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1:28:31

대전 버스 2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c00>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color=#fff> 급행좌석 2002[a] [b] 파일:계룡시 CI.svg
급행 1 2 3 4
광역 B1 파일:바로타 BI.svg M1[a]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1001[b] 1002[a]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타 지역 시내버스와 공동배차
}}}}}}}}} ||
파일:dj2-nc.png 파일:dj2-ec.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대전역까지 빠르게 오가는 방법
4.1.1.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4.1.2.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4.1.3.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4.1.4.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4.2. 대전역까지 환승 없이 편하게 오가는 방법4.3. 노선4.4. 시간표4.5.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협진운수에서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버스 급행2 노선도 (2).svg
기점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봉산동기점) 종점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대전역동광장)
종점행 첫차 05:45 기점행 첫차 05:45
막차 22:30 막차 22:55
평일배차 12분 주말배차 토요일 13분 / 공휴일 15분
운수사명 협진운수 인가대수 19대[1]
노선 봉산동기점 - 대광로제비앙아파트 - 송강전통시장 - 한마을아파트 - 신구교 - 기흥기계 - 금강엑슬루타워 - 신탄진역 - 신탄진한일병원 - 읍내동현대아파트 - 대전지방국세청 - 법동전통시장 - 중리동 - 한국전력공사 - 대전복합터미널 - 성남네거리 - 대전여상 - 으능정이거리 - 대전역 - 대전역동광장
중간 출발 정류장
대전역동광장 방향 한마을아파트05:45

3. 역사

  • 2008년 개편으로 급행버스가 도입되었을 때 신설되었다. 노선은 구 724번(봉산동 - 부사동)의 단축 및 급행형 노선이었으며, 당시엔 대전역까지만 갔다.
  • 2009년 기준으로 신탄진역~대전역을 평시에도 30분 즈음에 주파하는 등 상당한 속도를 보이던 '급행'다운 노선이었다.[2] 당시의 사진
  • 2009년 2월 20일부터 석교/옥계동과 대전역 간 연계 노선이 부족하다는 민원이 폭주하면서, 옥계동으로 연장되었다.
  • 2015년 7월 24일에 2대가 증차되어, 총 29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평일 배차가 9분에서 8분으로 1분 줄었다.
  • 2018년 5월 1일에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20년 8월 5일에 운행대수(휴토)가 변경되었다.
  • 2022년 1월 7일에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23년 대전 0시 축제 기간에는 원동네거리로 우회 운행하였다.
  • 2023년 11월 24일부터 대광로제비앙아파트, 신구교, 금강엑슬루타워 정류장에 추가 정차한다. 이로 인해 시간표상 편도 운행 시간이 5분 증가하였다. 관련 공지
  • 2023년 12월 12일 평일, 토요일, 휴일 시간표가 모두 조정되었다.
  • 2024년 3월 26일부터 2대 증차되어 31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평일 배차가 약 37초 줄었으나, 토요일, 휴일 운행대수와 시간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 2024년 5월 10일부터 대전역~옥계동 구간이 단축되고,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중앙로역)을 경유하여 대전역동광장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단축으로 인한 미운행 구간은 같은 날 신설되는 급행4번이 대체하게 된다. 관련 공지사항 다만 단축되면서 배차간격이 평일 기준 단축 이전인 8분에 비해 12분으로 크게 벌어졌다.
    {{{#!folding [ 변경 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버스 급행2 노선도.svg}}}

4. 특징

  • 서구를 제외한 대전의 모든 구를 경유한다.
  • 이 노선은 구 724번을 조정하여 만든 노선이지만, 대전의 급행버스도 과거 좌석버스의 역할을 계승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구 703번 좌석(현재는 701번)의 역할을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급행1번과는 달리 보조노선이 좀 부실하다.[4] 보조노선으로 701번이 있지만 배차간격도 평일 기준 18분으로 급행2번의 12분보다 훨씬 길고 노선도 신탄진역이나 송강동으로 빠지는 급행2번과는 달리 701번은 신탄진IC, 신일동 쪽으로 빠져버리기 때문에 노선도 묘하게 다르다. 그나마 급행2번이 대부분을 경유하는 신탄진로의 경우 711번이 추가로 보조를 하지만 그마저도 중리동~대전역 구간에서는 따로 놀며, 신탄진역 대신 신탄진고를 경유한다.
  • 또한 대전역에서 한남대, 읍내동, 신대동, 신탄진고로 빠지는 711번이 있는데 배차 간격이 평일 기준 17분으로 긴 편이다. 덕분에 송강, 신탄진역~도심 연계를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거의 독점 중이며 그만큼 수요도 빵빵하다. 하지만 이 때문에 대전복합터미널=급행2번 이미지가 너무 강해져버리는 바람에 정류장 추가 요구가 급행1번보다 많다.[5] 그래도 다른 대전역-신탄진 간선버스들보다 택배근성이 적으며 대전역-신탄진역이 아무리 막혀도 50분~1시간(17km) 안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신탄진 한일병원~와동현대아파트(봉산동방향)/신대주공아파트(대전역동광장방향) 구간은 각 3.9km로 무정차 구간 중 가장 길다.
  • 대전복합터미널과 대전역을 왔다갔다 할 때는 급행4번, 201번, 501번, 622번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낫다.[6] 611번, 616번[E], 701번도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대전역을 바로 가지만 이 세 노선들은 이미 장거리 승객들을 많이 싣고 오는터라 터미널에 오기 전부터 이미 혼잡도가 높지만(이들 노선 이용시 터미널에서 앉아가는 것은 포기하자.) 급행4번, 201번, 501번, 622번은 비래동에서 막 출발한 버스이므로 텅텅 비어있기 때문에 줄 서서 20번째 이후로 탑승한다 하더라도 자리에 앉아갈 수 있으며 서서 간다 하더라도 쾌적한 편이다. 터미널에서 사람이 가장 많이 타는 노선이지만 타 노선에 비해 혼잡도는 낮으며,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는 급행2번과 달리 최단 경로로 대전역으로 가기 때문에 급행4번, 201번, 501번, 622번을 타면 시간 소요도 타 노선에 비해 오히려 6~10분 더 빨리 갈 수 있다.
  • 대전역동광장 방면 '읍내동현대아파트 - 대전지방국세청 - 법동전통시장 - 중리동 - 한국전력공사' 구간, 봉산동 방면 '한국전력공사 - 중리동 - 법동전통시장' 구간은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 신탄진역 정류장에서 청주시내, 청주국제공항으로 가는 청주 407번과 부강, 조치원으로 가는 세종 300번을 이용할 수 있다. 세종시 시내버스와는 이미 환승할인이 시행되고 있고, 2024년 8월 25일까지 청주시 시내버스와는 환승할인이 불가했으나 2024년 8월 26일부터 대전-청주-세종 광역할인이 시행되면서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청남로, 상당로, 공항로 연선 지역 및 성안길, 청주국제공항까지 최대 기본요금 구간에 이용할 수 있으며 청주 표 매진 시 대체 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당공원에서 청주, 진천 711번으로 환승하여 오창읍, 진천종합터미널까지도 기본요금에 갈 수 있다. 사창사거리, 청주시외가경터미널은 모르겠고[8]
  • 2024년 5월 10일부터 '봉산동↔대전역동광장'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 이남 구간이 삼성네거리에서 좌회전을 하여 대전로중앙로, 대종로를 이용해 '삼성네거리-대전역-목척교-으능정이거리-대흥동-오토바이거리-한밭종합운동장'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삼성네거리에서 직진하여 우암로, 대종로와 중앙로를 이용해 '삼성네거리-한밭중네거리-대전여상-으능정이거리-목척교-대전역네거리-대전역동광장'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으능정이거리' 정류장은 경유 방향이 정반대가 되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에서 타면 대전복합터미널로 가는 게 아니라 '대전역동광장 종점'으로 가게 된다. 대전광역시 공식블로그 원문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에서 대전복합터미널로 가려면 급행2번이 아닌 급행4번, 201번, 622번, 701번을 타야 한다.[9] 또한 위 '성남네거리' 정류장 이남의 기존 구간 및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를 포함한 한밭종합운동장 일대 경유도 급행4번으로 대체된다.[10] 급행2번 ↔ 급행4번 환승을 할 경우, '복합터미널 정류장' 또는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제자리 환승을 하는 것이 편리하다.[11] [12] [13] [14] [15] [16] [17]
    {{{#!folding [ 급행2번 노선 단축 및 조정, 급행4번 노선 분할 신설 안내문 보기 ]
파일:240510 급행2번 노선 조정 안내문.png파일:240510 급행4번 노선 신설 안내문.png}}}
{{{#!folding [ 대전 급행2 ↔ 급행4 버스 환승 안내도 보기 ]
파일:협진운수 대전 급행2 급행4 버스 환승 안내도2.jpg}}}
{{{#!folding [ 급행2 ↔ 급행4 제자리 환승 성공이 가능한 예시 사진 보기 ]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으로 환승.jpg 예시 1: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출발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뒤에 낭월동 방향 급행4번, 그리고 급행4번 뒤에 원내동 방향 201번이 있는 사진이다. 앞에 있는 삼성네거리에서 급행2번은 직진을 하기 때문에 그대로 가고, 급행4번과 201번은 좌회전을 하기 위해 이 두 버스는 차선 변경을 미리 하였다. 이 경우 급행2번을 타고 왔을 때 대전역 이후 구간으로 갈 때 급행4번과 201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성남네거리 급행2 급행4 환승3.jpg 예시 2: 위 예시 1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떠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 501으로 환승1.jpg 예시 3: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할 경우, 급행4번이 급행2번 바로 앞에 있어 환승에 실패할 것 같지만 바로 앞 신호등으로 인해 대기하는 차 때문에 정류장에서 출발하지 못했으므로 급행2번에서 하차하자마자 급행4번으로 뛰어가면 운이 좋은 경우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2 611으로 환승1.jpg 예시 4: 예시 3과 동일하게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 정차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 버스 사진으로, 예시 3에서 순서만 바뀐 형태라 예시 3보다 더 안정적으로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대전 비래동 방향 급행4에서 봉산동 방향 급행2 환승2.jpg 예시 5: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비래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뒤를 따라가는 봉산동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4 급행2 환승.jpg 예시 6: 위 예시 5와 같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비래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정차하여 있는 봉산동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이 경우 급행4번을 타고 왔을 때 한국전력공사 이후 구간으로 갈 때 급행2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
  • 원래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역까지 최단 경로로 빠르게 갔으나, 위의 2024년 5월 10일 노선 조정 이후,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를 추가로 경유하여 대전역으로 가므로, '급행2번'이라는 본 노선 이름 및 본 노선 차량에 있는 '봉산동→대전역' 행선판만 보고 종점인 대전역을 빠르게 가는 것으로 낚이지 말고, 대전역을 빠르게 가고 싶으면 #대전역까지 빠르게 오가는 방법을 참고하여 가면 된다. 본래 본 문단 하단에 노선 조정 이후 대전역까지 빠르게 가는 방법을 서술하였으나, 내용이 길어지는 관계로 아래 문단에 별도로 서술한다.

    • 다만 대전역에서 출발할 경우 느려도 앉아서 가고 싶다면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에서 급행2번을 타도 좋다. 산내동, 석교동, 부사동,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대흥동, 으능정이거리(성심당)에서 승객을 잔뜩 싣고 온 급행4번과는 다르게 급행2번은 종점인 대전역동광장에서 출발하고 바로 다음 정류장이 '대전역네거리 정류장'이므로 종점에서 승객 조금 탄 거 빼면 차가 매우 널널하므로 시간이 급행4번, 201번 등의 노선보다 성남네거리까지 가는데 약 6~7분 더 걸려도 앉아서 쾌적하게 갈 수는 있다. 급행2번이 아닌 완행2번이 맞는 것 같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대전역에서 성남동, 대전복합터미널 이후 구간으로 갈 때 급행2번이 정차하는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8]이 아닌 급행4번이 정차하는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에서 201번과 같이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정류장이 크기도 크고, 같은 방향으로 가는 버스 노선도 훨씬 많고(급행2번은 대전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을 갈 때 201번과 반대 방향으로 타야한다.), 결정적으로 대전역에서 횡단보도나 지하도[19]를 건널 필요 없으며, 가깝기 때문이다.
    • 또한 아래 문단에 있는 내용은 기존 성남네거리 이북 구간에서 환승이나 도보, 무궁화호 등 대체 교통수단을 포함한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대전역을 빠르게 오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지, 편하게 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 아니므로, 환승이 번거롭다고 느껴지거나 하는 이유로 한 번에 편하게 가고 싶으면 별도의 문단을 참고하여 이동하면 된다. '성남네거리 정류장' 이남 구간에서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바로 가지 않고,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는 노선으로 개편한 것이 대전역을 가는데 급행2번 버스 이용객들에게 얼마나 큰 불편과 답답함을 야기했고, 대전역을 빠르게 왕래하기 위한 방법이 얼마나 복잡해졌고, 변수가 많아졌는지는 아래 문단에 있는 내용의 길이만 봐도 감이 올 것 같다.
  • 성남네거리에서 으능정이거리(성심당)로 갈 때 급행2번은 대전여상을 경유하여 더 먼 경로로 돌아가게 된 이후로 대전역을 경유하는 기존 최단 경로를 물려받아 운행하는 급행4번하고 성남네거리에서 동시에 출발한 경우 급행4번보다 직진/좌회전 신호를 2번이나 더 받아 약 3~4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삼성네거리 직진 1회, 대종로네거리, 중앙로역네거리 좌회전 2회. 급행4번: 삼성네거리 좌회전 1회, 대전역네거리 우회전 1회)
    반대로 으능정이거리에서 성남네거리로 가는 경우는 급행4번하고 직진/좌회전 신호를 받는 횟수가 같아 2~3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중앙로역네거리, 대종로네거리 우회전 2회, 삼성네거리 직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급행4번: 대전역네거리 좌회전 1회, 삼성네거리 우회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으능정이거리 경유 이후 대전역네거리에서 급행4번, 201번, 622번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701번이 직진 신호를 받는게 대기열이 길면 신호를 한 번에 받지 못 해 생각보다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도 있다.

    • 으능정이거리에서 읍내동, 법동, 중리동을 갈 때는 615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와동, 신대동, 연축동의 경우 대체 노선 역할을 하는 701번, 711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전복합터미널과 성남동으로 갈 때는 기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에서 급행4번, 201번, 622번, 701번을 이용하면 된다. '한국전력공사 정류장'의 경우에는 701번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615번을 타고 '용전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 후 약 300m 정도 도보로 이동하면 된다. 급행2번을 탈 경우 기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의 건너편인 대전여상 방향 정류장(급행4번 오토바이거리 방향 정류장, 20060)에서 타야 한다.
    • 으능정이거리에서 '읍내동현대아파트/제월당 정류장' 이후 구간으로 갈 때 노선 조정 전과 비교하면 시간이 조금 더 걸리지만 차이가 대전역을 가는데 늘어난 시간에 비하면 그리 크지는 않으니, 급행2번 연선으로 이동할 생각이면 그냥 기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의 건너편인 대전여상 방향 정류장(급행4번 오토바이거리 방향 정류장, 20060)에서 급행2번을 타면 된다.
      산내동, 가오동, 한화야구장 등에서 승객을 잔뜩 싣고 온 급행4번과는 다르게 급행2번은 대전역동광장에서 출발을 했으므로 '대전역네거리 정류장'에서 승객 조금 탄 거 빼면 차가 대부분 비어있으므로 약간 느려도 쾌적하게 갈 수는 있다.

    • 이 정류장에서 급행2번을 놓쳤을 경우 건너편에 615번이 바로 올 경우 기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에서 서쪽으로 60m 정도 이동하여 '중앙로역1번출구 정류장(20040)'에서 615번을 타고 '중리동 정류장(51450)'에서 급행2번으로 환승을 하는 방법을 쓰면 된다. 701번이나 711번도 대전여상 방향 정류장(20060)에 급행2번이 오기 전에 바로 온다면 701번은 이 정류장 건너편에 있는 기존 목척교 방향 정류장(20050)에서 타면 되며, 711번은 701번 타는 곳에서 동쪽으로 80m 이동하여 타면 된다.
      급행4번, 201번, 622번, 701번과 같은 성남네거리, 대전복합터미널, 701번과 같은 한국전력공사 방향으로 가려면 급행4번, 201번, 622번, 701번과 반대쪽에서 타야 하므로 혼동되지 않게 주의하자. 중리동, 법동, 읍내동으로 갈 경우에도 615번, 701번, 711번과 반대쪽에서 타야 한다.

  •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를 갈 경우 본 노선을 탔을 경우에는 '복합터미널 정류장(11830)'에서 급행4번[주의], 501번으로 환승하거나,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급행4번, 501번, 620번, 802번[21]으로 환승하거나, 또는 '대전여상 정류장(20250)'에서 604번, 620번으로 환승하여 가면 된다. 단, 급행4번과 501번을 앉아서 가고 싶으면 가급적 복합터미널에서 환승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501번을 탔을 경우 '부사오거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약 450m 정도 이동하면 되며, 620번을 탔을 경우 '청란여자고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약 350m 정도 이동하면 된다. 802번을 탔을 경우 '한화생명이글스파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약 650m 정도 이동하면 된다.
  • '남경마을 정류장'에서 대전역까지 711번과 소요 시간이 약 45~55분 정도로 비슷하다. 즉, 금강엑슬루타워-대전역은 신탄진고를 경유하는 711번보다 신탄진역을 경유하는 본 노선이 약간 더 빠르며, 복합터미널쪽 및 중앙로쪽 정체가 심할 경우 711번이 전 구간에서 대전역을 더 빨리 갈 수도 있다.
    신탄진, 덕암동 기준으로 대전역을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은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12분만에 가는 것이지만, 무궁화호가 없는 시간대일 경우 #아래 방법을 이용하여 대전역을 빠르게 가면 된다. 마찬가지로 '목상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대전역까지는 701번과 소요 시간이 약 50~60분 정도로 비슷하다. 봉산동에서 대전역까지는 802번과 소요 시간이 약 70~80분 정도로 비슷하다.
  • 본 노선의 기점인 봉산동에서 종점인 대전역동광장까지 빠르게 가고 싶으면 본 노선을 타고 가다 중간에 '신구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B1번이 경유하는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으로 도보로 이동하여 종점까지 가면 된다. 반대의 경우에도 대전역동광장에서 송강동, 봉산동 등으로 갈 경우 처음부터 본 노선을 타지 말고, B1번을 타고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에서 하차 후 '신구교'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하여 본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 본 노선의 회차는 B1번, 102번, 317번(내선순환), 616번(내선순환), 707번, 711번과 같이 대전역지하차도 북쪽에 있는, 즉 대전역 1번출구 및 대전역 동광장 1주차장 인근에 있는 '대전역동광장 정류장(11410)'으로, 이곳에서 한다. B1번, 707번은 이곳이 기점지이며, 급행2번, 102번, 317번, 616번, 711번은 이곳이 종점지 및 회차지이다.
    종점은 '대전역동광장 정류장(14630)'이다. 이 정류장은 BIS에만 있으며,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으므로, 하차는 대전역 동광장 1주차장 인근 버스차고지를 들어가기 직전에 버스가 정차하는데, 이 때 하면 된다. 이 위치는 11410 정류장 바로 옆이다. 107번, 317번(내선순환, 외선순환), 616번(내선순환, 외선순환)도 여기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상서동 지역의 경우 대전역 및 으능정이거리를 갈 때 신탄진역에 무궁화호가 있는 시간대면 무궁화호를 타는 것이 가장 낫다.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를 탈 경우 약 12분 정도 소요되나, 본 노선을 타면 환승을 하지 않을 경우 으능정이거리까지 약 45~55분, 대전역까지 약 50~60분 소요되며, 대전역까지 성남네거리에서 중간에 환승을 하고 갈 경우 약 40~50분 정도 소요된다.
  • 선화동 및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에서 으능정이거리(성심당), 대전역을 107번, 514번과 같이 대종로 쪽에서 이어준다. 대전역의 경우 우암로 쪽에 있는 '대종로네거리 정류장'에서 707번을 타고 가도 되며, 으능정이거리의 경우 604번을 타고 '대흥동성당 정류장'에서 하차해도 된다. 그리고 인근에 대전세무서, 준법지원센터가 있는 보문로의 경우 511번, 603번이 다닌다. 이 두 노선도 본 노선과 107번, 514번과 같이 선화동에서 으능정이거리와 대전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그리고 601번과 같이 선화동에서 대전복합터미널을 연결하는 역할도 하며, 601번이 대전여상 인근 대종로네거리에서 한 블록 위인 동서대로 상의 중촌네거리 정류장에서 정차를 하나, 대전여상 정류장에서는 거리가 700m 정도로 약간 떨어져 있기도 하고, 무엇보다 배차가 평일 기준 21분으로 매우 길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면 급행2번이 대전여상 인근에서 대전복합터미널을 가는 사실상 유일한 노선이다.
  • 또한, 107번, 317번[22], 615번, 701번과 같이 대전역동광장 종점 인근 중앙동, 소제동, 신안동 지역과 으능정이거리(성심당)를 이어준다. 대전역동광장 인근 중앙동, 소제동, 신안동 지역에서 으능정이거리로 가려면 거리가 1.5km 정도로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다소 애매하므로, 이들 지역에서 위 노선들 및 본 노선을 이용하여 으능정이거리까지 편하게 갈 수 있다.
  • 보문중학교, 보문고등학교 및 한밭중학교 바로 앞을 지나가나, 317번[23], 607번, 620번, 707번과 다르게 '한밭중네거리 정류장'에 정차를 하지 않아 급행2번으로는 이들 학교 통학은 사실상 어렵다. 급행2번을 타고 올 경우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317번[24], 620번으로 환승해서 오거나, 아니면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으로 가는 타 노선을 타고 온 다음 '삼성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약 750m를 도보로 오거나, 삼선교를 건너가서 있는 '대전여상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900m 정도 거슬러 와야 한다.
  • 소요시간은 봉산동 → 대전역동광장이 1시간 ~ 1시간 18분, 대전역동광장 → 봉산동이 1시간 ~ 1시간 16분이다. 시간표 상으로는 편도 1시간 27분으로, 대전 급행버스 중 가장 길다.
  • 본래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읍내동, 법동, 중리동 등의 대덕구 지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성심당),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를 빠르게 이어주었고, 급행1번, 102번, 201번, 301번, 311번과 더불어 평일 기준 7~9분 정도의 준수한 배차간격과 시너지를 이루어 대전 버스 노선 전체에서도 위의 102번, 201번, 301번, 311번과 같이 순위권에 들어갈 정도의 매우 많은 수요를 모았으나, 2024년 5월 10일 노선 단축 및 조정 이후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으며, 대전역도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를 중간에 추가로 경유해 소요시간이 노선 조정 전보다 7~8분 정도 증가하여 사실상 대전역 수요도 기존에 비해 거의 없어진 수준이고, 으능정이거리(성심당) 또한 대전역을 경유하는 최단 경로로 가지 않고 대전여상을 경유하여 더 먼 거리를 돌아가게 되어 소요시간이 노선 조정 전보다 3~4분 정도 증가하여 애매해졌다.
  • 그러므로 읍내동, 법동, 중리동에서는 으능정이거리(성심당)를 오갈 때 615번과 소요 시간 차이가 더 벌어지게 되었으며, 와동, 신대동, 연축동의 경우 대체 노선 역할을 하는 701번, 711번으로 수요가 분산되기도 하였다. 다만 701번과 711번의 배차가 평일 기준 각 18분, 17분으로 길기 때문에 본 노선을 대신 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전복합터미널과 성남동에서 으능정이거리를 오갈 때 대전여상으로 더 먼 거리를 돌아가게 되어 소요시간이 증가한 본 노선보다는 소요시간이 더 짧은 급행4번이나 배차 간격이 더 짧은 201번, 아니면 같은 정류장에서 위 두 노선과 같이 이용할 수 있는 622번, 701번 등을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즉, 으능정이거리(성심당)를 가는 수요 또한 본 노선의 대체 노선이 특별히 없는 구간에서 계속 타고 가는 경우 아니면 굳이 대전여상으로 더 먼 거리를 돌아가 소요시간이 증가한 본 노선을 타고 갈 이유는 없어졌다.
  • 여기에 중앙로 연선의 대전역(대전역네거리, 목척교), 으능정이거리(성심당)에서 버스를 타고 대전복합터미널 쪽으로 갈 때 같이 다녔던 201번, 622번, 701번과 더 이상 같은 정류장이 아닌 반대편 정류장에서 타야 해서 같은 정류장에서 타 노선과 같이 대기하기가 어렵게 되어 본 노선의 이용 자체가 불편해졌다. 이제는 핵심 거점은 대전복합터미널으로 가는 수요만 주로 유지되고 있고, 으능정이거리(성심당)로 가는 수요는 일부만 유지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 그래도 노선 조정 이후 신규로 추가된 수요가 있긴 한데,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인근 선화동 지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 으능정이거리(성심당), 대전역을 가는 수요와 대전역동광장 인근 중앙동, 소제동, 신안동 지역에서 으능정이거리(성심당)를 가는 수요 정도가 끝이다. 그러나 추가된 이들 수요는 감소한 수요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 종합적으로 위의 핵심 거점 4개 중 2개를 가는 수요가 사라졌고, 남은 2개 중 1개조차도 수요가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상당 부분 감소하여 4~5분 정도 늘어난 배차간격과 더불어 노선 조정 이후 일 평균 승하차량이 위 4개 노선과는 비교 자체가 안 되는 수준으로, 기존의 약 1/2~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노선 단축 및 조정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한 점이 701번[25]과 유사하다. 그리고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기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영향을 받아 또 한 번의 노선 조정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folding [대전 급행2번 승하차량 변화]
파일:대전 버스 급행2번 승하차량 변화2.jpg}}}
{{{#!folding [대전 급행4번 승하차량 변화]
파일:대전 급행4번 승하차량2.jpg}}}

4.1. 대전역까지 빠르게 오가는 방법

  • 본래 급행2번은 봉산동에서 출발하여 구즉동, 송강동 경유 후 신구교를 건넌 다음 문평동 대덕산업단지를 거쳐 목상동, 석봉동, 신탄진,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 성남동 등의 지역과 대전역을 급행 노선답게 빠르게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 다만 위에서 서술하였다시피, 2024년 5월 10일 이후로 노선이 단축 및 조정되어 성남네거리 이남 구간에서 더 이상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바로 가지 않고,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를 ㄷ자로 크게 돌아서 가게 되어 소요시간이 기존에 비해 NH 시간 기준 약 7~8분 정도 증가하였다. 여기에 RH 시간대에는 대종로, 중앙로, 목척교, 대전역네거리쪽 신호 대기 및 정체로 인하여 시간이 추가로, 많으면 10분 이상까지도 더 걸릴 수 있다.
  • '급행2번'이라는 본 노선 이름 및 본 노선 차량에 있는 '봉산동→대전역' 행선판만 보고 종점인 대전역을 빠르게 가는 것으로 낚이지 않기를 바라며, 노선 단축 및 조정 이전에 대전역이 본 노선의 핵심 대수요처 중 하나였고, 실제로 본 노선을 타고 많은 사람들이 대전역을 왕래했으니, 본 노선 연선의 성남네거리 이북 구간에서 대전역까지 빠르게 가는 방법을 서술한다.
  • 출발 위치에 따라 대체 노선의 존재 유무 등을 고려해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용전동 대전복합터미널, 성남동)으로 구간을 4개로 나누었고, 목적지가 종점인 '대전역동광장 종점'(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대전역(서광장, 대전역네거리, 기존에 경유했던 대전로 인근 정류장 포함)인 경우 각각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최적의 방법을 서술하였다. 본 노선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구간인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등의 구간을 우선 순서로 해서 서술하였으며, 내용이 길어진 관계로 별도 문단으로 분리하였다.
  • 경부고속도로 석봉육교를 경계로 대덕대로 연선의 차량 이동 속도가 달라서 비교적 소통이 원활한 목상동 이서 구간은 신탄진역보다는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으로 가기 용이한 특성상 문평동 대덕산업단지와 같이 묶었다. 석봉동의 경우 사실상 신탄진역이 있는 신탄진과 비슷한 생활권이기도 하고, 석봉네거리 근처이며 경부고속도로 바로 옆에 있는 '신탄진기점지 정류장(51650)'에서 착발하고 신탄진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인 703번이 하나 추가되므로, 목상동 이서 구간보다 신탄진역을 가기가 보다 용이한 특성이 있어 신탄진과 같이 묶었다.
  • 구간별 바로가기
    구간1.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구간2.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구간3.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
    구간4.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 기존 구간 중 본 노선이 더 이상 기존 경로대로 운행하지 않는 대전역, 으능정이거리 이후 구간인 대흥동, 오토바이거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부사동, 석교동, 호동, 가오동, 옥계동에서 대전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본 노선에서 분할 신설된 급행4번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 본 문단에 있는 내용은 기존 성남네거리 이북 구간에서 환승이나 도보, 무궁화호 등 대체 교통수단을 포함한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대전역을 빠르게 오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지, 편하게 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 아니므로, 환승이 번거롭다고 느껴지거나 하는 이유로 한 번에 편하게 가고 싶으면 아래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성남네거리 정류장' 이남 구간에서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바로 가지 않고,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는 노선으로 개편한 것이 대전역을 가는데 급행2번 버스 이용객들에게 얼마나 큰 불편과 답답함을 야기했고, 대전역을 빠르게 왕래하기 위한 방법이 얼마나 복잡해졌으며, 변수가 많아졌는지는 아래 내용의 길이만 봐도 감이 올 것 같다.

4.1.1.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 대전역
    • 이 구간에서는 기존 급행2번의 급행 노선 역할을 대체할 만한 노선[26]이 특별히 없는 구간으로, 위 지역에서 대전역을 빠르게 갈 경우, 본 노선을 타고 가다가 중간에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급행4번, 101번, 201번, 202번, 2002번, 501번, 611번, 613번, 622번, 802번 중 가장 먼저 오는 버스로 제자리에서 환승하면 된다. 외곽 버스인 60번, 63번도 대전역을 위들 노선과 동일한 경로로 바로 가니 만약에 이 두 노선이 바로 오면 타면 된다.[27]
    • 즉, '대전역동광장 종점(14630)'으로 가는 급행2번이 정차하는 우암로 상의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 정차하는 노선 중 급행2번과 317번[28], 620번만 삼성네거리 교차로에서 직진을 하여 우암로로 가고 외곽버스를 포함한 나머지 노선들은 좌회전을 하여 대전로를 따라서 대전역까지 최단 경로로 간다는 점을 기억하면 된다. 본 정류장에 경유하는 노선 갯수 자체가 많아서 환승 대기 시간이 짧으면 환승을 하는 경우가 더 낫다. 하단 사진을 참고하면 되며,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급행2번을 그대로 타고 갈 경우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기 때문에 대전역까지 타 노선에 비해 보통 7~8분의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며, 여기에 대종로, 중앙로 정체가 심할 경우 추가 소요시간은 이것보다도 더, 많으면 10분 이상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29] 급행2번이 정차하는 중앙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12460)' 위치도 대전역과 다소 떨어져 있어서 도보로 역까지 가는 시간도 생각보다 걸린다.[30]
      {{{#!folding [ 환승 성공이 가능한 예시 사진 보기 ]
파일:대전역 갈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급행2-201 환승 성공 예시2.jpg 예시 1: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떠난 급행2번 바로 뒤에 201번이 붙어서 가는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번-501번 환승 성공 예시2.jpg 예시 2: 이것은 위 사진과 같은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떠난 급행2번 바로 뒤에 501번이 붙어서 오는 사진이다. 파일:대전역 갈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급행2-201 환승 성공 예시3.jpg.jpg 예시 3: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출발한 급행4번과 그 뒤에 급행2번과 201번 버스가 정차해 있는 사진이다. 급행2번을 타고 왔다면 급행4번을 간발의 차이로 놓쳐서 환승에 실패했지만, 201번이 바로 뒤에 있으므로 201번을 타고 대전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으로 환승.jpg 예시 4: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출발한 급행2번 버스와 그 바로 뒤에 있었던 급행4번, 201번 버스 사진으로, 앞에 있는 삼성네거리에서 급행2번은 직진을 하기 때문에 그대로 가고, 급행4번과 201번은 좌회전을 하기 위해 이 두 버스는 차선 변경을 미리 한 사진이다. 이 경우 급행4번과 201번이 급행2번 바로 뒤에서 같이 왔으므로 급행4번을 타면 201번과 다르게 '삼성초등학교 정류장(12310)'을 정차하지 않고 '대전역 정류장(12390)'으로 직행하므로, 201번보다 조금 더 빨리 갈 수 있다. 파일: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대전 급행2에서 202, 급행4, 501으로 환승1.jpg파일: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대전 급행2에서 202, 급행4, 501으로 환승2.jpg.jpg 예시 5: 위 예시 4와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출발한 급행2번 버스와 그 바로 뒤에 있었던 202번, 급행4번, 501번 버스 사진으로, 이 네 버스의 사진을 한 번에 담기가 어려워 두 번에 나눠서 촬영하였다. 두 사진의 202번 버스는 동일한 차량이다. 예시 4와 마찬가지로 앞에 있는 삼성네거리에서 급행2번은 직진을 하기 때문에 그대로 가고, 202번, 급행4번, 501번은 좌회전을 하기 위해 이 세 버스는 차선 변경을 미리 하였다. 이 경우도 202번이 급행4번과 501번보다 먼저 왔으나, 급행4번이 202번 바로 뒤에서 왔으므로 사실상 거의 동시에 온 것과 마찬가지라 급행4번을 타면 202번, 501번과 다르게 '삼성초등학교 정류장(12310)'을 정차하지 않고 '대전역 정류장(12390)'으로 직행하므로, 202번과 501번보다 조금 더 빨리 갈 수 있다. 파일:성남네거리 급행2 급행4 환승3.jpg 예시 6: 위 예시 4와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떠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 501으로 환승1.jpg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 501으로 환승2.jpg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 501으로 환승3.jpg 예시 7: 위 예시 6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 원내동 방향 201번, 마전 방향 501번 버스 사진이다. 이 네 버스가 완전히 동시에 오지는 않았고, 급행4번이 정류장에서 출발하려 할 때 뒤에 급행2번이 정류장에 진입했으며, 급행2번이 정류장에서 출발할 때 뒤에 201번과 501번이 정류장에 진입하였다. 사진을 한 번에 담기가 어려워 세 번에 나눠서 촬영하였다. 세 사진의 급행2번 버스는 동일한 차량이다.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할 경우, 급행4번이 급행2번 바로 앞에 있어 환승에 실패할 것 같지만 바로 앞 신호등으로 인해 대기하는 차 때문에 정류장에서 출발하지 못했으므로 급행2번에서 하차하자마자 급행4번으로 뛰어가면 운이 좋은 경우 환승이 가능하다.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을 실패했다 해도 뒤에 201번과 501번이 있으므로 201번을 타고 가면 된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501 622로 환승.jpg 예시 8: 위 예시 7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이미 떠난 2002번과, 그 바로 뒤에 정류장에서 막 출발한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서 정차하고 있는 501번, 622번 버스 사진이다. 이 경우 급행2번을 타고 왔다면 2002번을 간발의 차이로 놓쳐서 환승에 실패했지만, 501번과 622번이 바로 뒤에 있으므로 이 두 노선을 타고 대전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2 611으로 환승1.jpg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2 611으로 환승2.jpg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2 611으로 환승3.jpg 예시 9: 위 예시 8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 급행2번이 진입하고 그 바로 뒤에 급행4번, 202번, 611번 순서로 진입하였다. 정류장 위치 특성상 여러 노선의 버스를 동시에 촬영하기가 어려워 3회에 걸쳐 촬영하였다. 세 사진의 급행4번 버스는 동일한 차량이다. 이 경우 대전역을 빠르게 가려면 급행4번이 가장 먼저 왔으므로 급행4번으로 환승을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 뒤에 있는 202번이나 611번을 타도 급행2번을 계속 타고 가는 것보다는 대전역을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31] 파일:각주공백.jpg 급행2번을 타고 이렇게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하차 후 사진 속의 급행4번, 201번, 202번, 2002번, 501번, 611번, 622번을 포함하여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가는 여러 노선 중 가장 먼저 오는 버스로 환승하면 급행2번을 계속 타고 가는 것보다 대전역을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
{{{#!folding [ 성남네거리-대전역 노선 안내 ]
파일:성남네거리-대전역.jpg}}}

* 혹은 대기 시간이 긴 경우 아래의 '대전역동광장 종점(14630)'으로 가는 방법을 활용하여 '대전역동광장 정류장' 또는 '목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대전역으로 가는 방법도 있으나, 급행2번이 정차하는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 경유하는 노선의 갯수가 워낙 많아서 성남네거리에서 3방향으로 버스가 들어오기 때문에 이곳에서 제자리 환승을 하는 것이 가장 낫다. 제일 좋은 경우는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 바로 전 정류장인 '스마트뷰아파트 정류장(11960)'에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이 정차해 있을 때 급행2번이 이들 버스를 추월해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까지 빠르게 간 다음, 이곳에서 하차해서 방금 추월했던 버스들이 급행2번 바로 뒤에 붙어서 오면 제자리에서 이들 노선으로 환승하여 대전역으로 가는 것이다.

*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한정으로, 신탄진역에 무궁화호가 있는 일부 시간대일 경우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를 타는 것이 더 낫다.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를 탈 경우 대전역까지 약 12분 정도 소요되나, 본 노선을 타면 환승을 하지 않을 경우 약 50~60분 소요되며, 대전역까지 성남네거리에서 위 방법대로 중간에 환승을 하고 갈 경우 약 40~50분 정도 소요된다.
신탄진역을 가는 경우 석봉동의 경우에는 급행2번, 703번, 704번, 712번을,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의 경우에는 급행2번, 703번, 705번을 타고 신탄진역까지 간 다음 거기서 무궁화호를 타고 가면 된다.

* 신대동, 와동, 연축동 한정으로, 701번이 바로 올 경우 701번을 타도 좋다.[A] 대전역을 갈 경우 '대전역동광장 정류장', 대전역네거리로 갈 경우 '목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마찬가지로 '대전역동광장 종점(14630)'으로 갈 경우에도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횡단보도를 건넌 다음 202번, 2002번, 317번[E], 605번, 615번, 616번[E], 701번이 정차하는 계족로 상의 '성남네거리 정류장(11990)'까지 이동하여 이들 노선으로 환승한 다음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2002번 제외) 혹은 동서교 인근의 '대전역동광장 정류장'(317번, 616번 제외)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3분 정도 가거나, 아니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도보로 '대전역동광장 종점(14630)'까지 가는 것이 더 빠르다.[B]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도보로 '대전역동광장 종점'까지 이동할 경우 거리는 약 900m 정도 되며, 보통 약 10~15분 정도 소요된다. 외곽 버스인 60번, 63번도 대전역동광장을 202번과 동일하게 바로 가니 만약에 이 두 노선이 바로 오면 타면 된다.
    • 그리고 성남네거리 계족로 연선 남쪽 방향과 대전역동광장 종점 바로 앞에 타슈 대여소가 있으며, 성남네거리 대여소에 타슈가 있을 경우 타슈를 이용하여 동광장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달려 주면 종점이 바로 나와 도보로 갈 때보다 소요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약 5~7분 정도로 급행2번보다는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
      이게 가능한 이유가 노선 조정 이후 급행2번은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종점까지 동광장로를 따라 직선으로 바로 가지 않고 삼성지하차도, 삼성네거리, 한밭중네거리,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 목척교, 대전역네거리, 대전역지하차도를 ㄷ자로 돌아서 가기 때문이다.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역동광장 종점'까지 위 7개 노선을 타고 가면 계족로를 따라 바로 가기 때문에 도보 포함 약 5~7분 정도 걸리지만, 급행2번을 타고 갈 경우 ㄷ자로 크게 돌기 때문에 그 3배인 약 15~20분 정도 걸린다.
    • 본 노선을 타고 가다 대전역동광장 인근으로 가기 위해 605번, 615번, 616번, 701번으로 환승을 하고 싶은데, 도보 없이 제자리에서 환승하고 싶으면 605번은 '한국전력공사 정류장', 615번은 '중리동 정류장'에서 환승하면 되며, 616번[E]과 701번은 '복합터미널 정류장'에서 환승하면 된다. 단, 616번은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하여야 한다.
    • 신대동, 와동, 연축동 한정으로, 701번이 바로 올 경우 701번을 타도 좋다. '대전역동광장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이동하면 된다.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연축동, 와동, 신대동, 상서동, 평촌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
    • 반대로 대전역에서 위 지역으로 갈 경우 현재 위치가 급행2번이 정차하는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 근처에 있고, 급행2번이 바로 오면 이 정류장에서 급행2번을 타면 되나, 현재 위치가 KTX-1/산천/청룡, SRT, ITX-새마을/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같이 이 정류장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있거나, 아니면 이 정류장 근처에 있다 해도 차를 놓쳤거나 차가 바로 오지 않을 경우 이 정류장에서 다음 급행2번 차를 기다리지 말고 급행4번, 201번이 정차하는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12400)'으로 바로 이동하여 두 노선 중 먼저 오는 노선을 타고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환승하면 앞서 떠난 급행2번[37]으로 환승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38]
    • 611번622번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두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12410)의 위치는 급행4번, 201번이 정차하는 12400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60m 정도 떨어져 있으며, 501번은 '대전역 정류장(12400)'에서 북쪽으로 130m 정도 떨어져 있는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12380)'에 정차를 하므로 지도 앱 등을 활용하여 버스 도착 예정시간을 미리 확인하고 어떤 노선을 탈 지 미리 정하는 것을 추천한다.[39]
      혹은 '대전역네거리 정류장' 건너편의 '목척교 정류장(12430)'에서 201번, 615번, 622번을, '대전역 정류장(12460)'에서 701번을 타고 간 다음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본 노선으로 환승해도 된다. 두 정류장 간 거리는 약 55m 정도 되며, 701번이 정차하는 '대전역 정류장(12460)'은 급행2번 대전역동광장 종점 방향이 정차하는 정류장과 같다. 위 지역으로 갈 경우 이곳 12460 정류장에서 급행2번을 타지 않도록 유의하자.
    • 만약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앞서 떠난 급행2번을 놓친다 해도, '대전역네거리 정류장'에서 다음 급행2번을 타는 것과 동일한 차를 탈 수 있기 때문에 손해는 없다. 오히려 급행2번이 중앙로, 으능정이거리, 대종로, 선화동, 삼성동에서 돌고 있는 동안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을 활용하여 성남네거리로 빠르게 이동하여 아래 사진과 같이 앞서 놓친 급행2번을 잡아서 타고 갈 기회를 만들 수 있으므로 더 낫다.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 정차하는 사이에 급행2번이 추월하여 간발의 차이로 놓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지도 앱 등을 활용해서 어떤 노선이 가장 먼저 오는지 확인하자.
      {{{#!folding [ 이해를 돕기 위한 성남네거리에서 급행2번을 잡는 방법을 지도로 표시한 사진 보기 ]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번을 잡는 방법을 지도로 표시.jpg KTX-1/산천/청룡, SRT, ITX-새마을/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한국철도공사 대전역에서 급행2번 연선 지역으로 갈 때 멀리 떨어져 있는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까지 이동한 다음 거기에서 다음 급행2번 차를 기다리지 않고 비교적 가까운 대전로 상의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에서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22번 중 가장 먼저 오는 차를 타고 파란색 2번 경로로 성남네거리까지 빠르게 간 다음 빨간색 1번 경로에서 돌고 있는 급행2번을 잡아서 가는 것을 지도로 설명한 사진이다.}}}

* 대략적으로 대전로 상의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에서 위 5개 노선을 탈 때 급행2번이 '대전여상 정류장(20230)'을 통과하기 전이면 안정적으로 잡는 것 같다. 대전여상 통과 후면 급행2번의 대전여상 바로 다음 정류장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급행2번 차가 어디쯤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어 약간 애매할 수 있다.
그리고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을 타고 삼성네거리에서 우회전 할 때, 삼성네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급행2번을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대기열의 길이를 확인하여 대략적으로 급행2번으로 환승을 성공할 확률을 가늠할 수 있다. 변수는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서의 승하차 지연 정도와 승하차 이후 급행2번보다 앞쪽에서 성남네거리 신호를 받아야 한다.
급행4번을 타고 삼성네거리에서 우회전 할 경우 위의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서의 승하차로 인한 급행2번의 추월 변수가 없어 삼성네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급행2번이 있다면 급행4번이 차선 변경을 이상하게 하지 않는 이상 100% 확률로 환승에 성공한다고 보면 된다.
{{{#!folding [ 환승 성공이 가능한 예시 사진 보기 ]
파일:대전역에서 출발할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201-급행2 환승 성공 예시3.jpg 예시 1: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진입하는 201번 바로 뒤에 급행2번이 붙어서 가는 사진이다. 파일:대전역에서 출발할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611-급행2 환승 성공 예시3.jpg 예시 2: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진입하기 위해 성남네거리 교차로에서 대기하다가 좌회전 신호를 받아 출발하는 611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대전역에서 출발할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611-급행2 환승 성공 예시4.jpg 예시 3: 위 예시 2와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진입한 611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대전 비래동 방향 급행4에서 봉산동 방향 급행2 환승2.jpg 예시 4: 위 예시 3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급행4번과 그 뒤를 따라가는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대전역에서 출발할 때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501-급행2 환승 성공 예시3.jpg 예시 5: 바로 위 예시4와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을 막 떠난 501번과 그 바로 뒤를 따라가는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대전 611 일렉시티 - 급행2 일렉시티 환승.jpg 예시 6: 예시 5와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 진입하는 611번 일렉시티 버스와 그 바로 뒤에 있는 급행2번 일렉시티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4 급행2 환승.jpg 예시 7: 예시 4와 같은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비래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정차하여 있는 봉산동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501 611 201에서 급행2로 환승1.jpg파일:성남네거리에서 501 611 201에서 급행2로 환승2.jpg 예시 8: 위 예시 1~7과 같은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을 막 출발한 501번, 611번과 그 바로 뒤에서 정류장에 진입하는 201번,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예시 8의 경우 상황이 다소 특이한 경우였는데, 사진으로 남기지는 못 했지만, 바로 전 정류장인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서 611번, 201번, 501번 순서로 이 세 버스 모두 승하차를 마치고 출발하는 그 타이밍에 급행2번 버스가 옆으로 지나가려고 하는 중에, 급행2번 버스가 바로 앞에 있는 성남네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으려고 기다리던 차들 때문에 두 번째 좌회전 차로로 들어가는 611번 버스에서 내린 승객을 태우기 위해(?) 611번 버스 뒤로 빠졌다. 그리고 201번은 본래 급행2번 뒤에 있었으나 611번과 급행2번이 대기하고 있는 두 번째 좌회전 차로보다 대기열이 짧았던 세 번째 직진, 우회전 차로에서 있다가 신호가 직좌신호로 바뀌자 차선변경을 하여 611번과 급행2번 사이로 들어가서 좌회전을 하였다. 501번은 가장 나중에 왔으나 비교적 대기열이 짧았던 첫 번째 좌회전 차로로 진입하여 611번보다도 먼저 좌회전 신호를 받아 맨 앞으로 가게 되었다. 즉, 611번, 201번, 501번 세 버스 모두 성남네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으면서 급행2번 버스 앞으로 가게 되었다. 이 경우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을 통과할 때 611번, 201번, 501번 세 버스 모두 이곳에서 이 순서대로 승하차를 하던 도중 급행2번 버스가 옆으로 추월하여 이들 노선에서 급행2번으로 환승을 실패했다고 예상했을 것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변수로 버스 대기열 순서가 바뀌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이들 세 버스 모두에서 급행2번으로의 제자리 환승을 성공할 수 있게 되었다. 위들 세 노선을 타고 온 승객은 대전역에서 출발할 때 '대전역네거리 정류장'에서 급행2번 다음 차를 기다리지 않고, 위 세 노선을 이용하여 성남네거리까지 빠르게 간 다음, 대전역네거리를 출발하여 대전여상에서 돌고 있던 급행2번을 성남네거리에서 잡아서 타고 갈 수 있어, 급행2번 연선 지역으로 611번보다 훨씬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급행2번 버스 입장에서도 대전역네거리에서 승객을 많이 태우지 못했으나, 이렇게 환승을 통해 대전역에서 온 승객들을 태울 수 있어 환승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파일:각주공백.jpg 이렇게 대전역에서 급행2번 연선에 있는 지역으로 이동할 때,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에서 급행2번을 놓쳤을 경우,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501번 한정)'에서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22번 중 가장 먼저 오는 버스를 타고 앞서 놓친 급행2번을 이렇게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잡아서 갈 수도 있다.}}}
*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급행2번으로 간발의 차이로 환승을 실패한 경우 중, 615번이 바로 올 경우, 615번으로 환승을 한 다음 '중리동 정류장(51450)'에서 급행2번으로 한 번 더 환승을 시도할 수 있다. 615번은 용전네거리-중리네거리 구간에서 급행2번, 611번, 701번과는 다르게 대전복합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계족로를 일직선으로 가므로, 운이 좋으면 급행2번이 동서대로, 복합터미널, 동부네거리, 한밭대로, 한국전력공사에 있는 동안 중리네거리를 더 먼저 통과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 615번과 급행2번의 소요 시간은 보통 약 2~3분 정도 차이가 있으며, 급행2번이 대전복합터미널 경유 후 동부네거리에서 611번, 701번과 동일하게 좌회전을 하는데, 대전IC쪽으로 가는 차들이 많을 경우 대기열이 길어, 생각보다 짧은 길이의 신호를 한 번에 못 받아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경우가 의외로 꽤 있기 때문이다.
* 다만 '성남네거리 정류장'-'중리동 정류장' 사이 구간에서 급행2번은 급행 노선이므로 '대전복합터미널 정류장', '한국전력공사 정류장', 이렇게 2개의 정류장에만 정차를 하나, 615번은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급행2번 통과), '용전네거리 정류장',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정류장', '용전동주민센터 정류장' 이렇게 5개의 정류장에 정차를 하며, 승하차량이 많아 승하차 지연이 심할 경우 정차 정류장 갯수 차이로 오히려 느려지는 경우도 가끔 있다. 그리고 큰 사거리 교차로 신호의 경우 급행2번, 701번이 우회전 2회(용전네거리, 중리네거리), 좌회전 1회(동부네거리)이나, 615번은 직진 2회(용전네거리, 중리네거리)이다. 마찬가지로 위의 경우와 동일하게 '중리동 정류장'에서 급행2번으로 환승에 2차로 실패해도 손해는 없다.
* '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615번이 바로 와서 탄 다음 '중리동 정류장'에서 앞에 있던 급행2번을 잡지 못할 경우, '중리동 정류장'에서 내리지 말고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을 갈 경우 뒤에 701번이나 711번이 바로 있으면 '제월당 정류장(50730)'에서 제자리 환승하면 되며, 없으면 대한통운종점까지 간 다음 대전로 쪽으로 걸어 나와서 '대한통운 정류장(50700)'에서 703번을 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신대동, 와동, 연축동은 '제월당 정류장'에서 위의 701번, 711번 뿐만 아니라 311번과 611번도 이용할 수 있다. 이 4개 노선 중 가장 먼저 오는 노선을 타면 되며, 배차 간격을 고려하면 가장 자주 오는 311번을 탈 확률이 높다.

* 상서동, 평촌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으로 가는 경우, 신탄진역에 정차하는 무궁화호가 있는 시간대면 대전역으로 갈 때와 마찬가지로 신탄진역까지 무궁화호를 타고 가는 것이 더 낫다. 신탄진역 도착 후, 석봉동의 경우에는 급행2번, 703번, 704번, 712번을,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의 경우에는 급행2번, 703번, 705번을 타고 가면 된다.

* 마찬가지로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위 지역으로 갈 경우 종점에서 본 노선을 바로 타지 말고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큰길인 계족로로 나가 계족로 상의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11460)'에서 615번, 616번, 701번을 타고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하차 후 본 노선을 타면 된다. 이렇게 하면 앞서 종점을 떠난 급행2번을 잡아서 탈 수 있다. 615번을 탈 경우 '중리동 정류장(51450)'에서 급행2번으로 환승해도 된다.

4.1.2.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이 구간에서는 신구교(대덕산업단지)-대전역까지 급행2번보다 훨씬 빠르게 가는, 즉 특급 역할을 하는 B1번이 있으므로, 위 지역에서 대전역을 빠르게 갈 경우 본 노선 승차 후 타고 가다 중간에 '신구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B1번이 경유하는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으로 도보로 이동하여 B1번을 탄 다음 대전역 또는 '대전역동광장 종점'까지 가면 된다. '한마을아파트 정류장', '송강전통시장 정류장'에서 704번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두 정류장에서는 급행2번과 반대 방향으로 타야 하며, '목상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704번을 탈 때에는 급행2번과 같은 방향으로 타면 된다.
    • 반대로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위 지역으로 빠르게 갈 경우에도 종점에서 처음부터 본 노선을 타지 말고, B1번을 타고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에서 하차 후 '신구교 정류장'까지 도보로 6분 정도 이동하여 본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한마을아파트, 송강전통시장, 목상동주민센터를 갈 경우에는 704번도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전역에서 탈 경우에도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에서 본 노선을 타지 말고, 대전로 상의 BRT 정차 전용 '대전역 정류장'에서 B1번을 탄 다음 위의 종점에서 출발한 경우와 똑같이 본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 단, 대전역으로 갈 때 B1번이 갑천도시고속화도로 구간에서 입석 금지 노선인 만큼 만차라 '대덕산업단지 정류장'에서 타기가 어려우면,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된다. 신탄진역을 가려면 급행2번, 704번을 타면 된다.
      그리고 B1번이 만차이고, 신탄진역에서 무궁화호가 없는 시간대면 최후의 방법으로 #윗 문단의 환승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4.1.3.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

  • 읍내동, 법동, 중리동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이 구간에서는 대한통운종점을 출발하여 운행하는 615번이 대한통운종점 이남인 위 지역에서 급행2번과 비슷한 배차간격으로 다니므로, 위 지역에서 대전역을 빠르게 간다면 급행2번, 611번, 701번과 다르게 대전복합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계족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중앙동 및 대전역동광장으로 가는 615번을 타고 대전역을 갈 경우 동서교 바로 옆에 있는 '대전역동광장 정류장'에서, 대전역네거리로 갈 경우 중앙로 상 '목척교 정류장(12440)'에서 하차하면 된다.[A]
    • 711번도 있으나, 중간에 안산도서관, 한남대학교 등을 경유하며, 법동주공3단지~안산도서관[41] 구간 및 한남로 쪽 왕복 2차로 구간[42]으로 들어가 속도를 크게 내지 못하는 구간이 있는 반면, 615번은 큰길인 계족로로 다니기 때문에 도보 시간을 합쳐도 약 5~6분 정도 더 빠르다. 그리고 배차가 평일 기준 17분으로 긴 것도 단점이다.
      그리고 615번의 대기 시간이 긴 경우, 급행2번을 타고 #신탄진, 와동 등의 북부 지역에서 대전역까지 빠르게 가는 환승 방법을 활용해도 된다. 아니면 환승이 귀찮으면 그냥 701번이 바로 온다면 701번을 타도 좋다.[A]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읍내동, 법동, 중리동
    • 반대로 대전역에서 위 지역으로 빠르게 갈 경우에는 중앙로 상의 '목척교 정류장(12430)'에서 615번을 타면 되나, 대전역에서 정류장까지 각각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다. 다만 대전역네거리에 횡단보도가 없으므로 지하도를 내려갔다 올라와야 하며, 소요 시간은 도보로 약 6~7분 정도로 조금 걸어나가야 하는 점이 단점이다.
      615번의 대기 시간이 길거나, '목척교 정류장'까지 걸어나가는 것이 번거로우면, 대전역에서 출발할 경우 위의 #대전역에서 신탄진, 와동 등의 북부 지역으로 가는 환승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위 방법으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급행2번을 기다리던 중 615번이 급행2번보다 먼저 온다면 615번을 타면 된다. 701번의 경우 '대덕소방서 정류장(51150)' 이전 구간[D]으로 갈 경우 한정으로 급행2번보다 먼저 오면 701번을 타면 된다.
    •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출발할 경우, 종점에서 본 노선을 바로 타지 말고,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큰길인 계족로로 나가 계족로 상의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11460)'에서 615번을 타면 된다. 616번, 701번이 바로 온다면 이들 노선을 타고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하차 후 급행2번을 타는 방법도 있긴 하나, 급행2번이 바로 오지 않는 이상 환승 저항 때문에 더 느려지므로 가급적이면 615번을 기다렸다 한 번에 가는 것이 좋다. 615번의 대기 시간이 길고 701번이 바로 온다면 701번을 타도 좋다. 701번을 탔을 경우, 뒤에 급행2번이 바로 온다면 '대덕소방서 정류장(51150)' 이후 구간[D]으로 갈 경우 한정으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급행2번으로 환승하면 위 지역으로 조금 더 빠르게 갈 수 있다.[46]

  •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이곳은 615번이 직접적으로 경유하지는 않지만 위 읍내동, 법동, 중리동 지역과 비슷하게 615번을 이용할 수 있어 같은 구간에 넣었다. 급행2번이 정차하는 한밭대로 상의 '한국전력공사 정류장(11810)'에서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계족로 큰길에 있는 '용전초등학교 정류장(11770)'에서 615번을 타면 된다. 소요 시간은 약 10~12분 정도 된다.
      도보로 615번이 정차하는 '용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이동하기가 번거로우면, 급행2번이 정차하는 '한국전력공사 정류장(11810)'에서 605번, 611번, 701번을 이용하면 된다. 세 노선 모두 시간은 약 12~15분 정도 소요되며, 성남네거리 이후에 대전여상으로 돌아가 약 20~25분 정도 걸리는 급행2번보다는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A]
    • 611번, 701번, 급행2번은 대전복합터미널을 경유하며, 605번은 가양동을 경유한다. 대전복합터미널-용전네거리 정체가 심할 경우 용전네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수 있므로 605번이 조금 더 빠를 수 있다. 성남네거리에서 다시 만나지만, 성남네거리 이후 경로는 이 네 노선이 모두 다르다. 605번, 615번, 701번 이 세 노선 모두 대전역동광장 쪽으로 가며, 대전역지하차도를 통과하고, 611번만 삼성지하차도 통과 후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으로 간다. 그리고 대전역네거리에서 또 만나지만, 이후 경로도 네 노선이 모두 다르다. 대전역네거리에서 605번, 611번은 중앙시장 쪽으로, 615번, 701번은 목척교 쪽으로 빠진다. 배차 간격은 평일 기준 605번이 11분, 급행2번이 12분, 615번이 13분, 611번, 701번이 18분이다. '한국전력공사 정류장'에서 타서 환승 없이 대전역까지 갈 경우 605번의 배차가 가장 짧으므로 605번을 탈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리고 이곳에서 위 3개 노선의 대기시간이 길거나, 아니면 조금이라도 더 빠르게 가고 싶어 급행2번이 바로 와서 탈 경우 위의 #신탄진, 와동 등의 북부 지역에서 대전역까지 빠르게 가는 환승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
    • 반대로 대전역에서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으로 빠르게 갈 경우에는 대전로 상의 '대전역/역전시장 정류장(10040)'에서 605번을 타면 된다. 대전역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약 200m 정도 떨어져 있는 611번이 정차하는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12410)'이지만, 611번의 배차 간격이 평일 기준 18분으로 매우 길다. 605번이 정차하는 '대전역/역전시장 정류장(10040)'의 경우에는 대전역에서 약 400m 정도 떨어져 있어 조금 더 멀지만, 배차 간격이 평일 기준 11분으로 12분인 급행2번보다도 짧은 것이 장점이다.[48] 그리고 이 정류장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170m 정도에 611번이 정차하는 '중앙시장 정류장(10060)'이 있다.
    • 아니면, 중앙로 상의 '목척교 정류장(12430)'에서 615번을, '대전역 정류장(12460)'에서 701번을 타도 되나, 대전역에서 정류장까지 각각 약 500m, 약 450m 정도 떨어져 있다. 다만 대전역네거리에 횡단보도가 없으므로 지하도를 내려갔다 올라와야 하며, 소요 시간은 도보로 약 5~6분 정도로 조금 걸어나가야 하는 점이 단점이다. 701번이 정차하는 '대전역 정류장(12460)'은 급행2번 대전역동광장 종점 방향이 정차하는 정류장과 같다.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으로 갈 경우 이곳 12460 정류장에서 급행2번을 타지 않도록 유의하자.
    • 615번을 탔을 경우, '용전동주민센터 정류장(11800)'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하면 된다. 이 정류장은 급행2번, 605번, 611번, 701번이 정차하는 한밭대로 상의 '한국전력공사 정류장(11820)'에서 약 300m 정도 떨어져 있다. 계족로와 한밭대로 사이에 있는 길로 이동하면 금방 갈 수 있다. 그리고 611번, 701번을 탔을 경우,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 진입할 때 뒤에 급행2번이 바로 있다고 해서 환승하면 더 빨리 갈 수 있을 것 같이 보이지만, '복합터미널 정류장(12010)' 정차 후 동부네거리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는데, 좌회전을 한 이후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신호등에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별 차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전력공사 정류장'까지는 사실상 급행2번이 611번과 701번을 추월을 한다 해도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그냥 그대로 타고 가는 것이 더 편하다.
    • 만약 605번, 611번의 대기 시간이 길거나, 중앙로 쪽에 있는 '대전역 정류장(12460)', '목척교 정류장'까지 걸어나가는 것이 번거로우면, 중앙로 상의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에서 급행2번을 타지 말고,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에서 위의 #대전역에서 신탄진, 와동 등의 북부 지역으로 가는 환승 방법을 활용해도 되지만, 급행2번이 바로 오지 않는 이상 환승 저항 때문에 더 느려지므로 가급적이면 '대전역/역전시장 정류장(10040)'에서 605번을 기다렸다 한 번에 가는 것이 좋다. 이곳에서 기다리면서 지도 앱을 보면서 남쪽으로 약 170m 떨어져 있는 '중앙시장 정류장(10060)'에 611번이 먼저 오면 뛰어가서 잡을 수도 있다. 지도 앱 등을 활용하여 먼저 오는 버스를 타고 가자.
    •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출발할 경우,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큰길인 계족로로 나가 계족로 상의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11460)'에서 605번, 615번, 701번을 타면 된다.
      615번을 탔을 경우, '용전동주민센터 정류장(11800)'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300m 정도 이동하면 되며, 701번을 탔을 경우,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 진입할 때 뒤에 급행2번이 바로 있다고 해서 환승하면 더 빨리 갈 수 있을 것 같이 보이지만, '복합터미널 정류장(12010)' 정차 후 동부네거리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는데, 좌회전을 한 이후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신호등에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별 차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전력공사 정류장'까지는 사실상 급행2번이 701번을 추월을 한다 해도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그냥 그대로 타고 가는 것이 더 편하다.

4.1.4.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이 구간에서는 배차가 급행2번보다 더 짧고 대전역까지 훨씬 빠르게 가는 201번이 있어, 대전역을 갈 때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는 급행2번을 탈 이유가 전혀 없다. 그리고 대전복합터미널의 경우에는 윗 문단에서도 서술하였지만, 구간별로 나누어 설명하다 보니 누락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한 번 더 서술한다.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대전역을 빠르게 갈 경우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을, '대전역동광장 종점'은 616번[E], 701번을 이용하면 된다.[50]
    • 성남동에서는 대전역은 급행4번, 101번, 201번, 202번, 2002번, 501번, 611번, 613번, 622번, 802번, 60번, 63번을, '대전역동광장 종점'은 202번, 2002번, 317번[E], 605번, 615번, 616번[E], 701번, 60번, 63번을 이용하면 된다.[B]
    • 성남동에서 대전역동광장 인근으로 갈 때는 도보로 이동해도 급행2번보다는 빨리 갈 가능성이 높으며, 더 빨리 가고 싶으면 타슈를 이용해도 좋다. 성남네거리 계족로 연선 남쪽 방향과 대전역동광장 종점 바로 앞에 타슈 대여소가 있으며, 성남네거리 대여소에 타슈가 있을 경우 타슈를 이용하여 동광장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달려 주면 종점이 바로 나와 도보로 갈 때보다 소요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약 5~7분 정도로, 급행2번보다는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
  • 대전역, 대전역동광장 종점 (중앙동, 소제동 인근 포함) →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 반대로 대전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로 빠르게 갈 경우에는 급행4번, 201번이 정차하는 대전로 상의 '대전역 정류장(12400)'에서 두 노선 중 먼저 오는 노선을 타고 가면 된다. 611번과 622번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두 노선이 정차하는 정류장(12410)의 위치는 급행4번, 201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60m 정도 떨어져 있으며, 501번은 '대전역 정류장(12400)'에서 북쪽으로 130m 정도 떨어져 있는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12380)'에 정차를 하므로 지도 앱 등을 활용하여 버스 도착 예정시간을 미리 확인하고 어떤 노선을 탈 지 미리 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출발할 경우,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큰길인 계족로로 나가 계족로 상의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11460)'에서 616번, 701번을 타면 된다.
    • 대전역에서 성남동으로 갈 경우에도 위의 대전복합터미널으로 갈 경우와 비슷하게 대전로 연선 정류장(12400)에서 급행4번, 201번, 202번, 2002번, 613번, 802번을 이용하면 되며, 611번, 622번은 정차 정류장(12410)이 위 6개 노선 정차 정류장으로부터 남쪽으로 60m, 501번은 정차하는 12380 정류장이 북쪽으로 130m 떨어져 있다.
      '대전역동광장 종점'에서 출발할 경우, 도보로 약 400m 정도 이동하여 큰길인 계족로로 나가 계족로 상의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11460)'에서 202번, 317번, 605번, 615번, 616번, 701번을 타면 된다.
    • 대전역동광장 인근에서 성남동으로 갈 때는 도보로 이동해도 급행2번보다는 빨리 갈 가능성이 높으며, 더 빨리 가고 싶으면 타슈를 이용해도 좋다. 성남네거리 계족로 연선 남쪽 방향과 대전역동광장 종점 바로 앞에 타슈 대여소가 있으며, 대전역동광장 종점에 타슈가 있을 경우 타슈를 이용하여 동광장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달려 주면 성남네거리가 바로 나와 소요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약 5~7분 정도로, 급행2번보다는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

4.2. 대전역까지 환승 없이 편하게 오가는 방법

  • 위 문단에 있는 내용은 기존 성남네거리 이북 구간에서 환승이나 도보, 무궁화호 등 대체 교통수단을 포함한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대전역을 빠르게 오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지, 편하게 가는 방법을 적은 것이 아니므로, 환승이 번거롭다고 느껴지거나 하는 이유로 한 번에 편하게 가고 싶으면 각 구간별로 대체 노선 및 무궁화호(신탄진역 한정)를 활용하거나, 아니면 그냥 급행2번을 타고 '대전역 정류장(12460)'에서 하차, '대전역네거리 정류장(14230)'에서 승차하면 된다.
  • 각 구간별 대체 노선
    • 구간1. 신탄진, 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701번(석봉동, 덕암동, 평촌동, 상서동, 신대동, 와동, 연축동 한정), 711번, 무궁화호(신탄진역 한정)
    • 구간2. 봉산동, 구즉동, 송강동, 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B1번(문평동 대덕산업단지 한정), 701번(문평동 대덕산업단지, 목상동 한정)
    • 구간3.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인근)
      615번, 701번, 711번(읍내동, 법동 한정), 605번(용전동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한정), 611번(용전동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 한정)
    • 구간4.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인근), 성남동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16번[E], 622번, 701번(대전복합터미널)
      성남동에서는 위 7개 노선을 포함하여 대전역을 한 번에 빠르게 가는 노선이 많으므로, 대전역을 갈 때 대전여상으로 돌아서 가는 급행2번을 탈 이유가 전혀 없으며, 대체 노선은 윗 문단구간4 부분으로 이동하여 보면 된다.

===# 단축 이전 #===
  • 노선 단축 전까지는 차량 31대를 운행해 102번의 29대를 넘어 가장 인가대수가 많았다. 2024년 3월 2대 증차 이전에는 311번이 30대로 인가대수가 더 많았다. 운행 횟수도 102번과 311번 다음으로 많아 대전에서 가장 자주 다니는 버스 중 하나이다. 지하철이 안 들어오는 신탄진은 이 버스가 없으면 출근길이 완전히 막히는 셈이다.
  • 한화 이글스의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대전 KGC인삼공사 홈구장인 충무체육관을 지나가기 때문에 야구, 배구 팬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 특히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을 모두 경유하기 때문에 경기가 있는 날에는 엄청난 가축수송을 한다. 남녀 일정이 분리된 17-18시즌 부터는 남배 여배 경기 가릴 거 없이 경기 끝나면 터진다. 하지만 한화는 2007년 이후로 가을야구를 못하고 있는 데다 삼성화재마저도 2017년 3월 10일 봄배구에 실패하며 2017년 수요에 비상이 걸렸는데 그나마 KGC인삼공사가 3년만에 봄배구를 하면서 그나마 살려줬다. 이듬해 한화가 11년만에 가을야구에 진출하고 1시즌 팀 최다 관중 수를 2시즌 만에 경신하였고 삼성화재는 17-18시즌 봄배구에 1시즌만에 복귀하여 다시 교통이 터지기 시작했다. 반면 작년 멱살 캐리한 KGC가 봄배구를 못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무관중 경기로 인해 야구, 배구 팬들의 수요가 줄어드는 바람에 수요 감소가 발생했다. 대전 연고 남배, 여배, 야구팀의 성적에 따라 수요가 요동치는 경향이 있는데 2024년 류현진이 한화로 복귀하고 정관장의 봄배구가 확정되었고 삼성화재 또한 봄배구 가능성이 열려있어 2024년 수요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한밭종합운동장-대전역-대전복합터미널 구간은 802번이 있지만 급행2번(현재 급행4번)에 비해 돌아가고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소가 서로 다른 데다 급행2번보다 배차간격이 길어서 사실상 급행2번 쏠림을 심각하게 한다. 경기 끝난 직후엔 혼잡도가 심각한데 특히 야구와 배구가 겹친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2016년 말 기준 하루 평균 17,400여 명이 이용하여 대전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버스노선이었다. 이는 2015년 이후로 대전 시내버스 이용객수가 전체적으로 줄었지만 이 노선만큼은 줄지 않고 이용객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워낙 자주 다니는 데다, 보조노선인 501, 611, 711, 513, 615번 등의 감편과 701, 703, 704번의 운행 횟수 변경으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로 인해 경쟁 노선의 이용객수가 줄어들어, 자연히 이 노선으로 이용객들이 몰리고 있는 이유다. 그러나 2018년 들어서 순위권에서 밀리고 있는데 평일에는 311번, 102번, 201번에 이어 4등의 이용객수를 보이고 있다. 주말과 휴일에는 2~4등을 왔다갔다 하는 중이다. 한달간 총집계 수요 순위로는 4등을 보이고 있다. 이유는 이 노선 운행지역의 인구수도 정체되고 있기도 하고 경쟁 노선인 701번의 운행횟수 증가 등의 원인도 있다.
  • 2014년까지만 해도 월간 평균 이용승객 수 3등이였지만 2015년 311번을 제치고 2등을 기록한 후, 2016년에는 201번을 제치고 이용승객 수 1등을 차지하게 되었다. 다만 2017년도 102번 수요가 증가하면서 2등으로 떨어지고, 2018년 들어서 311번과 201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총 집계수요 4등으로 내려앉았다.
  • 소요시간은 봉산동 → 옥계동이 1시간 10분 ~ 1시간 29분, 옥계동 → 봉산동이 1시간 7분 ~ 1시간 27분이었다. 시간표 상으로는 편도 1시간 38분으로, 대전 급행버스 중 가장 길었다.

4.3. 노선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2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대전역동광장
11410·1463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역네거리
1423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역
1246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으능정이거리
2006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으능정이거리
2005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여상
20230
대전여상
20250
성남네거리
11980
성남네거리
11970
복합터미널
12010
복합터미널
11830
한국전력공사
11820
한국전력공사
11810
중리동
51450
중리동
51440
법동전통시장
51180
법동전통시장
51410
대덕소방서
51150
대전지방국세청
51140
읍내동현대아파트
50730
읍내동현대아파트
50720
와동현대아파트
50810
신대주공아파트
50800
신탄진한일병원
52260
신탄진한일병원
52-270
덕암동주민센터
52340
덕암동주민센터
52330
남경마을
52830
남경마을
52720
신탄진역
52810
신탄진역
52790
신탄진시장
51710
신탄진시장
51700
금강엑슬루타워
51680
금강엑슬루타워
51660
목상동주민센터
51740
목상동주민센터
51750
효성신탄진공장
51800
효성신탄진공장
51860
기흥기계
51790
기흥기계
51830
신구교
51780
신구교
51820
북부여성가족원
44840
북부여성가족원
44850
한마을아파트후문
44760
한마을아파트
44740
한마을아파트
44720
그린아파트
44710
- 송강초등학교
44730
송강전통시장
44810
송강전통시장
44780
송강마을아파트
44800
송강마을아파트
44790
대광로제비앙아파트
46780
대광로제비앙아파트
46770
봉산동기점
44490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대전로
옥계동▲ 은어송초등학교
대종로은어송로
대종로
으능정이거리 ▼▲ 오토바이거리
중앙로
대전역 ▼▲ 으능정이거리
대전로
▲ 대전역
우암로
성남네거리 ▼▲ 성남네거리
계족로
복합터미널 ▼
동서대로
한국전력공사 ▼▲ 복합터미널
한밭대로
중리동 ▼▲ 한국전력공사
계족로
와동현대아파트 ▼▲ 읍내동현대아파트
신탄진로
신탄진시장 ▼▲ 신탄진역
대덕대로
한마을아파트후문 ▼▲ 북부여성가족원
와룡로
한마을아파트 ▼▲ 한마을아파트
구즉로
송강마을아파트 ▼▲ 송강전통시장
봉산로
▲ 송강마을아파트
와룡로136번길
봉산동기점
금남구즉로
봉산동기점
}}}}}}}}} ||

4.4. 시간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2번 시간표
2024년 6월 7일 기준 /
출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봉산동 대전역동광장
첫차 05:45 / 막차 22:30 / 편도 85회 첫차 05:45 / 막차 22:55 / 편도 87회
5시 45[한마을A] 45 57 5시 45 58
6시 09 21 31 41 51 6시 11 24 37 49
7시 01 11 21 31 41 51 7시 00 11 22 33 44 55
8시 01 11 24 37 50 8시 07 20 33 46 59
9시 03 16 28 39 50 9시 09 19 29 39 49
10시 02 14 26 38 50 10시 02 13 24 35 46 57
11시 02 14 26 37 48 59 11시 08 19 31 43 55
12시 10 21 32 43 54 12시 07 19 31 43 55
13시 05 16 28 40 52 13시 06 17 28 39 50
14시 04 16 29 42 55 14시 01 12 23 34 45 57
15시 08 21 34 47 15시 09 21 33 45 59
16시 00 13 26 39 51 16시 13 27 41 55
17시 03 16 29 42 55 17시 09 23 37 51
18시 08 21 35 49 18시 05 19 33 47
19시 02 15 28 41 54 19시 00 13 23 33 43 53
20시 07 20 33 46 59 20시 03 14 27 40 53
21시 12 25 38 51 21시 06 19 31 43 55
22시 04 17 30 22시 07 19 31 43 55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토요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봉산동 대전역동광장
첫차 05:45 / 막차 22:30 / 편도 80회 첫차 05:45 / 막차 22:55 / 편도 81회
5시 45[한마을A] 45 58 5시 45 59
6시 11 24 37 50 6시 13 27 41 55
7시 03 16 29 42 55 7시 09 22 35 48
8시 08 20 32 44 56 8시 01 14 27 40 53
9시 08 20 32 44 56 9시 06 19 32 44 57
10시 08 20 32 44 56 10시 10 23 36 49
11시 08 20 32 44 56 11시 02 14 26 38 50
12시 08 20 32 44 56 12시 02 14 27 40 53
13시 08 21 34 47 13시 05 17 29 41 53
14시 00 13 26 39 52 14시 05 17 29 41 54
15시 05 18 31 44 57 15시 07 20 33 46 59
16시 10 23 36 49 16시 12 25 38 51
17시 03 17 31 45 59 17시 04 17 30 43 56
18시 13 26 39 52 18시 09 22 35 48
19시 05 18 32 46 19시 01 14 27 40 53
20시 00 14 28 42 56 20시 06 19 32 45 58
21시 10 24 38 51 21시 11 24 37 50
22시 04 17 30 22시 03 16 29 42 55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공휴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봉산동 대전역동광장
첫차 05:45 / 막차 22:30 / 편도 66회 첫차 05:45 / 막차 22:55 / 편도 67회
5시 45[한마을A] 45 5시 45
6시 01 17 33 49 6시 02 19 36 52
7시 04 19 34 49 7시 08 24 40 59
8시 04 19 34 50 8시 12 28 44
9시 06 22 38 54 9시 06 18 30 42 54
10시 09 24 39 54 10시 04 20 36 52
11시 09 24 39 54 11시 08 24 40 56
12시 09 24 39 54 12시 12 27 42 57
13시 09 24 39 54 13시 12 27 42 57
14시 09 24 39 54 14시 12 27 42 57
15시 09 24 40 56 15시 12 27 42 57
16시 12 28 44 16시 12 27 42 57
17시 00 16 32 48 17시 13 29 45
18시 04 20 36 52 18시 00 15 30 46
19시 08 24 40 57 19시 02 18 34 50
20시 14 31 48 20시 06 21 36 51
21시 05 21 39 56 21시 06 21 36 51
22시 13 30 22시 07 23 39 55
}}}}}}}}} ||

4.5. 일평균 승차인원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2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2년 12,705명 -
2013년 14,516명 △ 1,811
2014년 15,305명 △ 789
2015년 14,895명 ▽ 410
2016년 15,895명 △ 1,000
2017년 15,719명 ▽ 176
2018년 14,921명 ▽ 798
2019년 15,337명 △ 416
2020년 11,084명 ▽ 4,253
2021년 11,329명 △ 245
2022년 12,437명 △ 1,108
2023년 13,377명 △ 94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저상 10대, 토요일 17대(저상 8대) / 공휴일 14대(저상 7대) 운행[2] 2025년 기준 경유 도로의 제한속도 하향 및 교통량 증가, 중간 정차 정류장 추가, 성남네거리-대전역 구간 사이 ㄷ자 굴곡 추가 등의 이유로 소요 시간이 과거에 비해 많이 증가하여 약 50~60분 정도 걸린다.[3] 잠시나마 노선 단축 이전으로 돌아온 셈이다. 노선 개편 이후로 날렸던 대전역 수요를 일시적으로 되찾았다[4] 급행1번을 보조하는 노선으로는 201번, 202번이 있다. 둘 다 계백로-중앙로를 따라가기에 급행1번과 대부분 구간에서 겹친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정류장 변동은 없었다. 특히 금강 엑슬루타워의 경우 앞뒤 정류장과의 간격이 너무 짧아서 그냥 통과했었다가 2023년 11월 24일부터 정차한다. 신구교 정류장도 BRT 대덕산업단지 정류장과의 환승 연계를 위해 추가로 정차한다. 참고로 근처 덕암동에 있는 행복한마을아파트의 경우도 약간 떨어진 곳에서 정차하는데 근처인 덕암동 행정복지센터에 정차한다.[6] 102번은 가양동, 자양동, 대동역, 중앙시장을 경유하고 611번, 701번은 배차간격이 평일 기준 18분이다.[E] 대전역동광장 쪽 한정. 대전역동광장 쪽으로 갈 때 '내선' 순환 방향을 타야 하며,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 하차. '외선' 순환 방향을 탈 경우 중앙동주민센터에서 먼 곳으로 가므로 방향에 유의하자. '대전역동광장 종점'도 따로 가나, 내선 순환 방향 기준으로 중앙동주민센터 이후 우회전으로 바로 동서교 쪽으로 가지 않고 직진하여 대동역과 중앙시장, 대전역지하차도를 거쳐서 돌아가기 때문에 그냥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8] 다만 완행을 이용할 때는 직행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림에 유의해 이용해야 한다.[9] 이로 인해 단축 초기에는 소식을 모르는 사람들이 이전처럼 목척교 방향 정류장에서 탔다가 대전복합터미널이 아닌 대전역동광장 종점으로 가서 낭패를 보는 일이 많았다.[10] 이로써 911-912번, 705-707번에 이어 장거리 노선이 반 토막난 세 번째 사례가 생겼다. 사실 대전 시내버스 중 '급행' 노선은 이번 4번의 분할 신설 전까지는 3개 노선을 이용해 도시철도가 미비한 대전 서남부권 및 신탄진, 구즉 지역을 도시철도가 운행하는 지역까지 연결하는 역할을 했는데, 워낙 긴 거리이기 때문에 노선 증설의 필요성이 많아지고 있다.[11] 사실 급행2번은 원래 옥계동까지 갈 때도 이미 장거리, 장시간이었다. 초창기에는 대전역까지만 갔는데, 옥계동으로 연장된 직후는 시내 주요 도로 제한속도가 보통 시속 60~70km 구간이 많았고, 정차 정류장도 지금보다 적었으며, 차량 통행량도 지금보다 훨씬 적었다. 그러다 안전속도 5030의 시행으로 시내 주요 도로 제한 속도도 시속 50km으로 하향됐으며, 과속 단속 장비도 예전에 비해 많이 늘어났고, 버스 자체도 제한속도가 하향되어 시속 60km을 넘기지 못 하게 되었다. (시속 60km을 넘기면 그 속도를 넘긴 횟수가 기록되고 그게 너무 누적되면 시청으로 알림이 가서 시청에서 차고지에서 먼 노선 배정이나 순증차 불허 등등 여러 불이익을 준다고 한다.) 사실상 대전광역시청이 버스 속도 규제를 매우 빡세게 한 것도 있고, 연비운전모니터 설치 등등 해서 연비에도 엄청 목숨을 걸었다. 또한, 신탄진역,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성심당),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등 주요 거점들을 경유하는데, 이러한 곳들은 번화가인 특성상 차량 통행량이 매우 많고 버스 정류장 주변도 굉장히 혼잡하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핵심 거점으로 가는 주요 도로를 포함하여 대전광역시 전체적으로 차량 통행량도 많이 늘어나서 정체 구간도 많이 늘어난 것은 덤이다. 특히 대전역-으능정이거리-오토바이거리-한밭종합운동장 이 구간은 정체가 심할 때는 차가 거의 가지 못 하는 수준으로, 걸어가는 것이 더 빠를 때도 있다. 카카오맵 기준 10~12분 시간이 소요된다고 나와 있으나, 경기 시즌 등의 이유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쪽 등에서 정체가 심하면 이 구간에서만 20분 이상 걸릴 수도 있다.[12] 승하차량도 일 평균 1.5만명대로 매우 많았고, 여기에 봉산동 대광로제비앙아파트, 신구교, 금강엑슬루타워 등등 중간 정차 정류장도 여럿 추가되었다. 승하차 지연이 심할 경우 신탄진-읍내동 무정차 구간에서 밟아서 시간표를 맞추려 해도, 앞서 말한 속도 규제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며, 무시하고 달린다 해도, 위에서 서술한 곳을 경유하는 특성상 사고 발생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진다. 게다가 앞서 말했듯 몇몇 구간은 상습 정체 구간도 있어 밟으려고 해도 밟을 수도 없다. 이렇게 되면 종점에서 휴식 시간만 줄어드는 것이다. 종점에 도착을 해도, 제대로 쉬지도 못 하고 바로 기점으로 출발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일단 시간표 상으로는 편도 운행 시간은 1시간 40분이라는데 여기서 종점을 옥계동에서 낭월공영차고지까지 늘리면... 그러면 거의 편도 2시간 가까이 될 것이다. 이 정도면 대전 시내버스 노선 중 운행 시간이 가장 길었던 단축 이전 705번하고 비슷한 수준이며, 705번도 운전 시간이 너무 길어서 이미 2023년 11월 24일에 705번과 707번으로 토막난 것을 생각하면... 근데 문제는 급행2번은 승하차량이 705번하고 비교 불가능한 수준으로 많았다. 즉, 승하차 지연이 단축 이전 705번하고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심했을 것이다. 이게 얼마나 긴 운행 시간인지 잘 모르겠다면, 옆동네 세종시 시내버스 중 가장 운행 시간이 긴 991번이 편도 1시간 45분 정도로, 이것보다도 훨씬 긴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모두 고려하면 노선이 만약 연장되고 분할되지 않았으면 4시간 이상의 긴 시간 동안 휴식도 제대로 못 하고 운행을 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이미 옥계동 종점 시절에도 운행 시간이 꽤 길고 정체 구간도 많아 배차 간격 유지 및 운행 시간 준수가 어려워 운행 회사 및 사원들 사이에서 노선 단축 요구가 나오고 있었다. 여기에 이미 종점을 옥계동에서 낭월공영차고지까지 연장하려는 시도가 그 전에도 2회 있었는데, 2회 모두 운행 회사가 위의 이유로 운행이 너무 어렵다고 거절했다는 말도 있다. 이러니 이 상태에서 종점을 낭월공영차고지까지 연장하면 노선이 잘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13] 노선을 자르는 것은 그럴만 하지만, 문제는 노선을 증차를 하지 않고 '무작정 무식하게' 자른 것이다. 급행2번과 급행4번이 중첩되는 복합터미널-성남네거리를 포함하여, 연장된 옥계동-낭월동 구간까지 생각하면 두 노선의 총 이동거리의 합은 많이 늘어났는데, 차량은 두 노선 합쳐서 31대로 그대로이다. 차량이 증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 거리가 늘어났으니, 이러니 배차는 두 노선이 중첩되는 복합터미널-성남네거리 구간을 제외하면 크게 벌어질 수밖에 없다. 노선 조정 이전 급행2번의 배차가 평일 기준 약 7~9분이었지만, 노선 조정 이후 평일 배차가 급행2번은 약 11~13분, 급행4번은 약 12~15분으로 각각 1.5배, 1.6배 이상으로 벌어진 셈이다. 즉, 같은 시간 동안 차가 3대 올 시간에 이제는 2대가 오는 것이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급행4번 단독 구간 중 야구장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문제가 촉발하게 된다.[14] 그리고 배차 뿐만 아니라 급행2번의 노선 수요도 고려하지 않은 점 역시 문제다. 특히 급행2번은 성남네거리 이후로 대전여상으로 돌아간 다음 대전역동광장으로 박는데 이게 대전역까지 기존보다 7~8분 정도 시간 추가라 사실상 대전역 수요를 다 날린 셈이다. 그리고 한화야구장은 급행4번 혼자 감당해야 하는데 문제는 급행4번은 배차가 평일 기준 12~15분이다. 본래 급행2번 배차가 평일 기준 7~9분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1.6배 이상으로 크게 불어난 것이다. 그리고 한화이글스파크와는 다르게 한화볼파크는 아래 사진과 같이 급행4번이 정차하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하고 훨씬 가깝다. 게다가 야구장 좌석 규모도 이글스파크가 1.2만 정도인데 볼파크는 1.7만석 이상이다. 이거 생각하면 경기 시즌 야구장 수요는 급행4번 혼자서 절대 감당 못 한다. 이걸 해결하려면 급행4번 몇 대 증차갖고는 어림도 없고, 그냥 급행2번이 야구장을 다시 가는 것 말고는 답이 없다. 사실 급행2번이 야구장을 다시 간다 해도 감당하기 매우 버거워할텐데, 이걸 급행4번 혼자서 커버하는 것은 그냥 불가능하다고 봐야 할 것 같다. 파일:대전 급행4번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jpg 왼쪽은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부사오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이고, 오른쪽은 이 정류장에 급행4번 버스가 정차한 사진이다. 으능정이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100)'은 사진의 21090 정류장 바로 건너편에 있다.[15] 급행2번을 한화야구장으로 보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예시로, 1, 2안이 있으며, 1안: 성남네거리-대전역-으능정이거리-오토바이거리-한화생명이글스파크-보문산공원, 정차 정류장 수 6개, 편도 약 4.6km. 2안: 성남네거리-대전역-으능정이거리-오토바이거리-한화생명이글스파크-(보문로 미정차)-부사오거리(종점)-한밭종합운동장-역순, 정차 정류장 수 6개, 편도 약 4.4km. 1안이 보문산 신규 수요 및 기존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성심당), 한화야구장 수요 유지 면에서는 가장 좋지만 일단 종점을 802번하고 같이 써야 해서 종점 공간이 애매했을 수도 있다. 2안은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야구장 경기 끝나고 사람들 타기 편하게 한 것인데 한화이글스파크 이후로 보문로를 이용하여 청란여고 쪽으로 빠져서 무정차로 부사오거리까지 간 다음 좌회전을 하여 한밭종합운동장 방향 부사오거리 정류장을 종점으로 하는 것인데, 여기가 도로변 종점지라 여러 대가 동시에 대기하기가 애매하다. 아니면 부사오거리가 아닌 한화생명이글스파크나 한밭종합운동장을 종점으로 해도 된다. 그래도 1, 2안 모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 한화야구장 수요를 유지할 수 있고, 이 구간에서 사람 몰리는 급행4번을 급행2번이 보조 할 수 있으며, 복합터미널, 성남네거리, 대전역, 으능정이거리, 오토바이거리에서 두 노선 간 제자리 환승도 가능한 것은 덤이다.[16] 회차지 문제 등 여러 이유로 한화야구장을 가기가 어렵다면, 3, 4안도 있다. 3안: 성남네거리-대전역-으능정이거리-대흥동우체국-대동역2번출구/(←대동역3번출구)-대전역동광장, 정차 정류장 수 6개, 편도 약 4.9km. 4안: 성남네거리-대전여상-으능정이거리-대전역/(←대전역네거리)-대전역동광장, 정차 정류장 수 5개, 편도 약 3.7km (채택). 3안은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에서 같은 방향으로 같이 다니는 급행4번, 201번, 202번, 701번 등의 타 노선과 환승 연계를 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대전역동광장에서 회차를 하기 위해 711번과 같은 경로로 대흥동 쪽으로 빠지나 급행이므로 정류장을 가려서 서는 것인데 711번하고 너무 겹친다. 대신 대전역, 으능정이거리 수요를 1, 2안과 같이 유지를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동광장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있어서 여기서 전기버스를 충전하고 바로 운행할 수 있어서 좋다. 게다가 이곳이 버스차고지라서 여러 대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대기가 가능하다. 4안은 1~3안의 장점인 대전역과 으능정이거리에서 급행4번과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는 점을 갖다 버렸고 대전역도 바로 가지 않고 돌아가서 7~8분 이상 시간 더 걸려서 대전역 수요도 다 날렸다. 1~3안보다 좋은 점이 사실상 특별히 없는 셈이다. 수요 측면에서만 보면 3안도 한화야구장 수요를 날린 점을 생각하면 1~2안에 비해 단점이 훨씬 많은데 4안은 이 3안보다도 단점이 훨씬 많은 것이다. 끽해봐야 대전여상 인근 선화동쪽에서 으능정이거리, 대전역하고 복합터미널 가는 수요 약간 생긴 것하고 동광장에서 차 여러 대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대기할 수 있고, 이곳에서 전기버스를 충전하고 바로 운행을 시작할 수 있는 정도.[17] 그러나, 보문산은 802번하고 같이 종점을 써야 해서 공간이 조금 애매하고, 도로변 종점지로 종점을 정하지 않고, 대전역동광장 버스 차고지로 들어가 전기버스 충전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면서도, 3안은 기존 수요는 유지가 되지만 거리 및 운행 시간이 약간 애매하고 무엇보다 711번하고 너무 중복돼서 하기가 좀 그렇고, 그렇다고 으능정이거리(성심당)를 안 가고 B1번, 616번, 707번처럼 대전역에서 바로 대전역동광장으로 들어가기도 좀 그러니, 대전역과 으능정이거리를 모두 경유하는 동시에 대전여상 인근 선화동 쪽 재개발도 있는 겸 해서 이쪽 지역의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를 가는 신규 수요를 노리고 4안을 채택한 것 같다. 근데 운전 거리하고 정차 정류장 갯수, 운행 시간은 1, 2, 4안 다 비슷하다. 3안은 운행 시간 및 운전 거리가 조금 더 길지만 그래도 정차 정류장 갯수는 큰 차이가 없다. 그래도 이 정도면 1~4안 모두 운행 시간 단축 효과는 충분히 있다. 참고로 단축 이전, 산내 연장은, 단축 이전: 성남네거리-대전역-으능정이거리-오토바이거리-한밭종합운동장-부사오거리-석교동행정복지센터-호동-은어송초등학교-대성삼거리-옥계동-역순, 정차 정류장 수 10개, 편도 약 7.1km이며, 산내 연장: 성남네거리-대전역-으능정이거리-오토바이거리-한밭종합운동장-부사오거리-석교동행정복지센터-호동-은어송초등학교/(←옥계동)-고산사입구/(←대성삼거리)-오투그란데아파트-e편한세상아파트-석천들마을아파트-낭월공영차고지, 정차 정류장 수 14개, 편도 약 12km이다. 대전시소 시민제안 링크[18] 201번 원내동 방향, 202번, 2002번 신도안 방향과 같은 14230 정류장이다.[19] 대전역네거리에는 횡단보도가 없다. 건너편으로 이동할 경우 지하도를 올라갔다 내려와야 한다.[주의] 야구나 배구 경기 종료 후 예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시절 급행2번(현재 급행4번)의 가축수송은 엄청났다. 2대가 동시에 붙어와도 그 2대 모두 꽉 채우다 못 해 터졌다. 게다가 위에서 언급한 2024년 5월 10일에 증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선이 분할 및 신설(개편 전 급행2번 31대, 현재 급행2번 19대+급행4번 12대 합 31대)되어 두 노선이 중첩되지 않는 이 구간에서 배차가 평일 기준 기존 급행2번의 약 7~9분에서 현재 급행4번의 약 12~15분으로, 거의 1.6배 이상으로 크게 벌어져(공휴일에는 최대 20분까지 배차가 벌어지기도 한다.) 사실상 야구 또는 배구 경기 시즌의 터져나가는 수요를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거기에 기존 한화생명 이글스파크가 급행4번이 정차하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에서 약 600m 떨어진 것과는 다르게, 후속 야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의 위치는 이 정류장 바로 앞이다. 게다가 좌석 규모도 기존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는 12,000석 정도였으나, 현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17,000석으로 1.4배 이상이다. 사실상 기존 노선 분할 전 급행2번보다 현재 급행4번으로 수요가 훨씬 더 몰려 못 탈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부사오거리에서 501번,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802번 등 다른 노선을 타야 할 수도 있다. 파일:대전 급행4번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jpg 왼쪽은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부사오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이고, 오른쪽은 이 정류장에 급행4번 버스가 정차한 사진이다. 으능정이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100)'은 사진의 21090 정류장 바로 건너편에 있다.[21] 단 802번은 대흥동네거리-충무로네거리 사이를 직진하는 급행4번과는 다르게 원동네거리, 인동네거리를 지나는 ㄷ자 구간이 하나 더 있다.[22] 으능정이거리로 갈 때 내선순환, 으능정이거리에서 돌아올 때 외선순환으로 타야 한다. 방향에 유의하자.[23] 성남네거리 쪽으로 갈 때 내선순환, 성남네거리에서 올 때 외선순환으로 타야 한다. 방향에 유의하자.[24] 외선순환 방향이다.[25] 2017년 6월 30일에 종점이 대전서남부터미널에서 대전고등학교로 단축되었으며, 기존의 약 1/2 수준으로 감소하였다.[26] 완행 격으로는 701번711번이 있긴 하나, 둘 다 신탄진역은 가지 않으며, 중간 경유지도 701번은 탑립동, 테크노밸리, 신일동, 대덕산업단지 안쪽, 대전이문고, 대덕구보건소, 덕암동, 덕암북로, 덕암로, 신탄진IC 인근, 신탄중앙중, 신탄진휴게소 인근, 711번은 신탄진고, 안산도서관, 중리시장, 한남대학교, 대덕구청, 삼성동을 대신 경유해 신탄진역, 신탄진로와 대전복합터미널, 성남네거리를 경유하는 급행2번과는 각각 다른 구간이 있으며, 중간 정차 정류장도 신탄진-읍내동 구간에서 급행2번보다 훨씬 더 많아 이들 정류장에 승하차하는 승객이 있어 정차할 경우 지체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노선 모두 왕복 2차로의 좁은 길로 들어가 속도를 내지 못 하는 구간이 있으며, 무엇보다 배차가 둘 다 각각 평일 기준 18분, 17분으로 급행2번의 12분보다 확실히 긴 것이 단점이다. 근데 막상 타 보면 생각보다 그렇게 느리진 않다. 701번, 711번을 타고 좀 더 느긋하게 가나 급행2번을 타고 대전여상으로 돌아가나 그게 그거.. 오히려 RH 시간에 도로 정체가 심하면 대전여상으로 돌아가는 급행2번이 더 느린 경우도 있다.[27] 단, 급행4번이 201번 등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가는 타 노선과 가장 빨리 같이 올 경우 급행4번을 타자. 타 노선과 다르게 '삼성초등학교 정류장(12310)'을 정차하지 않고 바로 다음 정류장이 '대전역 정류장(12390)'으로, 201번을 포함한 타 노선보다 약 1분 정도 빠르다. 다만 '성남네거리 정류장' 정차 후 삼성네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는데, 좌회전을 한 이후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신호등에 걸려 직진 신호를 한 번에 받지 못 하고, 타 노선과 같이 대기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 차이가 크지는 않아서, 가장 먼저 오지 않는다면 굳이 급행4번만 따로 기다려서 탈 이유는 전혀 없다. 그냥 바로 오면 타 노선보다 대전역을 조금 더 먼저 가고, 아주 조금 더 빠른 정도.[28] 이 정류장에 서는 317번은 '외선' 순환 방향이므로 타면 대전역이 아닌 삼성동, 목동, 오룡역을 거쳐 태평동으로 가며, 317번을 타고 대전역으로 가려면 횡단보도를 건넌 다음 계족로 연선에 있는 '성남네거리 정류장(11990)'에서 '내선' 순환 방향으로 타야 한다. 605번, 615번, 616번, 701번이 같이 정차하는 정류장이며, 승차 후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가면 된다. 바로 아래의 '대전역동광장 종점'으로 가는 방법에도 나와 있다.[29] RH 시간의 경우 성남네거리에서 201번과 함께 대전역을 최단 경로로 바로 가는 타 노선들도 대전로 쪽 정체로 인하여 시간이 꽤 걸리나, 거리 자체가 급행2번이 도는 우암로-대종로-중앙로 경로에 비하면 확실히 짧기 때문에 정체구간의 길이도 대전역까지 훨씬 더 짧게 된다. 즉, RH 때는 아래의 환승 성공이 가능한 예시 중 예시 9의 사례처럼 201번을 포함한 타 노선에 비하여 대전역까지 소요 시간 차이가 훨씬 더 벌어지므로 대전역을 갈 때 도로에 오래 갇혀있기 싫으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반드시 환승을 해서 가자.[30] 201번을 포함하여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역까지 최단 경로로 가는 타 노선들은 대전역에서 가까운 커피오피스 앞(12390) 또는 근처 정류장(12370)에 정차하나, 급행2번이 정차하는 '대전역 정류장(12460)'은 대전역보다는 목척교가 훨씬 더 가깝다.[31] 실제로 이 사진을 촬영했을 때 RH 시간이라 대종로, 중앙로, 대전역네거리 인근의 매우 심한 정체로 인해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역을 가는데 급행2번은 급행4번, 202번, 611번보다 약 15분(!)의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었다.('성남네거리 정류장'에서 18:10에 급행2번, 급행4번 동시 출발. 이후 급행2번: 대전여상(18:24) → 으능정이거리(18:29) → 대전역(18:31), 급행4번: 대전역(18:16) → 으능정이거리(18:21). 성남네거리 → 대전역 - 급행2번 21분 소요, 급행4번 6분 소요.) 위에서 NH 기준 급행2번은 타 노선보다 약 7~8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고 적었으나, 도로 정체로 인해 이것의 2배의 시간을 추가로 소요한 것이다.[A] 단 615번, 701번은 대전역 동광장 쪽으로 가므로, 대전역 서광장쪽으로 가고 싶으면 목척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하거나, 아니면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에서 201번, 501번, 611번, 622번 중 가장 먼저 오는 버스로 제자리 환승을 해도 된다.[E] [E] [B] 317번과 616번을 탈 경우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하여야 한다.[E] [37] 급행2번은 대전역네거리 출발 후 으능정이거리와 대전여상을 ㄷ자로 크게 돌기 때문에 급행4번이 대전역 정류장을 출발한 이후 성남네거리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약 6~7분의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38] 대략적으로 대전로 상의 '대전역(/하나은행) 정류장'에서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을 탈 때 급행2번이 '대전여상 정류장(20230)'을 통과하기 전이면 안정적으로 잘 잡는 것 같다. 대전여상 통과 후면 급행2번의 대전여상 바로 다음 정류장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급행2번 차가 어디쯤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어 약간 애매할 수 있다. 그리고 201번, 501번, 611번, 622번을 타고 삼성네거리에서 우회전 할 때, 삼성네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급행2번을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대기열의 길이를 확인하여 대략적으로 급행2번으로 환승을 성공할 확률을 가늠할 수 있다. 변수는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서의 승하차 지연 정도와 승하차 이후 급행2번보다 앞쪽에서 성남네거리 신호를 받아야 한다. 급행4번을 타고 삼성네거리에서 우회전 할 경우 위의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서 급행2번의 추월 변수가 없어 삼성네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급행2번이 있다면 급행4번이 차선 변경을 이상하게 하지 않는 이상 100% 확률로 환승에 성공한다고 보면 된다.[39] 단, 급행4번이 201번 등 대전역에서 성남네거리로 최단 경로로 가는 타 노선과 같이 가장 빨리 같이 올 경우 급행4번을 타자. 타 노선과 다르게 '삼성초등학교 정류장(12320)',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을 정차하지 않고 바로 다음 정류장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으로, 201번을 포함한 타 노선보다 약 1~2분 정도 빠르며, 이들 노선들이 '계룡디지텍고입구 정류장(12340)'에 정차하는 사이 급행2번이 추월해서 놓치는 경우도 있으나, 급행4번은 그럴 일이 없다. 다만 성남네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한 번에 받지는 못 하고 타 노선과 같이 대기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 차이가 크지는 않아서, 가장 먼저 오지 않는다면 굳이 급행4번만 따로 기다려서 탈 이유는 전혀 없다. 그냥 바로 오면 타 노선보다 성남네거리 신호를 더 앞쪽에서 받아 조금 더 먼저 가고, 아주 조금 더 빠르며, 으능정이거리, 대종로, 대전여상, 우암로에서 돌고 있는 급행2번을 잡을 가능성이 더 높은 정도.[A] [41] 617번도 이 구간을 같이 다닌다.[42] 105번, 314번도 이 구간을 같이 다닌다.[A] [D]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을 출발한 이후,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에는 701번만 정차하고 급행2번은 통과하나, 앞에 있는 용전네거리 교차로에서 둘 다 우회전을 하여 '복합터미널 정류장(12010)'을 가므로 별 차이가 없다. 또한 '복합터미널 정류장' 정차 후 동부네거리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는데, 좌회전을 한 이후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둘 다 신호등에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별 차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전력공사 정류장'까지는 사실상 급행2번이 701번을 추월을 한다 해도 차이가 거의 없고, 어차피 그 이후에 중리네거리 교차로에서 급행2번, 701번 모두 우회전을 하는데, 이 때 보행자 신호로 인한 우회전 시 일시정지 등으로 인해 두 노선 모두 지체되어 여기서 다시 비슷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정류장'에서 '법동전통시장 정류장'까지는 급행2번도 701번과 동일하게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여 차이가 크게 없는 경우가 많다.[D]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을 출발한 이후,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에는 701번만 정차하고 급행2번은 통과하나, 앞에 있는 용전네거리 교차로에서 둘 다 우회전을 하여 '복합터미널 정류장(12010)'을 가므로 별 차이가 없다. 또한 '복합터미널 정류장' 정차 후 동부네거리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는데, 좌회전을 한 이후 바로 다음 교차로에서 둘 다 신호등에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별 차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전력공사 정류장'까지는 사실상 급행2번이 701번을 추월을 한다 해도 차이가 거의 없고, 어차피 그 이후에 중리네거리 교차로에서 급행2번, 701번 모두 우회전을 하는데, 이 때 보행자 신호로 인한 우회전 시 일시정지 등으로 인해 두 노선 모두 지체되어 여기서 다시 비슷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전력공사 정류장'에서 '법동전통시장 정류장'까지는 급행2번도 701번과 동일하게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여 차이가 크게 없는 경우가 많다.[46] '법동전통시장 정류장(51180)'에서 승하차를 마치고 출발할 때 701번 바로 뒤에 급행2번이 있을 경우, 바로 앞에 있는 보람아파트네거리 교차로에서 701번이 신호를 받아 직진하면, 보통 701번이 '보람아파트 정류장(51170)'에 정차해 있는 동안 급행2번이 추월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급행2번은 '보람아파트 정류장'을 무정차로 통과해 바로 앞에 있는 법동네거리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를 받고 그대로 '대덕소방서 정류장(51150)'까지 한 번에 쭉 가는 경우가 많으나, 701번은 '보람아파트 정류장'에서의 승하차로 인해 시간을 까먹는 사이 바로 앞 법동네거리 교차로의 신호가 빨간 불로 바뀌어 '대덕소방서 정류장(51150)'에 가기 전에 다음 신호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A] [48] 토요일에는 배차 간격이 급행2번은 13분, 605번은 16분이며, 공휴일에는 급행2번이 15분, 605번은 16분으로 급행2번이 배차 간격이 조금 더 짧으나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다.[E] [50] 단, 앉아서 가려면 비래동에서 출발한 노선인 급행4번, 201번, 501번, 622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616번은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하여야 한다.[E] [E] [B] [E] [한마을A] 한마을아파트 중간 출발 차량[한마을A] [한마을A] [58] 으능정이거리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