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5:54:42

몬테네그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몬테네그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40308><colbgcolor=#d4af3a> 상징 국가 · 국호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두클랴 ·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몬테네그로 공국 · 몬테네그로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공화국)
정치 의회 · 몬테네그로 대통령 · 몬테네그로 총리
외교 외교 전반
경제 경제 전반 · 유로(비협약)
문화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어 · 세르비아 정교회
도시 체티네 · 포드고리차 · 코토르
민족 몬테네그로인
}}}}}}}}} ||

1. 개요2. 고대3. 중세4. 근세5. 근대6. 현대

[clearfix]

1. 개요

몬테네그로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

2. 고대

6세기동로마 제국황제 헤라클리우스의 권유로 세르비아인들이 정착하게 되면서 아드리아 해 해안과 세르비아 중서부에 5개의 공국을 형성했는데, 현 몬테네그로 지역에 그 중 하나인 두클랴(Дукља)라는 공국이 있었다.

3. 중세

파일:9세기 세르비아 공국들.png
9세기 세르비아 공국들 (오른쪽의 회색 영역은 세르비아(Србија) 혹은 라슈카(Рашка), 왼쪽은 북쪽부터 순서대로 파가니야(Паганија), 자후믈레(Захумље), 트라부니야(Травунија), 두클랴(Дукља)이다)

두클랴는 10세기 중반 세르비아의 주도권을 쥐고 있던 라슈카가 동로마 제국에 정복당해 직할령으로 편입되자, 세르비아계 공국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잡고 콘스탄틴 보딘(Константин Бодин, 재위 1081~1099)의 재위 하에서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보딘 사후 몰락하다가 세르비아 왕국 네마니치 왕가(Немањић)의 초대 군주 스테판 네마냐(Стефан Немања, 재위 1166~1196)의 지배하로 들어갔다. 그러다가 14세기 스테판 우로시 5세(Стефан Урош V, 재위 1355~1371)의 죽음 이후 네마니치 왕가의 대가 끊기자 제타 공국(Кнежевина Зета)으로 독립했다. 제타 공국의 발시치 가문(Балшићи/Balšići)은 자신들을 정복한 세르비아 및 자신들이 적대시하던 동로마가 정교회를 믿는다는 점을 들어 강력한 가톨릭 국가를 추구했다.[1]

발시치 가문이 1419년 아드리아해의 상권을 둘러싼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로 몰락한 후, 몬테네그로에는 츠르노예비치 왕조(Црнојевићи/Crnojevići)가 들어섰는데, 이 왕조는 오스만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1451년부터 1496년이라는 45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존속하였지만 몬테네그로의 현지 국호인 츠르나 고라(Црна Гора)의 기원이 되었으며, 몬테네그로의 중심지를 슈코더르 호수 연안의 쟈블랴크(Жабљак/Žabljak)에서 오늘날 체티네로 천도하여 끝까지 저항하면서 훗날의 몬테네그로인들에게 저항정신과 독립 추진에 대한 원동력을 제공하였다.[2]

4. 근세

이후 1498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점령지의 행정을 지방 엘리트의 개종과 예니체리 징집으로 포섭하여 한 두세대 정도의 기간을 두고 중앙의 통치 아래로 끌어 오는 것을 주 정책으로 삼았다.[3] 그런데 몬테네그로 지역은 일단 자체적인 지형만으로도 제대로 다스리기 더럽게 힘든 지형이고, 이 지형이 또 역사적 상황과 시너지 효과를 내어 오스만 제국의 발칸반도 정복 과정에서 끝까지 오스만 체제를 거부한 발칸 반도 공국의 유랑민들이 대거 몰려 들어와 리즈 시절의 오스만 제국에서도 그냥 손 놓아버리고 몬테네그로 토착 유지들에게 맡겨버렸고 결과적으로 정교회 주교들의 자치령이 수립되어 사실상의 독립을 영유했다.

1696년에 다닐로가 정교회 체티네 주교가 되었고, 세습제를 확립하면서 몬테네그로 구왕가인 '페트로비치네고시(Petrović-Njegoš) 왕조'의 시조가 된다. 물론 성직자는 자녀를 가지지 못하기에 숙질계승으로 세습했다.

1766년에는 표트르 3세를 자칭하는 남자가 나타나서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의 바실리예 주교를 러시아로 쫓아내고 지배권을 획득하기도 했는데, 그는 사실 '작은 슈체판(Šćepan Mali)'이라는 농부였다. 하지만 상당히 유능한 인물로 오스만과 베네치아의 공격을 물리치고, 기겁해서 제거하려던 러시아로부터도 결국 인정을 받아 한동안 몬테네그로를 잘 다스리다가 1773년 오스만에 암살당했다. 그리고 1782년 다시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에서 페타르가 주교가 된다.

5. 근대

그렇게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의 숙질간 세습 주교제가 이어지다 1852년 다닐로 2세 주교가 세속군주임을 선언하고 몬테네그로 공국을 선언, 다닐로 1세가 된다. 하지만 딸만 하나를 둔 채 1860년 요절하여 또 숙질계승으로 니콜라 1세가 즉위한다.

니콜라 1세는 1918년 세르비아에게 폐위될 때까지 58년간(몬테네그로 공으로 50년, 1910년 몬테네그로 왕국 선포 후 왕으로 8년) 재위하면서 12명의 자녀를 낳아 10명이 성인으로 자라 이탈리아, 세르비아, 러시아의 왕족들과 혼인관계를 맺어서 "유럽의 장인"이라고 불렸다.[4] 하지만 20세기 초까지 유럽에선 몬테네그로라는 나라도 있었냐?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를 정도로 알려지지 않았던 나라였다.[5]

6. 현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3em; letter-spacing: -0.7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e333a>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colcolor=#fca453>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왕국
혼란기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알바니아 왕국
구 유고 유고 연방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 마케도니아
내전 유고 연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신유고 연방
세르비아 공화국 | 몬테네그로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릅스카 공화국
21세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공화국 | 몬테네그로 공화국
코소보 전쟁
UN 과도정부
세르비아 공화국 코소보 공화국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

공국이었던 몬테네그로는 1910년몬테네그로 왕국을 선언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동맹군에게 국토가 점령을 당하고, 전쟁이 끝나나 했더니 맏사위인 세르비아 국왕에 의해서 독립을 상실하고[6]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하여 1919년 1월 몬테네그로 내에서 녹백내전(녹군은 독립 진영, 백군은 친유고 진영)이 일어났으나 백군이 이겼다. 니콜라 1세와 몬테네그로 왕실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프랑스에 망명정부를 세웠으나, 1929년 니콜라 1세의 손자이자 왕실 수장 미하일로(1908-1986)[7]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합병을 인정하여 망명정부가 끝난다. 이 사람의 인생도 파란만장한데 제2차 세계 대전프랑스에서 가난하게 살고있던 와중에 추축국 측이 괴뢰국의 대표를 제안했다가 거절당하기도 했고, 전쟁 후 티토에게서 두둑한 종신연금을 받았지만, 결국 티토 정권에 실망한 뒤 프랑스에 살면서 반티토 활동을 하다가 죽었다.

그러다가 1940년 유고슬라비아가 추축군에 의해 점령되며 몬테네그로는 이탈리아 왕국병합되었다. 몬테네그로인들은 이탈리아군에 대항하여 봉기하지만, 이탈리아는 이를 진압하고 이 과정에서 몬테네그로인들을 학살했다. 1943년 이탈리아는 물러갔고, 나치 독일이 1년간 지배하다가 1944년 해방되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몬테네그로도 독립 단위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일원으로 다른 나라들이 다 떨어져나갈 때도 신유고 연방, 세르비아 몬테네그로(Државна Заједница Србија и Црна Гор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 통칭 신 유고 연방)를 구성했지만 신 유고연방에서 코소보 문제가 불거지는 와중에 분리 의견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세르비아의 코소보 독립을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가 "구 유고 연방 시절에도 코소보는 세르비아 공화국이었다"라는 것인데, 그런 논리라면 몬테네그로는 구 유고 연방 시절에도 별개 공화국이었으니 분리해도 이상할 것이 없지만 세르비아에 제법 친근감이 있었기 때문에 끝까지 신 유고 연방에 남아있었던 것이다.[8]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겪으면서 세르비아가 전범 국가로 전락하고 제재와 폭격을 같이 당하다보니 독립 노선이 대두되었다.

결국 2003년 신유고 연방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바뀌면서 3년 뒤에 몬테네그로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하기로 합의했고, 결국 2006년 5월 21일 국민투표# 결과 찬성이 55.5%로 나와[9]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했다. 구체적으로는 6월 3일 몬테네그로 의회[10]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6월 21일 UN에 192번째로 가입하였다. 이로써 세르비아는 신유고 연방 시절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해안지대였던 몬테네그로를 잃고 내륙국으로 전락했다. 이 독립 과정은 2006년 독일 월드컵(6월 9일~7월 9일) 도중에 이루어졌는데, 월드컵 축구팀은 마지막으로 세르비아-몬테네그로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기로 했다.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에서는 그나마 세르비아에 우호적인 편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항상 세르비아 편만 드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몬테네그로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다만 세르비아인들도 2010년대쯤부터는 자신들이 이웃들과 함께 서로 싸질러 놓은 사고의 규모와 발칸반도를 넘어선 코소보 문제의 민감함을 모르는게 아닌 탓에 몬테네그로의 결정을 섭섭해하면서도 크게 비분강개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2015년부터 다음해까지 몬테네그로에서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있었다. 그리고 이후 2016년 10월 16일 총선 당일에 세르비아 헌병 대장을 포함하여 20명의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국적 사람들이 쿠데타 혐의로 체포되었다. 몬테네그로가 서방으로 돌아서는 것을 막기 위한 세르비아와 러시아의 음모로 보고 있으며, 러시아는 쿠데타 음모 가담에 대하여 부인했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미국의 찬성 주도로 NATO에 공식적으로 가입했고(러시아는 이에 반발했다), 2019년에 기소된 이들에 대한 판결이 있었다.

[1] 출처: 김철민, 《문화와 사회로 발칸유럽 들여다보기》, (2013,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200[2] 출처: 김철민·김원회, 《또 하나의 유럽, 발칸유럽을 읽는 키워드》, (2009,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60-p161[3] 오스만 제국에서는 현지 지배층의 개종과 그 자제를 제국의 행정, 군사 엘리트로 끌어 넣는 간접 통치 기간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대부분 토착 귀족과 유지들을 개종시키고 이들의 자식들을 코스탄티니예로 보내며, 이 와중에 끝까지 반항하는 세력은 철저하게 갈아 버린 다음에 밀레트 제도에 따라 농촌 단위로 농민들을 묶어 자치를 실시한다. 그런데 몬테네그로와 보스니아의 일부 지역은 워낙 월경지적 성격이 강하고, 지형이 험난하며, 제국 중앙 정부에 포섭당할 생각도 없어서 끝까지 이 간접 통치의 과도기가 결국 영구적으로 정착해 버렸다. 오스만 제국령 유럽 밖을 보자면 바르바리 해적들이 자치하던 북아프리카 영토나 맘루크들이 지배하던 이집트 등이 추가된다.[4] 또다른 당시 유럽의 장인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 이탈리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왕비 엘레나가 니콜라 1세의 넷째딸이다.[5] 김영사의 앗! 시리즈 혁명이 이글이글에선 20세기 초만 해도 몬테네그로란 나라가 유럽에서 미지의 나라였다고 나왔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중세풍 옷차림이나 여러가지 생활양식이 남아있기까지 했다.[6] 세르비아 페타르 1세의 왕비가 니콜라 1세의 맏딸 조르카였지만 1890년에 셋째아들을 사산하고 사망.[7] 몬테네그로 왕가의 현 당주 니콜라 2세의 아버지다.[8] 사실 기원을 따지고 보면 세르비아인과는 같은 민족이었고 문화도 공유했다. 민족 정체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근대부터. 멀리까지 갈 것도 없이 공산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세르비아인이어도 몬테네그로에 살면 몬테네그로인이라는 식으로 인구조사에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본인 정체성을 세르비아인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몬테네그로 인구의 30% 가까이 된다.[9] 특이하게 독립 가결선이 50%가 아닌 55%였기에 매우 근소하게 가결선을 넘은 셈이다. 만약 부결되었다면 2009년에 한 번 더 독립 투표를 하기로 정해져 있었다.[10]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부터 연방 국가였으므로 독립 이전에도 각 자치국은 각자의 의회가 존재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4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4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