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 |||
<rowcolor=#C3C965>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
<rowcolor=#c3c965>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토 히로부미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
<rowcolor=#C3C965>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rowcolor=#C3C965> 제13대 | 제14대 |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 ||||
<rowcolor=#C3C965>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rowcolor=#C3C965>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가토 도모사부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
<rowcolor=#C3C965>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기요우라 게이고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전전 ]] | ||||
<rowcolor=#C3C965>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이누카이 쓰요시 | |
<rowcolor=#C3C965>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사이토 마코토 | 오카다 게이스케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주로 | |
<rowcolor=#C3C965>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아베 노부유키 | 요나이 미쓰마사 | |
<rowcolor=#C3C965> 제38·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전후 ]] | ||||
<rowcolor=#C3C965>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
<rowcolor=#C3C965> 제47대 | 제48-51대 | 제52-54대 | 제55대 |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
<rowcolor=#C3C965> 제56·57대 | 제58-60대 | 제61-63대 | 제64·65대 |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
<rowcolor=#C3C965> 제66대 | 제67대 | 제68·69대 | 제70대 |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스즈키 젠코 | |
<rowcolor=#C3C965> 제71-73대 | 제74대 |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 ||||
<rowcolor=#C3C965> 제75대 | 제76·77대 | 제78대 | 제79대 | |
우노 소스케 | 가이후 도시키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rowcolor=#C3C965> 제80대 | 제81대 | 제82·83대 | 제84대 |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
<rowcolor=#C3C965> 제85·86대 | 제87-89대 | 제90대 | 제91대 |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후쿠다 야스오 | |
<rowcolor=#C3C965>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
아소 다로 | 하토야마 유키오 | 간 나오토 | 노다 요시히코 | |
<rowcolor=#C3C965> 제96-98대 | ||||
아베 신조 | ||||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99대 | 제100·101대 | 제102·103대 |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기요우라 게이고 관련 틀 | ||||||||||||||||||||||||||||||||||||||||||||||||||||||||||||||||||||||||||||||||||||||||||||||||||||||||||||||||||||||||||||||||||||||||||||||||||||||||||||||||||||||||||||||||||||||||||||||||||||||||||||||||||||||||||||||||||||||||||||||
|
일본 제국 제23대 내각총리대신 기요우라 게이고 [ruby(淸, ruby=きよ)][ruby(浦, ruby=うら)] [ruby(奎, ruby=けい)][ruby(吾, ruby=ご)][구자체]| 清浦奎吾[신자체]| Kiyoura Keigo |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 1850년 2월 14일 | ||
히고국 가모토군 가미미우타촌 (現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가모토정) | |||
사망 | 1942년 11월 5일 (향년 92세) | ||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 |||
재임기간 | 제23대 내각총리대신 | ||
1924년 1월 7일 ~ 1924년 6월 1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배우자 | 기요우라 토코 | |
학력 | 칸기엔 | ||
작위 | 백작 | ||
정당 | |||
약력 | 사법성 관료 내무성 경보국장 귀족원 의원 제4대 사법차관 제6·9·11대 사법대신 제24대 내무대신 제19-20대 농상무대신 제5대 추밀원 부의장 제12대 추밀원 의장 제23대 내각총리대신 | }}}}}}}}} |
[clearfix]
1. 개요
일본 제국의 정치가, 23대 내각총리대신.2. 생애
2.1. 초기
1850년 2월 14일, 기요우라 게이고는 에도 막부 히고국 가모토군(현 구마모토현 야마가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복한 집안 출신이어서 호화롭게 성장했다. 그는 히로세 탄소의 사립학교에서 1865년부터 1871년까지 공부했다. 이때 노무라 모리히데와 친구가 되어서 "기요우라 경고"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다. 상류층의 전형적인 엘리트 출신으로, 사법성 관료로 출사해 34세에 내무성 경보국(現 일본 경찰청)장[3]으로 발탁되어 7년간 근무하였다.1891년 귀족원 의원으로 칙임되어 경보국장을 사임하였고 이후 1892년 제2차 이토 내각의 사법차관을 시작으로 1896년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의 사법대신으로 발탁된 뒤 5년 6개월을 재임하며 나중엔 제1차 가쓰라 내각에서 농상무대신과 내무대신까지 겸임했다. 1902년 남작위를 받았으며 1906년 추밀원 추밀고문관으로 임명되며 귀족원 의원직을 사임했다.
1914년 제1차 야마모토 곤노효에 내각이 붕괴된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로부터 내각총리대신으로 추천받았지만, 해군과 입헌동지회의 격렬한 반대로 좌초되었으며[4] 이후 히라다 토스케, 덴 켄지로 등 귀족원 의원들과 연합하여 제2차 오쿠마 시게노부 내각을 타도했다. 1917년부터 1922년까지 추밀원 부의장,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추밀원 의장을 맡았다.
2.2. 총리 취임 후
23대 총리 취임 후 |
이후 1924년 1월 7일, 일본 내각총리대신까지 선출되었다. 과거 해군의 격렬한 반대로 조각이 실패한 경험이 있는데다 75세의 고령에 추밀원 의장을 맡고있는 만큼 반려를 고려했지만 당시 섭정을 맡던 히로히토 친왕(쇼와 덴노)의 때마침 온 기회인데 그냥 맡아달라는 말에 총리대신직을 수락한다. 이후 별 존재감없는 내각을 운영하며 친원로, 친귀족적 정책을 유도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영향으로 일어난 호헌 3파[5] 연합의 2차 호헌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던 시기였다.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기요우라 내각이 단명할 거라 예상했고, 그 예상대로 기요우라 내각은 6월 총선거에서 호헌 3파 연합에 철저하게 발렸다. 그리고 다음 날 기요우라 내각은 총사퇴했다. 그렇게 5개월의 존재감없는 내각은 빠르게 무너졌다.
2.3. 이후
노년의 모습 |
부인과 함께 |
3. 평가
그가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난지라 엘리트적 사고방식과 상류층 출신을 들어 당시에는 '귀족내각' '특별계급내각' '괴뢰내각'이라는 경멸적인 멸칭으로 조롱받았지만, 오늘날 아이러니하게도 기요우라가 총리로 재직했던 시기는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가장 활발했던 시대로 평가된다.4. 매체에서
스쿨데이즈의 히로인인 키요우라 세츠나의 성은 이 사람에게서 따 왔다. 대부분의 스쿨데이즈 등장인물이 그렇듯 생일도 같다.애니메이션 늑대와 향신료의 1기 오프닝(旅の途中), 파이-브레인 신의 퍼즐의 1기 엔딩(홀로그램) 등을 부른 가수 기요우라 나츠미의 고조부이다.
박열(영화)에서는 이수녕이 기요우라 게이고로 분했다. 전임 총리 야마모토 곤노효에와 비교해서 비중은 아오안 수준이고 캐스트에도 '2차 내각 총리'로만 언급된다.
[구자체] [신자체] [3] 전국 경찰을 통솔하는 직위였으며 내무경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총애를 받고 이뤄진 발탁이다.[4] 군부대신 현역무관제로 인해 해군 장성 중에서 해군대신을 추천받아야 하는데 군에서 총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아무도 해군대신으로 보내주지 않아 조각(造閣) 실패로 인해 좌초될 수밖에 없다.[5] 이누카이 쓰요시와 오자키 유키오가 이끄는 혁신구락부와 가토 다카아키가 이끄는 헌정회, 그리고 전 내각총리대신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이끄는 입헌정우회 등 당시 호헌운동을 활발하게 이끌었던 세 파벌을 의미한다. 오자키 유키오를 제외한 나머지 세 사람은 모두 총리직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