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9:34:53

금정중학교(부산)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금정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구서여자중학교 금사중학교 금양중학교 금정중학교
남산중학교 동래여자중학교 동현중학교 부곡여자중학교
부곡중학교 부산예술중학교 브니엘예술중학교 장전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금정중학교
金井中學校
Kumjung Middle school
파일:rmawjd.png
개교 <colbgcolor=white,#191919> 1906년[1] 6월 20일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자중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학교법인 금정학원
교장 정영훈
교감 박근형
교훈 지혜롭게, 자비롭게, 향기롭게
교화 수국
교목 목련
교기 배구
학생 수 271명[2]
교직원 수 27명
(남 13명 , 여 14명)[3]
관할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104 (남산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교표3.2. 교화3.3. 교목3.4. 교훈3.5. 교육목표3.6. 교가
4. 운동부
4.1. 족구부4.2. 배구부
5. 교통
5.1. 버스5.2. 도시철도
6. 출신 인물7. 사건 사고
7.1. 2023 태풍 카눈으로 인한 축대 붕괴
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 위치한 사립 남자중학교불교 계열 미션스쿨이다. 범어사와 상당한 친분이 있으며[4] 매년 법회를 진행한다.

2. 학교 연혁

1906년 6월 20일 범어사 금어암에서 명정학교 개교
1908년 5월 1일 사립명정학교 인가(4년제)
1916년 3월 15일 범어사 침계료에 지방학림(중등정도) 개설
1919년 3월 31일 재학생 기미독립운동 참가로 인하여 폐교 당함
1926년 3월 15일 범어사 금정 불교 전문 강원 개원
1943년 12월 1일 원감 김법린씨의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폐원 당함
1946년 3월 15일 금정 초급 중학교(4년제) 명칭으로 범어사 침계료에서 개교
1946년 9월 5일 재단법인 불교 경남 교무학원 명의로(문보 제15호) 금정 초급 중학교 설립인가. 초대 박정국 교장 취임
1947년 6월 21일 제1회 수료식 거행
1947년 11월 21일 범어사 침계료에서 현재 위치의 신축교사로 옮김
1950년 6월 1일 교육법 개정에 따라 금정중학교로 개칭
1950년 8월 5일 6.25 사변 중 제5교육대, 국민방위 사관학교, 육군 군의학교 등에 교사를 제공하고 청룡리 가교사로 옮겨 수업
1952년 12월 3일 본 교사에 수복
1970년 3월 1일 3.1운동 유공비 제막식
1972년 4월 7일 문교부 교행 1042-3호로 학교 법인 금정학원이 학교법인 원효학원(전 불교 경남교무학원)에서 분리, 초대 이영근 이사장 취임
1979년 6월 2일 자비동산 조성 부처님 점안
1986년 5월 13일 본관 24개 교실 개축 준공
1986년 6월 13일 관음 보살상 건립 제막
1993년 5월 10일 교내 법당(반야원) 개원
2004년 12월 22일 금정중학교 역사관 개관
2006년 9월 30일 금정중학교 100년사 발간
2006년 10월 20일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금정대동제, 한마음축제)
2007년 9월 7일 본교 역사관 소장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이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6호로 지정
2009년 6월 25일 도시 계획 시설(학교) 지형 도면 고시
2009년 9월 22일 본교 3․1 운동 유공비 현충시설로 지정
2010년 5월 24일 본교 법당 석조여래 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52호로 지정
2011년 2월 22일 다목적 강당 및 급식실 준공(명정관)
2013년 9월 2일 운동장 인조잔디 및 기타 공사 준공
2016년 6월 27일 제15대 김정목 이사장 취임
2016년 12월 12일 교훈변경(지혜롭게, 자비롭게, 향기롭게)
2018년 9월 1일 제17대 권장석 교장 취임
2019년 4월 27일 자비동산 부처님 점안식
2019년 9월 13일 옹벽개수공사 준공
2020년 1월 31일 제74회 졸업식 (125명 졸업, 졸업생 누계 22,691명)
2020년 10월 12일 운동장 우레탄 트랙 및 다목적구장 개보수공사 준공
2021년 1월 8일 제75회 졸업식 (129명 졸업, 졸업생 누계 22,820명)
2021년 3월 4일 이중천장교체(석면해체) 및 기타공사 준공
2021년 3월 8일 블렌디드 교실 구축
2021년 7월 7일 반야원 이전 개원 및 인성교육관 조성
2022년 1월 4일 제76회 졸업식(118명 졸업, 졸업생 누계 22,938명)
2022년 2월 25일 중창공사 및 방송실 등 실내망 정비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파일:rmawjd.png
교표

3.2. 교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ydrangea_macrophylla_02.jpg
수국
교화는 수국이다.

3.3. 교목

파일:목련핑크파워.jpg
목련
교목은 목련이다.

3.4. 교훈

파일:교훈_rygnssithsdjjj.png
교훈
지혜롭게, 자비롭게, 향기롭게

3.5. 교육목표

교육목표
자비정신을 바탕으로 한 자주적이며 도덕성을 지닌 민주 시민 육성

3.6. 교가

교가
신라의 옛 향기 그윽한 하늘 아래 고요히 자리 잡은 우리의 모교
잊었던 전통을 도로 찾으며 자자히 닦아가는 겨례의 새싹들
내일을 빛내일 굳건한 다짐 쉼 없이 이어나갈 우리의 금정 금정 중학교

4. 운동부

4.1. 족구부

제 17회 전국학교스포츠클럽 축전에서 우승을 이루는 쾌거를 자아냈다.#

4.2. 배구부

매회 배구 시합을 나가며 교내 명정관 근처에 숙소가 있다.

5. 교통

5.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범어사역/팔송(3048/3051/11022/11023)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급행
일반
마을
경상남도 시내버스
일반
마을
동면1-1

5.2. 도시철도

범어사역 2번출구와 굉장히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 사실 바로앞이다 교통이 편리해 여러 자격등 등 시험을 실시하기도 한다

6. 출신 인물

7. 사건 사고

7.1. 2023 태풍 카눈으로 인한 축대 붕괴


캡션

2023년 제6호 태풍인 카눈의 여파로 학교 뒤편에 위치한 공장의 축대 벽이 붕괴하는 사건이 있었다. 다행히 현장을 지나가는 행인은 없어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토사가 과학 1실을 완전히 덮치면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학교는 축대가 무너진 원인을 밝히고 앞으로의 폭우 및 태풍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5]

8. 여담

  • 1970년대 이전 부산지역 중학교가 평준화 되기 전만 해도 부산에서 몇 안되는 남녀공학 중학교 였었다. 학교 홈페이지에 1960년대 후반 까지의 남녀공학 시절의 사진이 학교 역사란에 있다. 하지만 1968년 금정여자중학교[6]가 개교하고 1970년 중학교 평준화가 되면서 남녀공학에서 남중으로 전환되었다.
  • 다른 불교계열의 미션스쿨과는 달리 종교적 채색이 짙은 편이지만[10] 개신교 미션스쿨 계통의 중학교보다는 얕은 편이다. 본인이 무교이거나 불교가 아닌 다른 종교를 가지고 있다면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나 크게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다.[11]
  • 매년 부처님오신날에는 부산 지역에서 열리는 연등회에 금정중학교 학생들이 참가하는 경향이 있다.[12]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B9A26A,#B9A26A><colcolor=#231916> 인물
종조
도의 ·
중천조
지눌 ·
중흥조
보우 · 역대 종정(틀) · 역대 총무원장(틀)
소의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 전등법어
주요 사찰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해인사 · 백양사 · 범어사 · 수덕사 · 쌍계사 · 통도사 · 송광사 · 동화사
세계유산
통도사 · 부석사 · 봉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선암사 · 대흥사 · 해인사 · 불국사
종립학교
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중학교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가람중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홍제중학교 · 광동중학교 · 보문중학교 · 능인중학교 · 금정중학교 · 해동중학교 · 정광중학교 · 청담중학교 · 이서중학교
고등학교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가람고등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선화여자고등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고등학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영석고등학교 · 보문고등학교 · 광동고등학교 · 의정부광동고등학교 · 능인고등학교 · 해동고등학교 · 정광고등학교 · 청담고등학교 · 이서고등학교
대학교
동국대학교 · 중앙승가대학교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기타 비판 · 군종 승려 · 유사조계종 }}}}}}}}}

[1] 금정중 및 청룡초의 전신 명정학교의 개교일이다. 실질적으로 금정중학교는 1947년에 개교했지만 역사를 고취하는 차원에서 1906년으로 표기함.[2] 2025년 기준[3] 2024년 기준[4] 애초 금정중학교가 있는 지역이 14교구 본사인 범어사가 있다. 다만 부산에는 옆동네 15교구인 통도사의 포교원과 말사들이 수두룩하며, 심지어 해동용궁사는 전라도에 있는 19교구 화엄사의 말사로 되어있다.[5] (2023). '카눈 소멸' 내일까지 60㎜ 비…'잼버리 콘서트장'에도 빗줄기. “NEWS1”., (2023년 8월 11일). 해안가는 거대 쓰레기장…1km에 600톤 쌓여. “SBS NEWS”.[6]금양중학교[7] 2020년 기준 제목은 종교(불교) 이며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불교교육연합회에서 편저하였다.[8] 약 60%의 내용은 불교, 25%의 내용은 종교 이해이며 15%의 내용은 다른 종교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9] 반야원[10] 대부분의 교실에 불상 사진이 있다. 석굴암 본존 불상 추정.[11] 예로 교내 아침 조례가 이루어질 때 일종의 불교 의식을 치르기도 하나 종교가 다른 학생들을 배려하여 보통 이에 따를 것을 강요하지 않는다. 애초 불교에서는 "가는 사람 붙잡지 말고 오는 사람 막지 마라"고 가르치는데, 이를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배려해야 하는 것 자체로 종교색이 짙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12] 연등회에 참가하면 봉사점수를 10시간이나 부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