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008b> | 클래시 로얄 카드 일람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미니언 | 아처 | 기사 | 창 고블린 | 고블린 | 폭탄병 | |
해골 병사 | 바바리안 | 일렉트로 스피릿 | 해골 드래곤 | 파이어 스피릿 | 박쥐 | |
로얄 훈련병 | 로얄 자이언트 | 아이스 스피릿 | 해골 통 | 고블린 갱 | 엘리트 바바리안 | |
미니언 패거리 | 로켓병 | 악동 | 버서커 | |||
희귀 카드 | ||||||
미니 P.E.K.K.A | 머스킷병 | 자이언트 | 발키리 | 메가 미니언 | 배틀 램 | |
마법사 | 플라잉 머신 | 호그 라이더 | 로얄 호그 | 삼총사 | 전투 치유사 | |
얼음 골렘 | 다트 고블린 | 감전돌이 | 고블린 데몰리셔 | 힐링 스피릿 | 수상한 수풀 | |
엘릭서 골렘 | ||||||
영웅 카드 | ||||||
가드 | 베이비 드래곤 | 해골 군대 | 마녀 | P.E.K.K.A | 다크 프린스 | |
프린스 | 해골 비행선 | 자이언트 해골 | 룬 자이언트 | 자이언트 고블린 | 사냥꾼 | |
골렘 | 일렉트로 드래곤 | 해골 돌격병 | 일렉트로 자이언트 | 볼러 | 도끼맨 | |
대포 카트 | ||||||
전설 카드 | ||||||
메가 나이트 | 램 라이더 | 일렉트로 마법사 | 인페르노 드래곤 | 스파키 | 광부 | |
프린세스 | 피닉스 | 로얄 고스트 | 얼음 마법사 | 마법 아처 | 도둑 | |
라바 하운드 | 암흑 마녀 | 나무꾼 | 고블린 머신 | 엄마 마녀 | 낚시꾼 | |
챔피언 카드 | ||||||
골드 나이트 | 해골 킹 | 아처 퀸 | 능력자 광부 | 고블린슈타인 | 리틀 프린스 | |
수도자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대포 | 박격포 | 뇌전탑 | ||||
희귀 카드 | ||||||
고블린 우리 | 고블린 오두막 | 해골 무덤 | 폭탄 타워 | 인페르노 타워 | 바바리안 오두막 | |
용광로 | 엘릭서 정제소 | |||||
영웅 카드 | ||||||
대형 석궁 |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화살 | 감전 마법 | 거대 눈덩이 | 로얄 택배 | |||
희귀 카드 | ||||||
파이어 볼 | 로켓 | 지진 마법 | ||||
영웅 카드 | ||||||
고블린 통 | 번개 마법 | 얼음 마법 | 바바리안 통 | 독 마법 | 고블린 저주 | |
분노 마법 | 공허 | 복제 마법 | 토네이도 | 반사경 | ||
전설 카드 | ||||||
통나무 | 무덤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진화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일반 카드 | |||||
진화 바바리안 | 진화 해골 병사 | 진화 로켓병 | 진화 로얄 자이언트 | 진화 기사 | 진화 로얄 훈련병 | ||
진화 박쥐 | 진화 아처 | 진화 아이스 스피릿 | 진화 폭탄병 | ||||
희귀 카드 | |||||||
진화 발키리 | 진화 배틀 램 | 진화 마법사 | 진화 머스킷병 | 진화 다트 고블린 | |||
영웅 카드 | |||||||
진화 해골 돌격병 | 진화 자이언트 고블린 | 진화 P.E.K.K.A |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 | ||||
전설 카드 | |||||||
진화 메가 나이트 | 진화 나무꾼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박격포 | 진화 뇌전탑 | 진화 대포 | ||||
희귀 카드 | ||||||
진화 고블린 우리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감전 마법 | 진화 거대 눈덩이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타워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타워 프린세스 | ||||||
영웅 카드 | ||||||
대포 사수 | ||||||
전설 카드 | ||||||
단검 공작부인 | 로얄 셰프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삭제된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베이비 고블린 | ||||||
희귀 카드 | ||||||
치유 마법 |
기간 한정 카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슈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전설 카드 | |||||
슈퍼 라바 하운드 | 슈퍼 마녀 | 슈퍼 미니 P.E.K.K.A | 산타 호그 라이더 | 슈퍼 얼음 골렘 | 슈퍼 마법 아처 | ||
슈퍼 아처 | 마법사 트리오 | 슈퍼 나이트 | |||||
챔피언 카드 | |||||||
테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바바리안 런처 | ||||||
전설 카드 | ||||||
파티 오두막 | 로켓 사일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전설 카드 | |||||
파티 로켓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이벤트 도전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영웅 카드 | |||||
쉘리 | 분노한 프린스 | ||||||
전설 카드 | |||||||
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온기 |
}}}}}}}}} ||
모던 로얄 | |||||
고블린슈타인 | → | 룬 자이언트 | → | 버서커 |
1. 개요
룬 자이언트 Rune Giant 符文巨人/鍛治屋ジャイアント | |
이 카드가 잠금 해제되는 아레나 | |
아레나 9 | 정글 아레나 |
무기를 벼려야 할 때가 왔나요? 그렇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룬 자이언트는 가장 가까운 유닛에게 마법을 걸어, 세 번째 공격마다 보너스 피해를 입히게 합니다. 단, 동시에 최대 두 유닛까지만 마법을 걸 수 있습니다.
Need your weapons sharpened? You’ve come to the right place.
Rune Giant enchants Troops closest to her, having them deal Bonus Damage every third attack. Only two Troops can be enchanted at once.
룬 자이언트는 가장 가까운 유닛에게 마법을 걸어, 세 번째 공격마다 보너스 피해를 입히게 합니다. 단, 동시에 최대 두 유닛까지만 마법을 걸 수 있습니다.
Need your weapons sharpened? You’ve come to the right place.
Rune Giant enchants Troops closest to her, having them deal Bonus Damage every third attack. Only two Troops can be enchanted at once.
<rowcolor=#fff> 공격 속도 | 공격 대상 | 속도 | 사정거리 | 마법 한도 | 마법 사정거리 | 엘릭서 비용 | 희귀도 | 유형 |
1.5초 | 건물 | 보통 | 근접: 중거리 | 2 | 7 | 4 | 영웅 | 유닛 |
2025년 1월 업데이트로 추가된 카드. 보통 줄여서 룬자라고 부른다.
2. 레벨별 스탯
<rowcolor=#fff> 레벨 | 체력 | 피해량 | 초당 피해량 | 보너스 피해량 |
6 | 1752 | 75 | 50 | 137 |
7 | 1927 | 82 | 55 | 151 |
8 | 2113 | 90 | 60 | 165 |
9 | 2321 | 99 | 66 | 182 |
10 | 2551 | 109 | 72 | 200 |
<rowcolor=#fff> 11 | 2803 | 120 | 80 | 220 |
12 | 3076 | 132 | 88 | 241 |
13 | 3383 | 145 | 96 | 265 |
14 | 3712 | 159 | 106 | 291 |
15 | 4073 | 174 | 116 | 319 |
3. 성능
4 엘릭서 공성 유닛으로 자이언트답게 체력이 11렙 기준 2803으로 높으며 코스트 대비 체력은 그 높다는 기사나 자이언트 해골보다도 높은 약 700이다. 그러나 공격력은 11렙 기준 120, DPS는 이보다 낮은 80으로 해골 병사 1기의 DPS와 비슷한 정도이다. 따라서 공성 유닛이라는 역할이 무색하게도 타워에 큰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1][2]능력치만 보면 화력이 너무 낮아 애매해 보이지만 룬 자이언트의 핵심은 가까운 아군 유닛에게 마법을 걸어 강화하는 패시브 능력에 있다.[3] 마법은 주변에 있는 아군 유닛 2마리까지 걸 수 있으며, 한번 마법을 걸면 버프 유닛이 살아있는 한 영구적으로 지속된다.[4] 마법의 영향을 받은 유닛이 처치되면 일정 시간 후에 다른 가까운 유닛에게 마법을 건다. 골렘이나 엘릭서 골렘, 라바 하운드처럼 죽으면 작은 분신이 튀어나오는 유닛의 경우에는 강화 효과가 계승되지 않으며 다시 걸어야 한다.
강화 효과를 받은 유닛은 금색 오오라가 생기며, 매 3번째 공격마다 추가 데미지를 줄 수 있다.[5] 또 추가 데미지는 버프를 받은 유닛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고, 추가 데미지가 발동되면 추가 데미지의 수치가 공격 대상의 상단에 표기된다.[6]
룬 자이언트 본인은 스스로에게 버프를 걸 수 없지만, 반사경을 이용해 한 번 더 룬 자이언트를 소환한다면 서로에게 버프를 거는 건 가능하다. 또한, 본래는 룬 자이언트는 이미 버프가 걸린 유닛에게 버프를 주지 않지만, 룬 자이언트가 2명 이상일 때 두번째 소환된 룬 자이언트가 첫번째 소환된 룬 자이언트를 통해 버프받은 유닛에게 또다시 걸어놓는 배경은 나올 수 있다. 첫번째 룬 자이언트가 살아있다면 버프를 걸지 않으며, 죽은 상태라면 버프를 건다.[7] 물론 버프 효과는 중복 적용이 되지 않는다. 다만 버프 효과는 1번째 룬 자이언트와 2번째 룬자이언트 모두에게 받아도 중첩되지 않는 시스템으로 상호관계를 맺으므로 문제되는 부분인 건 맞다.
'매 3번째 공격'은 언뜻 단순해 보이는 개념처럼 보이지만, 몇몇 독특한 공격을 하는 유닛이 있어서 단순하지 않게 적용되는 것도 있다. 이하가 예시. 이것도 너프 이후로는 산탄 공격에 의한 폭딜과 자이언트 고블린, 램 라이더, 고블린 머신과 같이 하나의 유닛에서 공격 수단이 두 종류인 유닛[8]의 개별 적용이 삭제되면서 덜해진 것이다.
- [ 펼치기 • 접기 ]
-
- 마녀 시리즈나 해골 킹처럼 특정 유닛을 소환하는 유닛의 경우에는 소환수의 공격이 본체의 공격 횟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인페르노 시리즈나 능력자 광부는 언뜻 한 번의 공격만 하는 것처럼 보여도, 0.4초마다 딜을 주는 형식이라 1.2초마다 추가 피해가 나온다.[9]
- 진화 로켓병이나 진화 다트 고블린처럼 공격에 묻는 도트 피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도끼맨처럼 공격이 부메랑처럼 날아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공격 역시 산탄 공격처럼 맞은 횟수에 각각 버프가 들어간다.
- 일렉트로 드래곤과 같이 공격이 적중했을 때 그 근처에 다른 대상이 있다면 공격이 전기처럼 쭉쭉 뻗어 나가는 '체인 라이트닝'의 경우, 하나하나 버프가 들어간다.
- 단,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에겐 적용되지 않는다.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은 체인 하나하나가 공격 횟수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대 유닛 A, B, C를 상대할 경우 전기 공격이 A → B → C 순서로 옮겨졌을 때, 일반 일렉트로 드래곤은 1, 2번째 공격에서는 버프가 적용되지 않고, 3번째 공격 때야 A, B, C 셋 전원에게 버프 피해가 적용된다. 하지만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은 처음부터 A가 맞은 걸 1번째 공격, B가 맞은 걸 2번째 공격, C가 맞은 걸 3번째 공격으로 판정하여 C에게만 버프 피해가 적용된다. 아무래도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의 체인 라이트닝은 이론 상 무한하게 이어지기 때문에 버프 피해가 어마어마하게 누적되는 밸붕을 고려해서 일부러 다르게 적용되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10]
- 일렉트로 마법사는 한 번에 두 번의 공격을 하기에 2, 3번째 공격마다[11] 추가 피해가 들어간다.
- 고블린슈타인의 경우에는 본체의 일반 공격과 스킬 공격이 함께 카운트된다. 이 때, 스킬인 번개 링크가 발동되는 도중에 본체가 일반 공격을 해서 3번째가 채워지면 번개 링크의 모든 공격에 버프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고블린슈타인이 일반 공격을 1번 한 상태에서 번개 링크를 발동하여 2번째 공격을 하면 이 때는 번개 링크에 버프 피해가 적용되지 않지만, 고블린슈타인이 바로 일반 공격을 추가로 1번 더 해서 3번을 채우면 그 때부터 번개 링크에 버프 피해가 적용된다.[12] 단, 반대로 번개 링크에 버프 피해가 적용되는 중에 고블린슈타인이 일반 공격을 또 하여 4번째 공격이 되어버리면 버프 피해가 끊긴다. 즉, 쉽게 말해 번개 링크에 버프 피해가 적용되는 건 '번개 링크의 발동 시가 고블린슈타인의 3번째 공격인가'가 아니라 '지금 고블린슈타인의 공격 횟수가 3번째인 상태인가'이기 때문에 고블린슈타인의 일반 공격 여부에 따라 버프 피해 적용 여부가 실시간으로 바뀐다.
- 일렉트로 자이언트의 경우에는 반사 피해에는 버프 피해가 적용되지 않으며 공격 횟수로 카운트되지 않는다. 오로지 본체의 직접 공격만으로 공격 횟수를 채워야 한다.
- 골드 나이트의 맹돌진의 연속 공격은 일반 일렉트로 드래곤의 체인 라이트닝과는 다르게 하나하나가 개별적인 공격 횟수로 적용된다. 골드 나이트가 이미 2번의 공격을 한 상태에서 맹돌진을 써서 상대의 유닛 3마리에 돌진 공격을 한다면 버프 피해는 처음 돌진한 유닛 1마리의 피해에만 적용되지, 3마리 전부에 각각 버프 피해가 들어가지 않는다.
3.1. 장단점
장점 |
|
단점 |
|
4. 변천사
2025년 1월 신규 영웅 카드로 출시되었고 성능과는 별개로 2025년의 첫 신규 카드라는 칭호을 얻게 되었다.출시 전 선행 공개 당시 매우 좋을 것이라는 평이 다수였다. 강화 능력의 추가 피해량의 시너지가 상당하며 로켓병이나 사냥꾼 같은 일부 카드들은 시너지를 넘어 버그급 성능을 뽐낼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이후 2025년 1월 6일, 정식 출시되었다. 출시 전만 해도 사기적이다는 평이 많았지만 출시된 이후에는 강화 메커니즘의 활용 난이도가 높고 자체 성능이 그리 강력하지 않다는 점이 드러나며 무난하게 강력한 카드라는 평을 받는다. 사냥꾼이나 로켓병 등, 매우 높은 시너지를 가진 카드들을 필두로 하여 여러 덱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중 일부 덱은 좋은 평가를 받으며 중~상위권에 무난히 안착한 줄 알았으나...
이러한 평가는 출시된 지 1주 정도 지나며 반전되고 말았다. 상술한 단독 성능이 낮아 아군과의 조합이 없으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무엇보다 사냥꾼과 로켓병과의 시너지는 각자 단점이 명확하고 이들은 룬 자이언트와의 조합을 제외하면 메이저하지 않은 카드이기에 시너지 하나만 보고 덱에 넣기엔 무리였기 때문. [15] 시너지를 맞출 유닛들이 여럿 있지만 대부분 덱의 공성 유닛이라 엘릭서 비용이 무거워지고 지나치게 가벼워 스펠에 취약한 경우가 다수라 강화 능력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평을 받는다. [16] 결국 정식 출시된지 2주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는 카드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고 수상한 수풀, 고블린 데몰리셔 등 입지가 낮은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카드들과 입지가 다름이 없는 수준이다.[17]
이 때문에 출시 된지 1달도 되지 않아 상향을 받았다. 이제 룬 자이언트가 처치되더라도 아군의 강화 효과가 그대로 유지가 되도록 변경되었다. 이번 상향으로 강화 능력의 한계가 크게 개선되었고 기존에 사용하기 어려웠던 여러 조합[18]도 발굴되며 다시 상위권에서도 연구가 진행될 정도로 입지가 크게 증가하였다.
룬 자이언트의 상향 이후 메타가 상당한 영향을 받았으며 최상위권에서 룬 자이언트를 채용하는 여러 덱들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19] 출시 당시의 고블린 머신이나 단검 공작 부인의 사기성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누적되는 추가 데미지가 게임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급작스러운 긴급 상향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다. [20]
5. 업데이트 내역
- 2025/1/6 패치로 정식 출시되었다.
- 2025/1/21 긴급 패치로 룬 자이언트가 처치되어도 아군 유닛의 강화 효과가 유지되도록 변경되었다. (버프)
- 2025/1/30 긴급 패치로 룬 자이언트의 강화 효과의 추가 데미지가 여러 개의 투사체로 분산되도록 변경되었고 탑승한 유닛에게는 강화 효과를 줄 수 없게 되었다. (너프) [21][22]
6.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공격 속도가 빠른 유닛[23]: 추가 데미지가 공격 타수 마다 들어가다보니 공격속도가 빠른 유닛들과 쓰면 추가 데미지를 더 자주 발동시킬 수 있다. 또 인페르노 시리즈의 경우에도 적은 데미지가 조금씩 들어가는 개념이라서 1.2초마다 추가 피해를 발동시킬 수 있다.
- 분노 마법: 공속을 빠르게 만들어 3타 타이밍을 한 대라도 더 많이 꽂을 수 있게 해 준다.
7. 카운터 카드
진화 발키리 | 진화 메가 나이트 |
룬 자이언트의 능력을 사용하려면 후속 유닛을 붙여야 하는데, 해당 후속 유닛을 간편하게 처리하면서 룬 자이언트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카드이다. |
고블린 | 창 고블린 | 해골 병사 | 해골 군대 |
고블린 갱 | 가드 | 바바리안 | 미니언 |
미니언 패거리 | 박쥐 | 로얄 훈련병 | 감전돌이 |
마녀 | 삼총사 | 해골 무덤 | 고블린 오두막 |
무덤 | |||
물량형 유닛들은 추가 데미지를 받든 말든 어차피 금방 죽다 보니 룬 자이언트가 포함된 공격이 별로 위협적이지 않다. 단 로켓병이나 사냥꾼, 나무꾼 등 룬 자이언트와 주로 조합되는 유닛들이 대부분 물량 유닛들을 잘 잡다 보니 어느 정도 상쇄되는 부분이다. |
카드 이름 |
설명 |
그 외 | |
~카드 |
8. 기타
프로필 일러스트 |
- 2025년의 첫 신규 카드다.
- 머리색이 발키리와 비슷한 주황색이다. 이 때문인지 2024년 12월 31일 클래시 로얄 공식 채널에 룬 자이언트의 티저 영상이 올라오자 이 캐릭터가 발키리와 혈연관계라고 추측하는 사람이 많았다.
- 자이언트 계열 카드들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대머리가 아니며 여성인 유닛이다.[24][25]
9. 관련 문서
[1] 타워 프린세스 기준으로 체력을 절반도 줄이지 못할 정도이다.[2] 요약하자면 고블린슈타인의 몬스터와 매우 유사한 메인탱커라고 할 수 있다. 차이점은 룬 자이언트가 더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공격력의 경우에는 몬스터가 소폭 높다.[3] 건물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막이 파괴된 후의 대포 카트에게는 마법을 걸어주지 않는다.[4] 출시 당시에는 룬 자이언트가 죽으면 버프가 끊겼다. 정확히는 룬 자이언트가 죽는 즉시 끊기지 않았으며 잠깐 동안 버프 효과가 남아있었다.[5] 추가 데미지는 11렙 기준 220이며, 머스킷병의 피해량(218)과 거의 비슷하다. 추가 데미지가 터질 때마다 머스킷병의 공격을 한 대씩 추가로 입히는 거라고 이해하면 된다.[6] 보통은 11렙 기준 220이지만, 출시 당시에는 산탄 공격에 의한 폭딜, 자이언트 고블린 등 뒤의 창 고블린의 동시 공격 등 특이한 방법으로 추가 데미지를 배로 늘렸을 경우에는 440, 660... 등의 표기도 나올 수 있었다. 이후 너프로 상술한 예시들이 삭제되면서 불가능해졌다.[7] 본래 버프전에는 룬 자이언트가 죽으면 버프가 끊기기 때문에 이미 첫번째 룬 자이언트의 버프가 있는 유닛이 살아있을 때 두번째 룬자이언트가 또 버프를 거는 상황이 나올 리가 없었으나, 출시 직후의 룬 자이언트 성능 버프로 룬 자이언트가 죽어도 버프가 유지되도록 변경되어 이런 상황이 가능해졌다. 원리는 불명.[8] 자이언트 고블린은 자이언트 고블린 본인과 등 뒤의 창 고블린 둘, 램 라이더는 램 라이더 본인과 탑승수, 고블린 머신은 팔 공격과 등 뒤의 미사일 공격.[9] 거기에 인페르노 시리즈나 능력자 광부의 약점이 감전 등에 끊기면 다시 처음부터 차징을 해야 한다는 건데, 다시 공격을 하면 공격 횟수가 그만큼 추가로 카운트되기 때문에 약점을 약간 보완할 수 있다.[10] 사실 이는 너프라고 하기도 애매한 게 사기적이지만 불안정한 고점을 잃은 대신 안정적으로 버프 피해를 넣을 수 있게 되었다.[11] (1타+2타)-(3타+4타)-(5타+6타)[12] 번개 링크 역시 위의 인페르노 시리즈처럼 한 번의 공격만 하는 게 아니라 0.5초마다 딜을 하는 식이다. 단, 인페르노 시리즈와 다르게 버프 피해가 적용되기 시작하면 번개 링크가 끊어질 때까지 쭉 적용되며, 무엇보다 광역 공격이라서 더욱 강력하다.[13] 물론 이동 속도도 다른 자이언트에 비해 '보통'으로 빠른 편이고 비용도 저렴해서 고블린슈타인의 몬스터처럼 건물 없이는 타워에 피해를 입지 않고 수비하기 어렵다. 룬 자이언트를 메인 공성 유닛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이러한 작은 누적 데미지도 타이브레이커로 싸움이 결정되는 오버타임에서는 의외로 나비효과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14] 이 때문에 룬 자이언트 조합은 전반적으로 유닛들끼리 뭉치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룬 자이언트의 강화를 부여하는 사거리가 장거리이기 때문에 서로 흩어질 수는 있지만 상술했듯이 단독으로 움직이는 룬 자이언트는 효율이 떨어지는 만큼 강화된 아군 유닛 가까이로 배치하는 경우가 잦다. 이 때문에 상대의 광역 공격이나 체인 라이트닝 등 다수의 유닛들을 공격하는데 적합한 카드들에게 취약해지는 추가적인 단점이 발생한다.[15] 사냥꾼은 공격 속도가 느리고 근거리가 아니라면 추가 피해량의 이득을 보기 어렵고 범용성이 그리 넓지 못해 로얄 자이언트를 제외하면 사용하는 덱이 거의 없다. 로켓병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탄환의 메커니즘이 이질적이라 적중률이 낮고 공격 속도가 느리며 킹 타워를 오픈하기 쉽다는 단점 때문에 범용성이 넓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메이저한 화살 등 라이트 스펠에 취약하다.[16] 공성 유닛 중 자이언트 고블린이나 라바 하운드와의 시너지가 좋은데 룬 자이언트는 강화 능력을 제외하면 공격 시에 추가로 지원할 만한 것이 체력 뿐이며 수비도 최소한의 수비 병력으로 수비가 필수인 빅 덱에서 공격 능력도 없는 샌드백에 불과한 룬 자이언트를 무턱대고 채용하게엔 무리가 있다.[17] 그나마 이들은 각자 스펠 유도 덱이나 컨트롤, 브릿지스팸 덱에서 마이너하지만 채용될 여지가 충분한데 반해 룬 자이언트는 오로지 유닛간의 조합만 보는 카드라 특정 덱에서 수요가 있는 것도 아니다. 즉, 이들보다 평가가 낮다고 봐야한다.[18] 사냥꾼의 조합은 기존에는 사냥꾼의 느린 공격 속도 때문에 룬 자이언트가 적의 공격에 처치되면 강화 공격을 1번 정도 밖에 주지 못했으나 룬 자이언트와 별개로 강화가 계속 유지되며 여러번 공격이 가능해졌다.[19] 룬 자이언트의 상향이 여러 카드들의 입지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안그래도 로얄 셰프와의 시너지로 높은 픽률을 보여주었던 자이언트 고블린이 더욱 좋아진 것은 물론 마이너한 카드 취급을 받았던 사냥꾼이 크게 강화되었고 얼마 전 버프를 받은 고블린 머신이 고인에서 벗어나고 무난한 카드로 부활하게 되었다. 굳이 시너지가 좋은 카드가 아니더라도 버프가 영구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공격 속도가 극도로 느리지만 않다면 웬만한 평균 이상의 효율을 자랑란다.[20] 물론 성능이 그만큼 애매하기는 했지만 이전에 출시된 수상한 수풀처럼 성능이 좋지 못한 카드를 긴급 패치로 상향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또한 로켓병이나 사냥꾼 같이 버그이거나 의도된 추가 데미지는 너무 과도하다며 상향 전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던 만큼 비판이 크다.[21] 룬 자이언트의 강화 효과와 다른 유닛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변경으로 전자의 경우 사냥꾼/로켓병에게 해당하며 추가 데미지가 이들이 발사하는 여러 개의 투사체에 나뉘어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냥꾼의 투사체는 10개이므로 11렙 기준 220의 추가 데미지가 각 투사체마다 10%로 분산되어 22의 추가 데미지를 입히게 된다. 후자는 자이언트 고블린/램 라이더/고블린 머신에게 해당하며 자이언트 고블린에 탑승한 창 고블린 2기, 램에 탑승한 라이더, 고블린 머신에 부착된 로켓은 룬 자이언트의 강화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22] 원래는 2월 벨런스 패치 때 적용될 내용이었다.[23] 아처, 다트 고블린, 아처 퀸, 리틀 프린스, 나무꾼, 인페르노 계열 등[24] 자이언트 해골은 애초부터 성별이 없지만 음성으로 추정하면 남성이였던 것으로 보이며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클래시 오브 클랜에 여성 유닛인 일렉트로 타이탄이 있긴 하나 이름이나 특징들을 토대로 보아 자이언트와는 다른 별개의 종족으로 보인다.[25] 다만 클래시 오브 클랜에서 자이언트의 슈퍼 유닛인 슈퍼 자이언트의 경우 대머리가 아니기에 클래시 로얄만을 포함할 때 최초이자 유일한 칭호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