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008b> | 클래시 로얄 카드 일람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미니언 | 아처 | 기사 | 창 고블린 | 고블린 | 폭탄병 | |
해골 병사 | 바바리안 | 일렉트로 스피릿 | 해골 드래곤 | 파이어 스피릿 | 박쥐 | |
로얄 훈련병 | 로얄 자이언트 | 아이스 스피릿 | 버서커 | 해골 통 | 고블린 갱 | |
엘리트 바바리안 | 미니언 패거리 | 로켓병 | 악동 | |||
희귀 카드 | ||||||
미니 P.E.K.K.A | 머스킷병 | 자이언트 | 발키리 | 메가 미니언 | 배틀 램 | |
마법사 | 플라잉 머신 | 호그 라이더 | 로얄 호그 | 삼총사 | 전투 치유사 | |
얼음 골렘 | 다트 고블린 | 용광로 | 감전돌이 | 고블린 데몰리셔 | 힐링 스피릿 | |
수상한 수풀 | 엘릭서 골렘 | |||||
영웅 카드 | ||||||
가드 | 베이비 드래곤 | 해골 군대 | 마녀 | P.E.K.K.A | 다크 프린스 | |
프린스 | 해골 비행선 | 자이언트 해골 | 룬 자이언트 | 자이언트 고블린 | 사냥꾼 | |
골렘 | 일렉트로 드래곤 | 해골 돌격병 | 일렉트로 자이언트 | 볼러 | 도끼맨 | |
대포 카트 | ||||||
전설 카드 | ||||||
메가 나이트 | 램 라이더 | 일렉트로 마법사 | 인페르노 드래곤 | 스파키 | 광부 | |
프린세스 | 피닉스 | 로얄 고스트 | 얼음 마법사 | 마법 아처 | 도둑 | |
라바 하운드 | 암흑 마녀 | 나무꾼 | 스피릿 엠프레스 | 고블린 머신 | 엄마 마녀 | |
낚시꾼 | ||||||
챔피언 카드 | ||||||
골드 나이트 | 해골 킹 | 대장 도둑 | 아처 퀸 | 능력자 광부 | 고블린슈타인 | |
리틀 프린스 | 수도자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대포 | 박격포 | 뇌전탑 | ||||
희귀 카드 | ||||||
고블린 우리 | 고블린 오두막 | 해골 무덤 | 폭탄 타워 | 인페르노 타워 | 바바리안 오두막 | |
엘릭서 정제소 | ||||||
영웅 카드 | ||||||
대형 석궁 |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화살 | 감전 마법 | 거대 눈덩이 | 로얄 택배 | |||
희귀 카드 | ||||||
파이어 볼 | 로켓 | 지진 마법 | ||||
영웅 카드 | ||||||
고블린 통 | 번개 마법 | 얼음 마법 | 바바리안 통 | 독 마법 | 고블린 저주 | |
분노 마법 | 공허 마법 | 복제 마법 | 토네이도 | 반사경 | 파일:덩굴 마법.png 덩굴 마법 | |
전설 카드 | ||||||
통나무 | 무덤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진화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일반 카드 | |||||
진화 바바리안 | 진화 해골 병사 | 진화 로켓병 | 진화 로얄 자이언트 | 진화 기사 | 진화 로얄 훈련병 | ||
진화 박쥐 | 진화 아처 | 진화 아이스 스피릿 | 진화 폭탄병 | 진화 해골 통 | |||
희귀 카드 | |||||||
진화 발키리 | 진화 배틀 램 | 진화 마법사 | 진화 머스킷병 | 진화 다트 고블린 | 진화 용광로 | ||
영웅 카드 | |||||||
진화 해골 돌격병 | 진화 자이언트 고블린 | 진화 P.E.K.K.A | 진화 일렉트로 드래곤 | 진화 사냥꾼 | 진화 도끼맨 | ||
진화 마녀 | 진화 베이비 드래곤 | 진화 해골 군대 | |||||
전설 카드 | |||||||
진화 메가 나이트 | 진화 나무꾼 | 진화 인페르노 드래곤 | 진화 로얄 고스트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박격포 | 진화 뇌전탑 | 진화 대포 | ||||
희귀 카드 | ||||||
진화 고블린 우리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드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진화 감전 마법 | 진화 거대 눈덩이 | |||||
영웅 카드 | ||||||
진화 고블린 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타워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타워 프린세스 | ||||||
영웅 카드 | ||||||
대포 사수 | ||||||
전설 카드 | ||||||
단검 공작부인 | 로얄 셰프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삭제된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희귀 카드 | |||||
치유 마법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타워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베이비 고블린 |
}}}}}}}}} ||
기간 한정 카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슈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tablewidth=100%> 전설 카드 | |||||
슈퍼 라바 하운드 | 슈퍼 마녀 | 슈퍼 미니 P.E.K.K.A | 산타 호그 라이더 | 슈퍼 얼음 골렘 | 슈퍼 마법 아처 | ||
슈퍼 아처 | 마법사 트리오 | 슈퍼 나이트 | |||||
챔피언 카드 | |||||||
테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건물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일반 카드 | |||||
바바리안 런처 | ||||||
전설 카드 | ||||||
파티 오두막 | 로켓 사일로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전설 카드 | |||||
파티 로켓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이벤트 도전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유닛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영웅 카드 | |||||
쉘리 | 분노한 프린스 | ||||||
전설 카드 | |||||||
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마법 카드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일반 카드 | |||||
온기 |
}}}}}}}}} ||
공식 광고[1][2] |
모던 로얄 | ||||
얼음 골렘 메가 미니언 인페르노 드래곤 무덤 | → | 엘리트 바바리안 토네이도 복제 마법 일렉트로 마법사 | → | 배틀 램 고블린 갱 다트 고블린 도끼맨 |
1. 개요
엘리트 바바리안 Elite Barbarians 野蛮人精锐/エリートバーバリアン | |
| |
이 카드가 잠금 해제되는 아레나 | |
아레나 10 | 호그 마운틴 |
>업그레이드된 바바리안 한 쌍입니다. 일반 바바리안과 같지만 더 튼튼하고 좋으며 빠르고 강력합니다.
Spawns a pair of leveled up Barbarians. They're like regular Barbarians. only harder, better, faster and stronger.
Spawns a pair of leveled up Barbarians. They're like regular Barbarians. only harder, better, faster and stronger.
<rowcolor=#fff> 공격 속도 | 공격 대상 | 속도 | 사정거리 | 유닛 수 | 엘릭서 비용 | 희귀도 | 유형 |
1.4초 | 지상 | 빠름 | 근접:중거리 | x2 | 6 | 일반 | 유닛 |
클래시 오브 클랜의 6레벨 바바리안[3]이 쓴 도바킨 투구를 착용한 바바리안. 보통 엘바라고 줄여서 부른다.
2. 레벨별 스탯
<rowcolor=#fff> 레벨 | 체력 | 피해량 | 초당 피해량 |
1 | 524 | 150 | 107 |
2 | 576 | 165 | 118 |
3 | 634 | 181 | 129 |
4 | 697 | 199 | 142 |
5 | 765 | 219 | 156 |
6 | 838 | 240 | 171 |
7 | 922 | 264 | 189 |
8 | 1011 | 289 | 206 |
9 | 1110 | 318 | 227 |
10 | 1220 | 349 | 249 |
<rowcolor=#fff> 11 | 1341 | 384 | 274 |
12 | 1472 | 421 | 301 |
13 | 1619 | 463 | 331 |
14 | 1776 | 508 | 362 |
15(엘리트) | 1949 | 558 | 399 |
3. 성능
기존의 바바리안보다 능력치를 훨씬 더 강화시킨 대신 개체수를 줄인 버전으로, 일반 바바리안이 방어 중심이라면 이쪽은 역공용으로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적당히 높은 체력 덕에 웬만한 공격에는 쉽게 죽지 않으며, DPS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탱커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이동속도가 빨라서 잠깐이라도 방심하면 순식간에 타워에 붙는데, 이때 조금이라도 방치하는 순간 타워를 한순간에 실피로 만든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결국 서브 탱커이기에 개체 당 체력이 1500대 정도인데, 체력이 2000대 초중반인 능력자 광부, 비슷한 엘릭서 비용에 체력이 3000대를 넘는 헤비 탱커와 비교하면 체력이 많이 낮은 편이다. 유닛 수가 많거나 엘릭서 비용이 낮으면 개개인의 스탯이 높지 않아도 딱히 부각이 되지 않을 테지만 엘리트 바바리안은 6코스트에다가 딱 2기만 소환되어서 이 점이 특히 부각된다.
물론 코스트 대비 능력치가 낮을 뿐, 복수 단위 유닛을 기준으로 하면 충분히 합격점에 드는 수준이기에 레벨에 따른 성능 편차가 매우 큰 편인데, 2레벨만 차이가 나도 상성을 역전하는 상황이 자주 나온다. 그 덕에 상위권에서의 채용률과는 별개로 렙빨 문제가 많이 부각되는 중위권에서는 마법사, 마녀와 함께 많이 쓰이는 카드 중 하나이며, 이 중에서도 불합리함의 체감이 가장 심각하다.[4]
3.1. 장단점
장점 |
|
단점 |
|
4. 변천사
2016년 11월 1일 패치 전에 2주 간격으로 공개된다고 예고된 카드 4인방 중 하나였으며, 2016년 11월 25일에 출시되었다.출시 직후에는 평가가 좋지 않았는데, 6엘릭서라는 높은 비용에 능력치와 유닛 수가 어중간해서 일반 바바리안에 비해 수비 능력이 비교적 떨어지고 공격도 엘릭서 대비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볼러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상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때문인지 한 달도 되지 않아 12월 15일 밸런스 패치로 엘리트 바바리안이 상향되었는데, 공격력이 14%, 체력이 19%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0.1초 빨라졌으며, 체력이 무려 20% 가까이 증가해 거의 2레벨 치가 상향되어 생존성 측면도 크게 보완되었다. 그 결과 엘리트 바바리안의 근본적인 문제점이었던 애매한 능력치가 패치 후에는 일명 스탯 깡패로 돌변했다.
상향 후 연구가 진행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엄청난 OP 카드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채용률이 급상승했는데, 2017년 1월 10일 기준으로 전설 아레나에서의 채용률이 무려 40%를 넘으며 전체 카드 중 채용률 3위를 달성했다. 1, 2위가 범용 마법인 감전 마법과 통나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코스트 유닛임에도 불구하고 깡패 같은 능력치 하나로 채용률 최상위권을 달성한 엘리트 바바리안이 당시 얼마나 사기였는지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어느 정도였냐 하면 과거의 9레벨 엘리트 바바리안이 현재의 11레벨 엘리트 바바리안에 맞먹을 정도다. 7레벨 정도여도 1기만 붙으면 타워의 체력이 반피 가량 깎였으며, 호그 라이더나 분노 마법을 같이 쓰면 킹 타워까지 7초 만에 파괴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후 엘리트 바바리안을 카운터치기 위해 당시 고인이었던 바바리안과 볼러를 쓰게 되었다. 이 당시 엘리트 바바리안은 역사상 최강의 일반 카드로 불리며 인게임 최고의 사기 카드 중 하나로 여겨졌는데, 오래 전에 클래시 로얄을 접은 유저들도 이 당시의 엘리트 바바리안만은 기억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6]
결국 약 1달 후 패치로 조금씩 하향되면서 엘리트 바바리안의 평가가 낮아졌다. 그래도 엘리트 바바리안을 서포트용으로 쓰는 덱은 많았지만 이마저도 지속적인 너프로 사장되었다.
엘리트 바바리안의 지속적인 너프로 평가는 좋아지지 않았지만 다른 쪽으로 유명해졌는데, 바로 상술한 렙빨이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상위권에서의 채용률이 그다지 높지 않은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너프를 먹기도 했다.
2017년 9월 8일, 메가 나이트의 출시로 안 그래도 좁은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시간이 지나며 많은 유저들이 엘리트 바바리안 대처법을 익히기 시작했으며, 2019년 4월 15일 패치로 아레나 강등이 되지 않도록 변경되어 저아레나 양학이 불가능해졌다.
2019년 6월 패치로 공격력이 18%[7] 증가하는 대신 공격속도가 0.2초 느려졌다. DPS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지만 공격력이 증가해 두 번의 공격으로 머스킷병 등의 원거리 딜러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8] 단일 유닛을 상대로 더욱 강력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지만 물량 유닛에는 더욱 취약해졌는데, 페카나 프린스처럼 원딜러 처리+역공 유닛으로 역할을 바꾸기 위한 패치로 보인다.[9] 파격적인 패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상위권과 그랜드 도전에서도 오히려 잘 쓰이지 않는다. 감전 마법이 만렙인 렙빨러들은 고블린 갱 등의 물량 유닛을 쉽게 처리할 수 있어 전보다 렙빨 엘리트 바바리안이 훨씬 강력해졌다.[10]
이렇게 렙빨로 악명높은 카드이지만 레벨이 평준화되어 있는 상위권에서는 렙빨이 의미가 없을 뿐더러 오히려 코스트 대비 애매한 체력, 느린 공격속도, 높은 엘릭서 비용 때문에 대회에서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엘리트 바바리안도 어그로에 매우 취약한 유닛 중 하나인데, 상위권에서는 어그로 플레이에 익숙한 유저들이 많기 때문에 엘리트 바바리안을 낼 때마다 엘릭서 손해만 보기 십상이다.
그렇게 2017년 초 전성기 이후 약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관짝에서 나오지 못하는 신세였지만 슈퍼셀이 드디어 엘리트 바바리안의 사정을 안타깝게 생각했는지 2020년 11월 패치로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대신 공격속도를 0.2초 빠르게 하고 공격력을 5.5%, 체력을 14% 증가시켰다. 이동속도가 느려진 것은 달갑지 않지만 능력치 상승만 보자면 4년 전 엘리트 바바리안을 OP급 유닛으로 만든 버프와 맞먹는 수준의 상향인 셈이다. 이 패치로 거의 2레벨치의 스탯이 상승했으며, 최상위권과 도전에서의 입지도 많이 높아졌다. 비록 이동속도가 느려져 예전처럼 무식하기 짝이 없는 속공은 조금 어려워졌지만[11] 체력의 상향과 맞물려 수비 후 엘리트 바바리안을 보조하기 위한 유닛을 붙이는 것이 쉬워져서 현 메타에서 중요시되는 역공 측면에서 강화되었기 때문에 성공적인 리메이크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이동속도는 느려졌지만 오히려 혼자 공격하다가 죽거나 어그로가 쉽게 끌리는 등의 문제점은 없어지고 수비 유닛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예전에는 깡스탯과 매우 빠른 이동속도를 믿고 기습 공격을 하는 방식의 운용이 좋았다면 이제는 깡스탯으로 상대방의 유닛을 수비한 후 역공을 가는 식의 운용의 효율이 올라간 셈이다.[12] 그래도 높은 코스트, 어중간한 유닛 수 등의 단점, 유저들의 실력 상향 평준화, 메타의 변화도 있고 해서 예전의 OP급 위상은 찾지 못했지만 최상위권 유저들도 채용을 많이 고려해 보는 카드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패치 후 시간이 조금 지난 후에는 래더와 그랜드 도전에서 코스트 문제로 잘 쓰지는 않는 편이지만 다재다능하기 때문에 그랜드 도전에서는 예전에 비해 평가가 확실히 개선되었고, 몇몇 덱에 넣기도 한다.
2021년 3월 30일, 첫 공격속도와 공격속도가 0.1초 빨라진 이후 옛 전성기를 다시 되찾았다.[13]
그러다가 2021년 4월 8일 긴급 패치로 첫 공격속도가 0.1초 느려졌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는 채용률이 낮아지지 않은 상태다.[14]
2021년 6월 7일 패치로 시야 거리가 9% 증가해 수비가 쉬워진 이후 채용률이 다소 낮아졌다. 그래도 2020년 11월 패치 이후로는 엘리트 바바리안이 단순 공격 유닛보다는 수비 유닛의 성향이 강해진데다 기본적인 스펙과 화력은 그대로인 덕에 큰 타격을 입지는 않았다.
2021년 10월에는 페카 덱과 메가 나이트 덱이 메타에 들며 다시 고인이 되었다.
2022년 4월 4일 패치로 메가 나이트가 너프를 먹고 간접 상향을 받은 삼총사와 같이 쓰이면서 채용률이 높아졌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메가 나이트가 상향되자 다시 채용률이 낮아졌다.
2023년 2월 기준으로는 메가 나이트가 높은 픽률을 자랑하고 있지만 헤비 탱커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 덕에 삼총사 덱, 자이언트 고블린 덱 등에 많이 들어가며 그랜드 픽률 30위권까지 반등했다.
그러나 2023년 6월에 바바리안이 좋은 성능의 진화를 받자 엘리트 바바리안의 입지가 낮아졌는데, 사실상 진화 바바리안이 거의 모든 면에서 엘리트 바바리안보다 좋은 성능을 자랑하기 때문에 1코스트를 더 내면서까지 엘리트 바바리안을 쓸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물론 엘리트 바바리안도 진화를 받는다면 평가가 어떻게 반전될지는 두고봐야 할 것이다.
이후 1년 동안 여러 밸런스 패치가 있었고, 진화 바바리안도 너프를 먹었지만 입지는 여전히 낮다. 설상가상으로 2024년 9월에는 진화 페카와 진화 메가 나이트가 출시되며 완벽히 사장되었고, 현재는 진화 해골 병사와 진화 메가 나이트의 픽률이 높은 상황 속에서 침체기를 겪고 있다. 2025년까지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며 픽률이 1%에 달하는 최하위권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5. 업데이트 내역
- 2016/12/15 패치로 체력이 19%, 공격력이 14%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1.5초에서 1.4초로 빨라졌다. (버프)
- 2017/1/27 패치로 체력이 4.4%, 공격력이 4% 감소하고 공격속도가 1.4초에서 1.5초로 느려졌다. (너프)
- 2017/4/24 패치로 체력이 4% 감소하고 첫 공격속도가 0.4초에서 0.5초로 느려졌다. (너프)
- 2018/6/20 패치로 해금 아레나가 아레나 7에서 아레나 10으로 변경되었다.
- 2019/6/3 패치로 공격력이 18%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1.5초에서 1.7초로, 첫 공격속도가 0.5초에서 0.7초로 느려졌다. (버프/너프)
- 2019/7/1 패치로 사정거리가 1에서 1.2로 증가하였다. (버프)
- 2020/11/2 패치로 체력이 14%, 공격력이 5.5% 증가하고 공격속도가 1.7초에서 1.5초로, 첫 공격속도가 0.7초에서 0.5초로 빨라졌으며, 이동속도가 매우 빠름에서 빠름으로 감소하였다. (버프/너프)[15]
- 2021/3/30 패치로 공격속도가 1.5초에서 1.4초로, 첫 공격속도가 0.5초에서 0.4초로 빨라졌다. (버프)
- 2021/4/8 긴급 패치로 첫 공격속도가 0.4초에서 0.5초로 느려졌다. (너프)
- 2021/6/7 패치로 시야 범위가 5.5에서 6으로 증가하였다. (너프)
6. 카운터 카드
P.E.K.K.A | 메가 나이트 |
페카는 높은 공격력으로, 메가 나이트는 높은 생성/점프 피해량으로 엘리트 바바리안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엘리트 바바리안의 공격을 받고도 체력이 많이 남기 때문에 역공을 가기에도 좋다. 다만, 엘리트 바바리안으로 메가 나이트를 막을 경우 바로 앞에 배치해 점프를 봉쇄할 수 있고,[16] 각 개체가 양옆으로 갈라지면서 쉽게 수비할 수 있어 오히려 엘리트 바바리안 쪽이 역공을 갈 수 있다. |
로켓 |
엘리트 바바리안을 동코스트로 처리할 수 있으며, 타워나 후속 유닛까지 같이 맞추면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다만, 범위가 좁고 투사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곳에 날려야 한다. |
볼러 |
지속적인 넉백 공격으로 엘리트 바바리안의 진격을 늦추며, 높은 체력으로 엘리트 바바리안의 공격을 몇 번 정도 버틴다. 다만, 양옆에서 오는 엘리트 바바리안의 경우 1기의 공격을 무방비 상태로 받을 수 있다. |
스파키 |
엄청난 광역 공격력으로 엘리트 바바리안을 처리할 수 있지만 마비 및 빙결 효과에 취약하기 때문에 단독 수비는 안정적이지 못한 편이다. 버프 이전에는 엘리트 바바리안을 한방에 처리할 수 있어 엘리트 바바리안의 카운터였지만 버프 이후 체력을 10만 남기고 한방에 처리할 수 없게 되면서 조금이나마 할만해졌다. 물론 스파키 쪽에서 타워와 함께 수비하면 체력 10은 의미없지만 엘릭서가 부족하고 탱커까지 붙으면 이 10이 크게 느껴진다. |
7. 기타
- 예전에는 희대의 사기 카드였지만 어느샌가 입지가 많이 낮아졌다. 최하위권의 픽률을 가졌음에도 버프 대상에서 거의 항상 제외되었지만 2020년 11월 3일 패치로 버프를 받으며 다시 부활했다.[18]
- 2020년 11월 3일 패치 이후 엘리트 바바리안의 공격력과 체력은 일반 바바리안의 2배이다.[19]
- 마법사, 마녀, 호그 라이더, P.E.K.K.A, 골렘, 로얄 자이언트, 메가 나이트, 일렉트로 자이언트, 반사경과 함께 클래시 로얄 양학과 렙빨의 대명사이기도 하다.[20] 레벨을 많이 올린 후 하위권에서 엘리트 바바리안과 분노 마법을 쓰면 상대방은 아무리 수비해도 대부분은 타워를 내주게 되는데, 그래서 대놓고 분노 마법의 설명에 엘리트 바바리안과 같이 사용하면 좋다고 권장해 놓았다. 아예 커뮤니티에서는 엘바충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 클래시 로얄 개발자가 가장 후회하는 것은 엘리트 바바리안과 로얄 자이언트를 만든 것이라고 한다.
- 원래 일반 바바리안보다 목소리의 음정이 낮았으나, 어느순간부터 일반 바바리안과 동일하게 바뀌었다.
8. 관련 문서
[1] 한국 유튜브 계정에 올라온 한글 영상은 이 컨셉을 극대화했다. 표기법이 크게 바뀌기 전이 배경이라 클래쉬로우얄, 왔읍니다 등의 표기를 볼 수 있다.[2] 맨 오른쪽에 있는 남자는 붐비치의 중화기병의 모습을 하고 있다.[3]
[4] 다만, 최근에는 메가 나이트 등에 밀려 이러한 이미지가 조금 묻힌 감이 있다.[5] 분노 마법을 쓰면 체력이 높은 유닛을 순식간에 처리하지만 달리 말하자면 분노 마법을 써야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기에 엘릭서 손해가 크다.[6] 이 당시 엘바의 사기성은 유명한 사기카드인 출시 당시 아처 퀸과 피닉스, 리메이크 직후 용광로는 아득히 뛰어넘고, , 16년도 자이언트 + 독, 19년도 도끼맨과 비견될 정도이며 출시 직후 암흑마녀, 베타테스트 석궁보다는 살짝 못 미치는 정도이다.[7] 능력치 증가/감소율이 10%를 넘기지 못하던 최근 패치들과 다르게 이례적이다.[8] 참고로 현재의 9레벨 엘리트 바바리안이 버프 이전의 11레벨 엘리트 바바리안과 거의 비슷한 딜을 넣는다.[9] 원딜러 처리 속도는 엘리트 바바리안이 프린스보다 빠르고 총합 체력도 높은데다 이동속도도 더 빠르지만 물량 유닛이라 광역 공격 유닛에 취약한 편이다. 페카와 비교해 보면 공격 1회의 딜량과 체력이 달리지만 빠른 이동속도 덕에 속공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10] 다만, 전보다는 덜 보이는 편이다. 엘리트 바바리안보다 안정성이 높고 성능이 더 좋은 로얄 자이언트가 있고, 그냥 자이언트나 골렘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더 쉽고 더 강해서 이쪽을 자주 쓴다.[11] 이동속도가 느려지긴 했어도 빠름 속도이기 때문에 속공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중위권에서는 스탯의 상향 덕에 아직도 이 전법이 강력할 때도 많다.[12] 이런 점에서 미니 P.E.K.K.A와 비슷해졌다. 차이점은 이쪽은 개체 하나하나가 미니 P.E.K.K.A만큼 튼튼하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로는 엘릭서 비용이 높은 탓에 기본 P.E.K.K.A의 포지션이지만.[13] 현재 엘리트 바바리안은 마법을 제외하면 그랜드 도전과 탑 1000에서 픽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른 도전들에서도 상위권에 속해있으며, 픽률이 얼마나 높아졌는지에 대한 수치만 봤을 때 거의 모든 수치에서 1위로 올라있다.[14] 2021년 5월 22일 기준으로 채용률이 22%이다.[15] 이 패치 이후 스파키의 공격을 1번 견디며 스파키를 이기게 되었다.[16] 자신의 엘리트 바바리안 레벨이 메가 나이트보다 2 이상 높고 분노 마법까지 쓰면 간신히 이긴다.[17] 미식축구는 잦은 몸싸움과 터치다운이 있는 것을 보면 거칠고 투박한 컨셉의 엘리트 바바리안과 흡사하다.[18] 3000점대 후반~4000점대 중후반에서는 한때 렙빨러들이 로자파와 엘바파로 나뉘며 렙빨러들끼리 세력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엘리트 바바리안은 너프와 함께 카운터 카드가 다수 등장하면서 몰락하게 된 반면, 로얄 자이언트는 버프를 받으면서 더욱 흉악한 성능을 자랑하게 되었다.[19] 11레벨 기준 바바리안의 공격력과 체력은 각각 192, 670이며, 엘리트 바바리안의 공격력과 체력은 각각 384, 1341이다.[20] 페카는 위니 유닛 등에 어그로가 잘 끌려 단독으로 쓰면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미니언 패거리의 경우 자신의 미니언 패거리가 14레벨이어도 10레벨 화살에도 한방에 죽으므로 상대방에게 화살이 있다면 렙빨을 받지 못한다.[21] 로얄 자이언트의 소환음과 유사하나 조금 더 저음에 낮게 깔리는 음색이다.[22] 칼이 충돌하는 소리, 바바리안들의 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