덕수궁(남송)
기타 송원시대
수나라&당나라 · 오대십국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에서는 북송시대에 일정량의 구리와 교환할 수 있는 교자(交子)라는 지폐가 있었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지폐로서 그 편리성 때문에 상업이 발달했던 북송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문제는 북송 조정이 요나라, 금나라, 서하 등의 침략을 막기위한 군비 및 공물[1]을 마련하기 위해 구리가 없는데도 이런 종이 지폐를 남발하기 시작한데서 비롯되었다. 현대로 치면 수입은 없는데 카드를 계속 긁은 것이다. 이는 송휘종 당시 가장 심했기 때문에, 물가 폭등을 불렀고 북송 경제가 붕괴되어 군사력도 엉망진창이 되었고, 그 틈에 신흥 금나라에 수도 카이펑이 유린당하고, 황제 및 비빈이 포로로 잡혀가는 정강의 변을 부르기도 했다.

이어 금나라도 비슷한 제도를 사용했는데, 해릉왕 당시에 화폐 제도를 정비하고 지폐외에도 동화와 은화를 발행했다. 금나라 조정도 곧 몽골-금 전쟁에 휘말리면서 군비를 확충하기 위해 지폐를 남발하게 되고 결국 경제가 붕괴되어 멸망하고 만다.

2.2. 몽골제국-원나라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svg {{{+1 {{{#004db1 몽골 제국 · 원나라 {{{#004db1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c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4db1><colcolor=#fff> 역사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원나라, 오고타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 동방 3왕가) | 북원
정치 쿠릴타이 | (대칸 · 역대 대칸) | 역대 몽골 제국 대칸 & 역대 오고타이 칸국 칸 & 역대 원 황제 | 역참
외교 여몽 관계
사법 · 치안 몽골 제국군(천호제 | 케식) | 법률
도성 · 궁궐 카라코룸(에르데네 조 사원) | 대도 | 샤나도
경제 교초
문화 몽골어 | 몽골 문자(파스파 문자) | 원조비사
인물 야율초재
기타 색목인 }}}}}}}}}}}}}}}

원래 몽골제국은 약탈 및 물물교환의 원시적 경제를 가진 국가였으나, 상업이 발달한 중국과 중앙아시아 중동을 정복하면서 화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몽골 제국에 출사한 거란야율초재는 오고타이에게 지폐 사용을 건의했고, 1236년 최초로 몽골제국은 교초를 발행했다. 야율초재는 금나라가 교초를 남발하다가 망한 것을 상기시켜 발행을 엄격히 통제했다. 이어 몽골제국의 여러 귀족들이나 번왕들도 자체 지폐를 발행하게 되었다.

몽골제국이 중화제국을 자처하며 원나라로 발돋움한후 이런 중구난방 상태를 정리하기 위해 쿠빌라이는 수도 대도에서 모든 지폐를 통일해 제로통행중통원보교초(諸路通行中統元寶交鈔), 약칭 "중통초"를 발행했다. 여기에는 "유통을 거부하는 자나 위조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경고문구를 넣기도 했다.

교초란 바로 이 중통초를 말한다. 이는 원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은의 양(365만관)에 맞게 약 7만3천정만 발행되었다. 이론상 이 지폐를 가져오면 그 액면가대로 원나라 조정이 보유한 은과 교환할 수 있었다. 쿠빌라이는 남송과 전쟁을 벌이고 있었고, 정복한 남송의 영역에서 남송의 지폐인 회자를 이 중통초로 교환해주었다. 교환비는 남송의 동화 3관에 중통초 1관이었다. 남송을 정복한 이후에는 강남(중국)을 기반으로 탄탄한 경제력을 보유했던 남송의 귀금속이 원나라 수중에 들어오면서 원나라 조정은 교초의 유통량도 늘렸다.

이 당시만 해도 원나라의 행정능력은 살아있었고, 쿠빌라이는 도로와 운하등의 물류망을 정비하고 각지에 창고를 건설하여 물가 폭등을 방지하여 지폐유통은 안정적으로 보였다.

원나라는 남송을 정벌한 후, 일본원정 (1274년)을 포함한 여러 전쟁을 벌였는데,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게다가 원나라에 반항하는 한족의 반란이 중국 전역에서 일어나자 이때부터 원나라는 전비를 마련하기 위해 중통초를 남발하기 시작했다. 결국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중통초의 가치는 떨어졌다. 원나라 조정은 중통초의 가치가 떨어지자 (즉, 재정이 모자르게 되자) 민간이 보유한 은을 중통초와 강제교환을 법제화한 법령을 만들었으나, 당연히 중통초의 가치가 현격이 낮아졌음을 알게 된 민간은 보유한 은을 꼭꼭 숨기게 되었다. 1287년 원나라 조정은 어쩔수 없이 새로운 지폐를 발행했고, 이는 지원통행보초(至元通行寶鈔)라고 한다. 이것은 중통초 액면가의 1/5가치였다. 이것으로 중통초는 사실상 반으로 가치가 하락했다고 한다.

쿠빌라이 이후에 원나라의 행정능력은 더욱 격감하여 라마승들의 국정 농단 및 황실의 사치에 시달리게 되고 쿠빌라이칸 이후 원나라 황제들이 계속 단명하면서 이후 25년간 9명의 황제가 즉위하여 일관된 정책을 펼 기회가 없었다. 이렇게 리더십이 흔들리자, 제국을 유지하기 위한 행정 개혁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원나라 조정은 막대한 재정적자에 시달리게 되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더욱 더 교초를 남발하게 되었다. 원나라는 재정위기, 인플레이션을 타개하기 위해 계속 화폐개혁을 실시했으나, 재정적자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전혀 타개책이 될 수 없었고, 결과적으로 원나라 말기에는 전성기 시절에 비해 수백배 물가 폭등을 불렀다. 즉 그만큼 교초의 가치가 폭락한 것이다. 때문에 조정이 구리나 은으로 지급보증을 해주던 교초 발행은 중단되고 원나라는 1365년 교초제도를 폐지했다. 원나라는 교초를 폐지한 정확히 3년 후에 남부에서 발흥한 명나라에 수도 대도을 내주고 막북으로 쫓겨나게 된다.

원나라는 제국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엄청나게 늘어나면서, 막대한 재정적자를 야기했는데, 이 재정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교초남발을 하다보니 원나라 행정의 마비를 불렀고, 원나라의 멸망을 불렀다.

명나라도 홍무제 시절에 대명통행보초(大明通行寶鈔)라는 지폐를 발행했다가, 영락제 시절 물가폭등을 보이자 그 부작용을 보고 더이상 지폐발행을 중단하고 다시는 지폐를 발행하지 않게 된다.[2] 이어 중국에서 지폐는 청나라 말기가 되어서야 다시 발행되게 된다.

2.3. 고려-조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저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가 몽골 제국과 강화를 하여 그 영향으로 고려에서도 원 황실의 공주가 실크로드 무역에 접촉을 알선해주자, 고려도 교초를 사용하였으며, 그 영향으로 고려-조선 교체기 동안에 교초를 본뜬 저화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3. 여담

원나라 당시에 발행 / 유통되었던 지폐이니 만큼 원나라 때의 중국을 방문했던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도 등장하는데, 마르코 폴로가 유럽에서 "중국에서는 금화 대신 종이를 돈으로 쓰더라"라고 썰을 풀자 그를 듣던 모두가 "거짓말하지 마라. 금화 대신에 종이로 물건 값을 지불하다니, 중국에는 전부 바보들만 산단 말이냐?" 하고 비웃으며 허풍쟁이 취급했다는 얘기가 유명하다.

서양의 최초의 지폐는 마르코 폴로 이후 400년 지난 당시 1690년 영국 식민지였던 매사추세츠에서 발행된 것이다. 즉 중국에 비해 약 500년이 뒤진다.

이렇게 제국이 흥기하고 몰락하는 과정을 재정 정책 변화로 연구한 폴 케네디의 명저 강대국의 흥망이 있다. 이 책은 원나라가 아니라 유럽국가들을 연구 주제로 다루었지만, 실제로 송, 금, 원이 멸망하는 과정은 이 책에서 묘사한 강대국이 쇠퇴하는 원인과 비슷하다.

[1] 북송은 조공으로 이들을 달래어 침략을 막았다.[2] 그때부터 청나라 말기까지 은이 널리 유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