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08:31:23

민주진보당

민진당(대만)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다른 정당}}}에 대한 내용은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정식 명칭이 민진당인 일본의 당}}}에 대한 내용은 [[민진당(일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민진당(일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민진당(일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다른 정당: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민주진보당(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정식 명칭이 민진당인 일본의 당: }}}[[민진당(일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민진당(일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민진당(일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의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범록연맹 ● 민주진보당, ● 대만기진, ● 대만단결연맹, ● 사회민주당, ● 녹색당
범람연맹 (좁은 의미) ● 중국국민당, ● 신당, ● 무당단결연맹
범귤연맹 ● 친민당
제3세력 ● 대만민중당, ● 시대역량, ● 소민참정오바상연맹, ● 인민민주당, ● 노동당, ● 중화통일촉진당 }}}}}}}}}

{{{#!wiki style="margin: -7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d2680><tablebgcolor=#0d2680>
파일:중화민국 입법원 휘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진보당 흰색 로고.svg
민주진보당

51석
야당
파일:중국국민당 휘장.svg
중국국민당

52석
파일:대만민중당 로고_배경.svg
대만민중당

8석
무소속
2석
재적
113석
}}}}}}}}}
파일:민주진보당 로고.svg파일:민주진보당 흰색 로고.svg
민주진보당
民主進步黨 | Democratic Progressive Party(DPP)
<colbgcolor=#f5f5f5,#0d2f34><colcolor=#00A041> 창당일 1986년 9월 28일 ([age(1986-09-28)]주년)
중앙당사
타이베이시 중정구 베이핑로 30
주석 라이칭더, / 4선 (4·5·6·7대, 총통),
당 비서장 양이산
원내대표 커젠밍, / 10선 (2-11대),
사무총장 우쓰야오, / 3선 (9-11대),
입법원 비서장 좡루이슝, / 4선 (8-11대),
이념 진보주의 (대만)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타이완 내셔널리즘
반제국주의[1][2]
내부 계파:
스펙트럼 중도좌파[5][6]
입법위원
51석 / 113석 (45.13%)
직할시/현시장
6석 / 22석 (27.3%)
지방의회의원
277석 / 910석 (30.4%)
당색
녹색 (#00A041)
국제조직

아시아
정당조직
아시아 자유민주협의회
청년조직 민주진보당 청년부 (DPP Youth)
정책연구소 신경계 문교기금회
정당연맹 범록연맹
당원 수 240,000명 (2023년 기준)
당기 파일:대만 민진당 당기.svg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라인 블로그 아이콘.jpg

1. 개요2. 노선3. 내부 계파4. 지도부5. 역사6. 기타7. 역대 선거결과
7.1. 정부총통 선거7.2. 입법위원 선거7.3. 기타 선거

1. 개요

민주진보당(民主進步黨), 약칭 민진당(民進黨)대만진보주의, 사회자유주의 성향의 정당이다. 현 집권 여당이며 범록연맹을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다. 1986년 9월 28일 창당했다.

2. 노선

파일:Flag_of_World_Taiwanese_Congress.svg
타이완 내셔널리즘 · 독립운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기초 개념 대만인 · 반제국주의(자결권 · 탈중국화) · 진보주의 · 포르모사
이론 대만공식 · 대만 주권 미정론 · 두 개의 중국화독 · 일중일대
분파 대만가치 · 타이완 독립운동*(대독좌파) · 타이완 본토화 운동 · 화독
역사 2.28 사건 · 다두 왕국 · 대만의 민주화 운동(메이리다오 사건) · 대만일치시기 당시 항일 독립운동 · 동녕국 · 타이완 민주국 · 타이완섬/역사 · 해바라기 운동
주요 정당 범록 계열 녹색당 · 대만기진 · 대만단결연맹 · 민주진보당 · 사회민주당
비범록 계열 국제사회주의발전 · 시대역량
사라진 정당 건국당 · 대만혁명당 · 일변일국행동당
대만일치시기 대만공산당 · 대만문화협회 · 대만민중당
인물 라이칭더 · 리덩후이 · 뤼슈롄 · 샤오메이친 · 스밍 · 장웨이수이대만일치시기 · 정난룽 · 차이잉원화독 · 천수이볜
언론 빈과일보 · 삼립 텔레비전 · 자유시보
그 외 대만중국 일변일국 · 대만취청 · 범록연맹 · 탈장화
* '화독'과 대조적으로 '대독'이라고도 한다. }}}}}}}}}

대만 민족주의 혹은 자립주의와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를 지향하며, 보수주의 및 중화 민족주의를 추구하는 중국국민당과는 대립 관계이다.[7]

양안관계에서 대만 민족주의와 대만 자체의 독립을 지향하는 범록연맹의 중추 정당이다. 양안통일은 대륙 주도/대만(중화민국) 주도 양쪽 다 반대하는 입장이다. 다만 당장 독립을 선포해 중국과 싸우겠다는 건 아니고 일단은 현상유지가 현재 당의 노선이다. 현재의 민주진보당은 양안통일을 지향하는 국민당을 비롯한 대만의 주요 보수주의자들에게 여전히 비판적이지만, 동시에 대만 내 강경 반중+좌파 같은 급진적 대만 독립주의와도 선을 긋고 있어 과거처럼 확실한 대만 독립을 지향한다고 말하기는 애매해졌다. 화독 문서 참조. 그러나 차이잉원 이후 당권을 잡은 라이칭더샤오메이친 등은 다시 대독파 성향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그래도 중국국민당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대만 독립 노선에 더 가깝고 대만 민족주의를 고수하기 때문에 중국공산당에서는 이 정당의 세가 커지는 것을 싫어한다. 이 당의 세가 커지면 '녹색공포(綠色恐怖)'라고 하며 양안에 무슨 일이 터지면 민진당 당국이 양안 관계의 평화를 깨뜨린다고 주장한다.

당 창립 초기에는 강경한 대만 독립 노선을 추구했으며, 중화민국 정부를 '침략자의 체제'라고 부르며 중국적인 모든 것을 부정한 바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현실적인 노선으로 선회해 "대만은 독립국이지만 국호와 상징물(청천백일만지홍기, 중화민국 국가, 중화민국 국기가), 정부 조직은 기존의 것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하며 온건 노선을 타고 있다. 덕분에 중도 성향 유권자들 및 독립을 반대하지만 개혁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내 천수이볜 정권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8]

그 외에도 사회복지 증진과 환경에 대한 관심, 원전 반대, 인권 신장, 다민족사회 추구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나타나는 진보주의와 비슷한 이념을 내걸고 있다.

3. 내부 계파

파일:DPP_factions.png

민진당 내 계파는 크게 아래의 세력으로 나눌 수 있다.
  • 신조류계(新潮流系): 대만 내셔널리즘을 강하게 주장하는 계파로, 대표적인 인물은 라이칭더, 정원찬, 천쥐[9]가 있다.
  • 정상국가촉진회(正常國家促進會): 정국회(正國會)나 유계(系)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대만의 정상국가화를 주장하는 계파로, 유시쿤, 린자룽, 천어우포가 대표적이다. 위의 신조류계와는 암암리에 대립하고 있지만 셰창팅계와는 사이가 나쁘지 않다.
  • 용언회(湧言會): 구 셰창팅계 인사의 대부분을 흡수한 계파다.

4. 지도부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tablebordercolor=#00A041><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A041>
파일:민주진보당 휘장.svg
민주진보당
중앙당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파일:대만 민진당 당기.svg 중앙위원회
주석 <colbgcolor=#ffffff,#1F2023> 라이칭더
비서장 린시야오 부비서장 <colbgcolor=#ffffff,#1F2023> 가오싱쉐 · 린페이판 · 린허밍
중앙상무위원
(당연직)
당주석 라이칭더
직할시장 황웨이저 · 천치마이
당단삼장 커젠밍 (소집인) · 정윈펑 (간사장) · 천어우포 (서기장)
현장 및 시장대표 린즈젠
중앙상무위원 리쿤쩌 · 천마오송 · 량원제 · 천팅페이 · 우삥레이 · 황청궈 · 왕띵위 · 허즈웨이 · 쉬슈화 · 차이이위
중앙집행위원 당연직 린유창 (자이현장) · 웡장량 (지룽시장) · 판멍안 (핑둥현장)
황스제 · 랴오뻔옌 · 천따쥔 · 린쥔셴 · 청자오롱 · 조용홍 · 장뤠이송 · 쉬즈제 · 궈짜이친 · 린이팡
천치위 · 치우리리 · 쑤즈펀 · 홍젠이 · 천치넝 · 정홍훼이 · 뤼린샤오펑 · 조춘미 · 종페이링 · 차이창따
중앙평의위원 주임위원 강위청
천밍원 · 장펀위 · 린빠오싱 · 쉬자오싱 · 린이진 · 천스카이 · 천쿤롱 · 장즈하오 · 뤼쑨푸 · 양푸쥔
파일:대만 민진당 당기.svg 당무주책
정책위원회 집행장 류디하오 재무위원회 주임위원 천셩홍
정책위원회 부집행장 쑤콩즈 · 쉬훼이이 재무위원회 부집행장 천즈정
비서처 주임 린시우링 조직추진부 주임 라오셴런
사회운동부 주임 량하오루 언론반응부 주임 쑤팡허
미디어크리에이티브센터 주임 웡스하오 네트워크공동체센터 주임 판강하오
청년발전부 주임 차이무린 여성발전부 주임 쉬자옌
객가사무부 주임 저우장제 원주민족사무부 주임 체멜레사이 얄제간
중국사무부 주임 우쥔즈 국제사무부 주임 뤄즈정
대만민주학원 주임 린빙종 여론조사센터 주임 천보저우
회계실 주임 쉬메이화
역대 주석 }}}}}}}}}}}}

5.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주진보당/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주진보당/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주진보당/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 2010년대까지 중국국민당과 함께 대만의 양대 정당이었지만, 2020년대 들어 대만민중당이 상당히 치고 나오면서 3당 체제 비슷한 구도도 생겨나고 있다.
  • 홍콩에도 민주진보당이란 이름의 범민주파 성향 정당이 있다. 2015년 창당했는데 초기엔 대만 민주진보당의 성공 사례를 선망하여 당명을 정했다고 알려지기도 했지만, 홍콩 민진당 당수는 대만 민진당과 아무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이 당은 홍콩의 미래에 대해 홍콩 독립 외에도 영국 북아일랜드 방식의 최고도 자치권 획득, 홍콩이 중화민국의 일개 현(縣)이나 시(市)가 되는 방안, 미국/영국의 해외 속령이 되는 방안, 양광(광둥성광시 좡족 자치구)이 민주주의 연방국가를 형성할 때 가입하는 방안 등이 가능하며[10], 이 방안들은 모두 홍콩인들이 1인 1표제로 홍콩의 수장을 뽑을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이 버티고 있는 한 현실은 시궁창
  • 2016년 일본에 약칭이 같은 일본 민진당이 창당하자 대만 민주진보당의 당 대변인은 "동명의 정당이 증가함에 친근감을 느낀다. 축복한다."고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가자면 민진당이 일본 중시 외교정책을 취한다고 해서 무조건 일본 자민당 편을 들어준다는 것은 아닌데 사실 대만 민진당의 성향은 자민당보단 일본 민진당과 가깝고, 자민당과의 관계는 단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관계인 포지션이 강하다. 민주당도 마찬가지. 일본의 극우 성향의 네티즌들이 일본 민진당 창당 이후 대만 민진당에서 "불쾌하다"라는 논평을 냈다는 허위 소문을 퍼뜨리기도 했는데 사실이 아니다. 다만 일본 민진당은 2년 만에 짧은 역사를 마감하고 국민민주당으로 신설 합당되었다.
  • 과거 민주노동당이 창당할 당시 당명 최종 후보로 경합했던 이름 역시 민주진보당이었다.
  • 2017년 8월, 30대 한국인 조 모씨가 타이베이의 민진당 당사에 침입해 9만 대만 달러(한국돈 3백만원 상당)의 현금을 훔쳐 수배를 받다가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 2020년 7월말 민주진보당 입법위원 쑤전칭(蘇震清)을 비롯하여 중국국민당 입법위원 랴오궈둥(廖國棟), 천차오밍(陳超明), 시대역량 전 당대표 쉬융밍(徐永明), 무소속 의원 자오정위(趙正宇) 등이 SOGO 백화점 경영권 승계 및 수뢰 혐의로 구속되었다. 중국국민당에서 두 명이나 걸렸지만, 받은 액수가 쑤전칭이 2000만 뉴 타이완 달러로 가장 많고, 쑤전칭이 행사 때마다 럭셔리 시계를 바꿔 착용한 것도 문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쑤전칭의 삼촌 쑤자취안이 총통부 비서실장직을 사퇴하였고 2008년 천수이볜 전 총통 구속 이후 한 번 더 민진당의 도덕성에 도전을 받게 되었다.
  • 적대 관계인 중국국민당 지지자들에게는 '탈레반(塔班)'이라는 멸칭으로 불린다. 탈레반을 뜻하는 塔律班에서 가운데 글자만 발음이 같은 '綠'(녹)으로 바꾼 것이다. 하도 유명해진 말이라 중국어 위키백과에 문서까지 만들어질 정도다.(...) #
  • 단교 상태인지라 한국정당과 민주진보당 관련 교류는 개인적 교류 외엔 거의 없는 편인데, 그래도 비슷한 민주화 역사를 가졌다는 점에서[11] 민진당 개별 인사들이 한국 민주진보 진영과 교류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론 더 많은 편이었다. 그런데 뜬금없이 2024년 한국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 민주진보당 산하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이 “한국 국회가 친북 세력에 의해 통제되고 있고, (윤석열) 대통령은 자유 헌정 체제를 수호하기 위해 긴급히 계엄령을 선포했다”면서 "중국 본토의 압박을 받는 대만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강조하는 내용을 썼다 큰 비판을 받고 “국제 소식을 전한 것일 뿐이며, 대만 내 정치 상황과 대조해봤을 뿐 계엄을 지지하는 뜻은 절대 없었다”라는 해명과 함께 글을 삭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
    당연히 이 일은 대만 내에서 큰 정치적 이슈로 비화됐는데, 국민당주리룬 주석은 "믿을 수 없다. 전 세계가 민주진보당에 실망했다"고 비판했으며 당 차원에서 "라이칭더 총통은 전 세계에 공개적으로 사과하라"는 논평을 냈다. 웃픈건, 과거 대만 계엄령의 주범이었던 국민당이 한국 계엄령을 비판하고, 대만 계엄령에 맞서 싸운 투사들이 창당한 민진당의 SNS가[12] 오히려 한국 계엄령을 옹호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 것인데, 논란이 커지자 민진당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부랴부랴 해명하고 계엄령을 비판하는 성명을 게시, 문제의 게시물을 쓴 홍보 담당자는 즉각 직무를 정지시켰다.
    허나 이후에도 여진이 이어지자 라이칭더 총통은 12월 7일 '세계 인권의 날' 공식 기념사에서 "역사의 잘못은 용서할 수 있지만 잘못된 역사는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대만이 38년간 계엄 통치를 겪으며 경제, 법치, 인권에 매우 큰 상처를 입었고 지금 사회도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과거의 정의롭지 못한 역사에 겸허한 자세로 대처하고 대중이 권위주의 통치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라는 입장을 직접 내놓으면서 사태를 진화시켰다.# 이 사건의 정치적 후폭풍이 컸는지, 12월 18일 대만 유권자의 63.6%가 "민진당이 한국의 비상계엄을 옹호하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린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까지 나왔다. 모름이나 의견 유보를 빼면 옹호하는 응답자는 9.5%였다. #
  • 그렇게 민진당 일개 당직자의 돌출 행동으로 일단락되나 싶었는데, 한국에서 2025년 6월 이재명 정부로의 정권교체 후[13] 7월 내란 특검이 진행되는 와중에, 민진당의 계엄선포 옹호가 알고 보니 계엄 사태의 주범 중 하나인 문상호정보사령관의 사전 밑작업 영향일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2024년 12월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불과 몇일 전인 11월 25일부터 29일까지 문상호 당시 정보사령관은 대만 출장을 다녀왔는데, 보도에 따르면 이 출장의 목적이 '대만 측에 비상계엄 지지를 요청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14] 군 관계자는 "대만 군사정보국이 집권당인 민진당과 매우 가까워서 문 전 사령관이 대만에 비상계엄 지지를 유도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들었다"는 내용을 증언했다고 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뜬금없는 민진당의 계엄선포 옹호가 왜 일어난 것인지 그 내막을 알 수 있게 된다.[15] 다만 보도 다음 날 대만 당국은 해당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16] #
  • 허나 대만 당국이 부인한 것과 별개로 해당 보도가 대만에 전해지자, '민진당이 계엄을 하기 위해 국민당 의원을 파면하려 한다'는 음모론이 대만 내에서 급격히 퍼졌고, 야당인 국민당라이칭더 총통과 집권당인 민진당을 향해 "민진당의 국회 무시가 한국 계엄과 닮았다"고 비난했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민진당 정부가 야심차게 밀어붙였던 2025년 대만 대규모 주민소환 승부수가 급격히 동력을 잃으며 민진당이 투표에서 대참패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심지어 대만군 훈련이 시민 학살 계엄 연습이라는 식의 이상한 음모론까지 도는 등, 엉뚱하게도 대만 국내 정치가 12.3 비상계엄 사태의 영향을 받는 모양새가 2025년까지 계속 이어졌다.

7. 역대 선거결과

7.1. 정부총통 선거

선거명 총통 후보 부총통 후보 득표율 결과
9대 펑민민 셰창팅 21.1% 낙선
10대 천수이볜 뤼슈롄 39.3% 당선
11대 천수이볜 뤼슈롄 50.1% 당선
12대 셰창팅 쑤전창 41.6% 낙선
13대 차이잉원 쑤자취안 45.6% 낙선
14대 차이잉원 천젠런 56.1% 당선
15대 차이잉원 라이칭더 57.1% 당선
16대 라이칭더 샤오메이친 40.1% 당선

7.2. 입법위원 선거

연도 선거명 지역구 (비율) 비례대표 (득표율) 총 의석 (비율) 결과
1992 2대 38/111 (34.2%) 11/30 (36.7%)
51/161 (31.7%)
원내 2당
1995 3대 41/111 (36.9%) 11/30 (36.7%)
54/164 (32.9%)
원내 2당
1998 4대 52/168 (31.0%) 15/41 (36.6%)
70/225 (31.1%)
원내 2당
2001 5대 69/168 (41.1%) 15/41 (36.6%)
87/225 (38.7%)
원내 1당
2004 6대 69/168 (41.1%) 16/41 (39.0%)
89/225 (39.6%)
원내 1당
2008 7대 13/73 (17.8%) 14/34 (36.9%)
27/113 (23.9%)
원내 2당
2012 8대 27/73 (37.0%) 13/34 (34.6%)
40/113 (35.4%)
원내 2당
2016 9대 49/73 (67.1%) 18/34 (44.1%)
68/113 (60.2%)
단독 과반
2020 10대 46/73 (63.0%) 13/34 (34.0%)
61/113 (54.0%)
단독 과반
2024 11대 36/73 (49.3%) 13/34 (36.2%)
51/113 (45.1%)
원내 2당

7.3. 기타 선거

1986년 입법원 선거 21/94 22.1%
1989년 선거
  • 입법원 21/130
  • 시장, 현장 6/21
1991년 국민대회 선거 66/325 23.2%
1993년 지방선거 6/21
1994년 지방선거
  • 성장, 시장 1/3
  • 성의회, 시의회 52/173
1996년 선거
  • 총통선거 펑밍민 21.1% 낙선
  • 국민대회 99/334
1997년 지방선거 시장/현장 13/21
1998년 선거
  • 지방선거 시장 1/2 시의회 27/96
  • 입법원 선거 70/224
2001년 지방선거 9/21
2002년 지방선거
  • 직할시장 1/2
2005년 지방선거 시장/현장 6/21
2005년 국민대회 선거 127/325
2006년 지방선거
  • 직할시장 1/2
  • 직할시의회 33/94
2009년 지방선거 시/현장 4/17
2010년 지방선거
  • 직할시장 2/5
  • 직할시의원 130/312
2014년 지방선거
  • 직할시장/현시장 13/21
2018년 지방선거
  • 직할시장/현시장 5/21
2022년 대만 지방공직인원 선거
  • 직할시장/현시장 5/22

[1] Chih-ming Wang (2006). Transpacific Articulations: Study Abroad and the Making of Asia/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p. 204.[2] 중화제국주의에 반대한다는 맥락에서 반제국주의이다.[3] 계파로는 미려도파, 녹색우의연선, 범영계 / 정치인으로는 차이잉원, 쑤전창, 천치마이 등 당내 온건파 세력.[4] 계파로는 일변일국연선, 신조류파, 민주활수연선, 정상국가촉진회 / 정치인으로는 천수이볜, 라이칭더, 유시쿤 등 당내 급진파 세력.[5] "Viewing Taiwan From the Left". Jacobin magazine. January 10, 2020.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Taiwan’s major centre-left party, emerged from the democracy movement.[6] 나무위키에서 인정하는 제도권 언론독일도이체 벨레에서 "The Taiwanese nationalist and centre-left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has been in power since 2016."라고 언급했다. #[7] 다만 민진당에도 쑤전창 전 행정원장 등 보수주의자가 일부는 있다.[8] 2000년 선거만 놓고 본다면 국민당 계열의 표 분산에 따른 어부지리라고 할 수 있겠지만 2004년 선거 때는 국민-친민 단일 후보가 출마했음에도 천수이볜이 이겼다.[9] 감찰원장 취임으로 지금은 탈당.[10] 홍콩의 민주운동가 조슈아 웡일국양제의 대체 방안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정부가 허용해줄 턱이 없기에 현실성은 떨어진다.[11] 2025년 대만 타이난 학생들이 5.18민주묘지를 참배하기도 했다.#[12] 당시에도 민진당 개별 의원들은 한국 계엄령을 비판하는 글을 SNS에 게재했었다.[13] 당시 라이칭더 총통도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는 글을 SNS에 올렸다.[14] 그런데 이 말이 사실이라면, 국내에서도 극비리에 진행된 계엄이 시행 몇일 전 이미 외국에까지 알려졌다는 소리가 된다.[15] 다만 타국 정치 상황에 뜬금없이 개입하는건 민진당 입장에선 손해만 날 확률이 높지 큰 이득도 없어서 설사 이런 일이 있었다손 치더라도 민진당 관계자 다수가 공유했을리는 없어보이고, 진짜 정권 차원에서 이런 짓을 벌인 것이라면 문상호가 허언일지언정 수교 미끼라도 던진거 아니냐는 농반진반 소리도 나왔는데, 그정도 미끼 아니면 설명이 안될 정도로 뭔가 그 내막이 심히 황당하고 어설프다는 느낌은 있다.[16] 이후엔 이재명 정부 눈치도 어느정도 보는지, 2025년 8월엔 방한 중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을 면담하려던 대만 과거사 담당 린밍신 장관 일행이, 그녀가 과거 윤석열이 임명한 극우 반동주의자로 이재명 정부의 이물질(...)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 황급히 면담을 취소하는 해프닝을 벌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