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5:38:07

대전역(도시철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부선 및 경부고속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대전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전역(신안과의원)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6정거장
파일:대전 2호선 아이콘.svg
내선순환205정거장
← 0.9 ㎞
2호선
추진 중
외선순환207정거장
0.9 ㎞ →
}}}}}}}}} ||
경부선·경부고속선으로 갈아타기
역명 표기
1호선 대전역(신안과의원)
Daejeon Station(Shin Eye Clinic)
大田驛 / 大田站 / [ruby(大田, ruby=テジョン)]駅
주소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지하218 (정동 1-298)
운영 기관
1호선 대전교통공사
2호선
개업일
1호선 2006년 3월 16일
2호선 2028년 예정
역 구조
지하 5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
2.1. 구조2.2. 지하상가
3. 승강장4. 사건 사고5. 여담
5.1. 역명5.2. 과거 모습5.3. 도시철도 하차방송 배경음악
6. 연계 교통7. 일평균 이용객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04번,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지하218(중동 317번지) 소재.

2. 역 정보

2.1. 구조

파일:대전역 대전1호선.jpg
대합실
파일:대전역(대전 1호선).png
역 안내도[1]

일반철도 대전역에서 올 때는 나가는 곳(서광장)에서 내려와서 왼쪽에 보이는 입구가 지하철 입구다.

KTX 지하화를 예상하고 지어져서 역이 상당히 깊은 곳에 있고[2] 배차 간격도 10분에 한 대이니 스케줄 세울 때 이동시간을 넉넉하게 잡아야 한다.

역이 지하 5층으로 되어 있는데, 1개 층의 높이가 웬만한 건물의 2~3개 층 정도임을 감안하면 엄청 깊음을 알 수 있다. 지하철입구에서부터 시작해 에스컬레이터를 모두 이용하며, 방해물 없이 속보로 내려가도 지하승강장까지 도착하는데 2분이 걸린다.

2021년 5월 25일, 대전시가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의 대전역 경유를 선언하면서 1,2호선간의 환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호선 대전역(대전역 중앙시장)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고 그 사이에 대전역 동서관통도로가 자리잡고 있어서 환승이 쉽진 않은데, 대전시 발표 내용 중에 1호선 및 BRT와의 환승을 목적으로 했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어떻게든 환승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역은 지하 깊숙히 지어졌기 때문에 위 그림의 지하 3층이나 5층 정도에서 수평으로 터널을 파 동서관통도로 아래로 이동로를 만든 후 지상의 2호선 트램역으로 연계될 것으로 보인다.

3번 출입구가 DC 디젤동차 모양으로 되어있다.

2.2. 지하상가

대전역 지하상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은행동 지하상가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구조이다.

2023년 6월까지는 이 두 지하상가가 간접적으로 연계되는 구조였는데 둘이 직결이 아닌 간접연계가 된 이유는 대전천과 목척교, 1호선 때문에 연결하고 싶어도 연결을 못했기 때문이다.

이후 대전시에서도 해당 불편함을 인지하고 직접 연계를 위한 공사 착공에 들어갔으며 결국 2023년 7월 두 지하상가를 관통하는 지하통로를 완공, 본 역에서 중앙로역까지 지하로만 걸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

3. 승강장

3.1. 대전 도시철도 1호선

파일:대전역(도시철도) 승강장.jpg
승강장
대동
중앙로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동· 신흥·판암 방면
정부청사·유성온천·반석 방면
대전역 도시철도 1호선 4번 출구 지상에서 도시철도 지하 승강장까지 장애물 안 만나고 안 쉬고 속보로 걸어가도 2분이 걸린다.

지하철 배차간격이 긴 만큼 좀 더 주의하자. 그리고 반석행 열차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타고 판암행 열차는 사람들이 거의 다 내린다.[3] 배차간격이 긴 덕분에 대전역에서 열차를 탈 때 열차가 꽉 찬다.

대합실과 승강장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가시성 문제로, 반석행을 탈 때 사람들이 대부분 (15xx, 4-x)라고 써 있는 맨 뒷칸 부근에 몰린다. 그러니 맨 앞칸(1호차 쪽)으로 가서 탑승을 하면 사람들이 훨씬 없다. 비교적 여유롭게 갈 수 있으니 어지간하면 이동하는걸 추천한다.

역 구내에 6퍼밀의 구배가 있다.

3.2. 대전 도시철도 2호선

205정거장
207정거장

4. 사건 사고

  • 2014년 11월 5일에 승강장에서[4] 한 남성이 전동휠체어를 탄 채로 스크린도어를 들이박고 선로로 추락한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한다. #, #

5. 여담

5.1. 역명

5.2. 과거 모습

은행동 지하상가로 연계되기까지 걷는 경로가 대전역 지하상가인데, 은행동 지하상가가 젊은 층 위주로 편성된 지하상가인 것과 반대로 대전역 지하상가에는 노년층을 타겟으로 한 상점이 많다. 나팔바지나 라디오, 고서점, 수입서점[6] 등 구시대 유물들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하지만 젊은 사람들이 은행동으로 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걷는 곳이란 이점을 이용한 휴대폰 판매점이 몇 개 있다. 대전에서 인기 있는 콘솔용 게임 판매점도 이 곳에 있으며 신규 발매 제품들도 빠르게 라인업으로 올린다.

은근히 전자제품이 많이 보이는데, 그 이유는 목척교가 만들어지기 전, 즉 목척교가 도시 밑 하천 신세를 면치 못했을 때 그 위에 홍명상가라는 대형 전자상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규모는 과거 1990년대 용산전자상가와 맞먹는 수준의 던전이었고 용팔이같은 사재기도 유행했다. 반면 악덕상인도 있어서 서울의 용팔이가 있다면 홍명상가에서는 용팔이에 비견되는 홍팔이도 있었다. 특이한 건 용산에서는 전자물품들을 파는 데 비해 여기서는 휴대폰, 게임기[7] 및 게임CD, 악기, 중고 만화책, 소설책 등 다양한 물건을 팔았다는 점. 목척교 복원 사업이 시작되기 전 맞은편에 있었던 동방백화점과 함께 대전 최대의 핫플레이스로 '쇼핑은 홍명에서 하고 밥은 으능정이에서 먹는다'는 패턴이 매우 당연시됐던 시절의 이야기다. 콘솔용 게임 판매점도 홍명상가가 철거되면서 지하상가로 옮겨왔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정부대전청사대전광역시청이 둔산동에 들어서면서 대전역 도심 주변의 소비층이 그 둔산동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고 정부의 정부청사 이전사업 추진으로 둔산동 허허벌판이 급속도로 도시화되면서 동방백화점과 홍명상가에 빈 자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급기야 목척교 복원사업을 위해 동방마트[8]와 홍명상가를 철거하면서 대전 핫플레이스의 역사는 끝났다. 이렇게 보면 공동화로 인해 대전역 유동인구는 눈에 띄게 줄었다.

그리고 이 때 그나마 자본력을 축적해 놓은 가게들이 대전역 주변 건물이나 지하상가 점포를 임대해 물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이 바로 지금이다. 그때 있었던 중고도서점은 대전역 지하상가 입구 부근 2층에 입점했으며, 악기점은 후미진 골목으로 들어갔고, 전자제품점은 전부 다 지하상가로 들어갔다. 하지만 홍명상가 시절부터 게임을 팔던 가게는 다 문을 닫고 지금은 그나마 거기서 1군급 점포였던 곳 딱 한 곳만 남았다.

5.3. 도시철도 하차방송 배경음악

언제부터인가 도시철도 하차 안내방송에 배경음이 깔렸는데 이 배경으로 깔리는 곡은 대전 블루스. 그것도 이생강의 대금 연주다. 어째서 이 곡이 깔리는가 하면, 이 곡의 가사 중 "떠나가는 새벽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분" 부분이 유명한 데다가 1963년에 《대전발 영시 오십분》이란 영화도 만들어졌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었기 때문이다. 그 후에도 여러 가수들에 의해 불려진 명곡이지만 안타깝게도 오래된 곡인 관계로 이걸 눈치채는 경우는 대부분 노인들 외에는 없는 듯 하다. 하지만 센스있는 선곡임에는 틀림없다. 2023년 7월 경에는 동년 8월에 열릴 대전 0시 축제를 기념해서 코요태가 부른 대전 부르스 리메이크 버전이 흘러나왔고, 2024년에도 0시축제 기간동안 이 곡이 재생되었다. 이는 중앙로역도 마찬가지.[9]

6. 연계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역 문서
6.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일평균 이용객

대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7448><bgcolor=#007448> 연도 ||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bgcolor=#007448> 비고 ||
2006년 10,692명 [10]
2007년 15,696명
2008년 17,743명
2009년 20,417명
2010년 20,758명
2011년 21,955명
2012년 21,938명
2013년 22,398명
2014년 22,580명
2015년 21,883명
2016년 21,541명
2017년 22,181명
2018년 22,651명
2019년 23,174명
2020년 14,817명
2021년 15,790명
2022년 18,684명
2023년 21,074명
출처
대전교통공사 정보공개 목록

대전 도시철도 역 중에서 유일하게 이용객이 2만 명을 넘어선다. 1호선이 처음 개통한 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1위를 놓친 적이 없고 아마 앞으로도 놓칠 일은 없을 듯.

이용객의 대다수는 대전역에서 열차를 타려는 사람들로서, 경부선 열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절대 다수의 비율을 차지한다. 이곳은 일반열차 이용객 숫자가 도시철도보다 더 많은데[11], 이는 대전지하철의 수송 분담률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12]

특히 이곳은 경부선 대전역과 비교하면 수요가 절반도 되지 않기에, 경부선 이용객들의 절반 이상이 버스, 택시, 자가용 등 대체 수단으로 빠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 단일 노선밖에 없는 대전 도시철도망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는 대목이다.[13][14]


[1] 현재는 동서관통로이자 소제동 방면으로 나가는 5번 출구가 폐쇄되고 대전역 서광장 교통혼잡 개선사업을 통해 택시전용차로로 바뀌어서 4번 출구까지만 있다. 그래서 소제동 방면으로 가려면 4번 출구로 나가서 역 내부를 가로질러 동광장 출구로 나가야 한다. 이 5번 출구가 있던 당시에는 노숙자들의 주요 은신처였던지라 지린내와 각종 쓰레기 냄새가 진동하는 등 상당히 비위생적인 환경을 보유해서 이 곳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거의 없을 정도로 휑했다.[2]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건설지를 참조한 결과, KTX 지하화가 됐을시 고속철도 정거장은 지하 5층 규모에 심도는 대략 60m가량 됐을 것으로 보인다.[3] 판암행 열차는 사람이 많아지고 반석행 열차는 사람이 적어지는 유성온천역과는 완전 반대다.[4] 2010년에는 서대전네거리역의 엘리베이터를 몇번이나 들이받고 그대로 아래로 굴러 떨어진 지체장애인이 있었는데 그해 다윈상에서 1위를 차지했다.[5] 대전광역시 고시 제2003-105호[6] 해풍사는 은행동 방향으로 거의 끝자락에 있다. 에반게리온 화보집을 아직도 매대에 세워놓은 곳이다. 카드캡터 사쿠라의 포스터를 걸어놓고 외국 책이나 물품을 판매 중이다. 1950년대에 개업했으며, 8~90년대에는 마치 형레코드처럼 대전 지역의 일본 서브컬쳐 문화를 퍼뜨리는 역할을 했고, 단속에 걸려 문을 닫은 형레코드와 달리 그때의 모습이 아직도 남아있어 심지어 형레코드에서 떠온 비디오까지 판다.) 역사가치가 높은 서점이다. 주요 고객은 패션잡지를 사가는 젊은 사람들과 문예춘추를 사가는 노인들, 그리고 소수지만 뉴타입이나 키라라, 구하기 힘든 애니포스터, 옛날 굿즈 등 일본 서브컬쳐 관련 물품을 사가는 매니아들 등이다. 1960년대 잡지부터 너의 이름은.까지 여러 시대의 물품들이 있다.[7] 당시 PS1게임이 대유행이었다.[8] 장사가 안되자 상위 5개층을 전부 다 폐쇄시키고 동네 마트 수준으로 꾸민 1층만을 남겨놓았다. 동방마차라는 선술집이 리즈시절의 흔적을 말해줄 뿐이다.[9] 0시축제가 끝나도 대전역은 코요태 버전이 흘러나온다. 중앙로역은 더 이상 음악이 나오지 않는다.[10] 2006년 자료는 개통일인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29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1] 사실 '몇 안 되는'이라는 수식어도 파고들면 사실이 아니다. 경기권 외의 대도시들의 제1철도역들은 도시철도/광역철도 승객 수보다 일반철도 승객 수가 더 많다. 부산역, 동대구역, 광주송정역, 천안아산역이 전부 그렇다.[12] 대전광역시만의 현상은 아니기에 워낙 도시 규모가 커서 도시 곳곳에 전철이 깔려 있는 서울과 그렇지 못한 지방 대도시들의 차이에서 나오는 현상이라고 보는게 타당하다.[13] 대전 도시철도가 비교적 대전 구석구석을 잘 다니지만, 노선 1개로는 모든 교통 수요를 분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모든 실 수요지에 정확히 역이 들어서지는 않다. 당장 항상 꾸준한 수요를 보장하는 대학교들은 모두 역세권에 들지 못했으며, 야구장 역시 역세권에서 벗어나 있다. 대전의 양대 번화가인 은행동과 둔산동의 경우, 은행동은 역 바로 위가 번화가인 반면에, 둔산동은 최고 번화가인 갤러리아 타임월드 앞에 역이 없다.[14] 대전 1호선 내에서 역명에 대학교 부역명이 붙은 역은 판암역(대전대), 대동역(우송대), 유성온천역(충남대, 목원대)이다. 그중 판암역은 대전대와 거의 3km나 떨어져 있고, 유성온천역에서 충남대까지는 1.4km, 목원대까지는 3.4km 떨어져 있다. 그나마 우송대가 가장 양반인데, 대동역에서 우송대 서캠의 사실상 정문인 동문까지 약 1km다. 여기도 약간 오르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둘러보기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