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3 17:07:11

범유럽 통합 교통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D84 0%, #003399 20%, #003399 80%, #012D8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FEC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399><colcolor=#ffcc00> 경제 <colcolor=#000,#ffcc00>유로 · 유럽 경제 지역 · 완전경제통합
정책 및 제도 CAP · EU AI법 · EU DSA · GDPR · 지리적 표시제 · 유럽 배출가스 기준 · 저작권법(논란) · 통계지역단위명명법
사업 유럽 문화 수도 · 호라이즌 유럽 · 에라스무스 프로그램 · 범유럽 통합 교통 네트워크
외교 여권 · ETIAS
친유럽주의 · 유럽회의주의(국가별)
유럽연합-러시아 관계 · 유럽연합-우크라이나 관계 · 유럽연합-벨라루스 관계 · 유럽연합-영국 관계 · 유럽연합-튀르키예 관계 · G7 · G20 · 신냉전
조약 및 협정 솅겐 협정 · 로마 조약 · 마스트리흐트 조약 · 한EU FTA · TTIP
산하 기구 유럽연합 정상회의(상임의장)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집행위원장) · 유럽의회(선거) · 유럽군 · EFSF · 유럽중앙은행 · 유럽투자은행 · 유로폴 · 유럽의약품청 · 유럽 원자력 공동체 · 유럽 대학 연구소 · 주한유럽연합대표부
전신 단체 루르 국제 통치령 ·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 유럽 경제 공동체 · 유럽 공동체
사건사고 유로화 사태 · 그렉시트 · 그리스 경제위기 · 브렉시트 · 폴렉시트 · 유럽의회 카타르 뇌물 스캔들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 아스피데스 작전
파생 문서 비판 및 문제점 · PIGS · 제4제국 · 확장 · 대중매체
회원국 일람 · 역대 상임의장 · 역대 집행위원장 · 역대 유럽중앙은행 총재 · 의회 원내 구성 }}}}}}}}}}}}

1. 개요2. 역사3. 상세
3.1. 중심 운송로3.2. 하위 프로젝트
4. 기타

1. 개요


공식 소개문

범유럽 통합 교통 네트워크(Trans-European Transportation Network) 혹은 TEN-T유럽연합 전역을 잇는 교통망 구축 프로젝트를 뜻한다.

2. 역사

TEN-T의 역사는 19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유럽의회에 의해 유럽연합 국가 간 교통망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01년 유럽 전역의 내륙 및 해양 항만과 교통 허브 구축 지침이, 2004년에는 교통망 전반에 대한 지침이 의회에 채택되며 TEN-T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TEN-T라는 이름 자체는 유럽의회에서 2013년 채택된 TEN-T 가이드라인(TEN-T Guideline)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 가이드라인에 기반해 TEN-T 프로젝트가 크게 포괄 네트워크(Comprehensive network) - 중추 네트워크(Core network) - 중심 운송로(9 Core network corridor)의 3단계로 나뉘게 된다.

3. 상세

유럽연합 국가간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 시작된 교통 프로젝트로 도로, 철도, 해운, 항공 등 그 형식을 가리지 않는다. 크게 보면 범유럽 통합 네트워크(Trans-European Network)의 일부로써 국가간의 물리적인 장애물을 없애고, 물자 수송과 인적 자원의 왕래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진행되는 프로젝트다. # # 국가별로, 구간별로 다수의 프로젝트가 연결되어 TEN-T라는 하나의 초거대 프로젝트를 이루는 형태다.

3.1. 중심 운송로


<colbgcolor=#000> 중심 운송로(Core network corridor) 출처
<rowcolor=#fff> 번호 이름 경유 국가 비고
1 발트해-아드리아해 운송로
(Baltic-Adriatic Corridor)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
2 북해-발트해 운송로
(North Sea-Baltic Corridor)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
3 지중해 운송로
(Medditerranean Corridor)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
4 오리엔트/동부 지중해 운송로
(Orient/East-Med Corridor)
독일, 체코,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키프로스 -
5 스칸디나비아-지중해 운송로
(Scandinavian-Medditerranean Corridor)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1]
6 라인-알프스 운송로
(Rhine-Alpine Corridor)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
7 대서양 운송로
(Atlantic Corridor)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아일랜드 -
8 북해-지중해 운송로
(North Sea-Mediterranean Corridor)
아일랜드,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
9 라인-다뉴브 운송로
(Rhine-Danube Corridor)
독일, 오스트리아,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

3.2. 하위 프로젝트

4. 기타



[1] 이 노선이 완공되면 두 개의 터널이 세계 최장 타이틀을 가져가게 된다. 먼저 알프스 산맥 지하를 관통해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를 잇는 브레너 베이스 터널이 총연장 64km로 지하철을 뺀 모든 터널을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 타이틀을 가져가게되며, 독일과 덴마크 사이 북극해 밑을 뚫은 페마른벨트 해저터널이 세계에서 가장 긴 도로 해저터널 타이틀을 가져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