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4 00:38:50

산업설비

설비에서 넘어옴
파일:IndustrialEquipment.png

1. 개요2. 전공3. 전공 과목4. 실습
4.1. 고등학교(마이스터고,특성화고)4.2. 대학교(전문대)4.3. 대학교(4년제)
5. 자격증6. 전공 동아리7. 기능반8. 도제교육9. 취업10. 진학11. 전망12. 설비 전공이 있는 고등학교13. 설비 전공이 있는 대학교

1. 개요

산업설비는 플랜트(plant) 공정을 기반으로 산업현장에서의 쓰이는 기계, 장치, 공장 전체를 관리하거나 기계설계 기계조립 기계공정 기계설비 등을 이르는 전문적이고 광범위한 종합 기술이다. 기계, 화공, 건축 분야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기술이다.

2. 전공

산업설비는 기계계열의 전공 중 하나이며 기계, 자동화, 금형 등등 많은 기계계열 전공 중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전공이다.

3. 전공 과목

전공 과목 즉 전문 교과는 학교마다 다르지만 보통은 산업설비, 냉동공조, 재료일반, 기초제도에 중점을 맞춰 공부한다.

4. 실습

4.1. 고등학교(마이스터고,특성화고)

1학년 때는 실습 시간이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냉동공조 파트나 배관 파트로 나뉘어서 2~3시간 실습 용접 2~3시간 실습 일주일에 4시간~6시간 정도 실습을 한다. 많아보인다고 생각할 수 있겠는데 특성화고 평균 실습시간이 일주일에 8~9시간인것을 감안하면 약간 적은 수치이다. 1학년 실습은 냉동공조 냉매 순환 회로 작동장치 설계 or 제작을 배우고 배관은 파이프 절단, 파이프 연결 용접은 피복아크용접+아래보기를 배운다. 2학년 때는 학생들이 자격증 취득 준비를 하느라 바쁜 시기이고 그만큼 실습시간도 2배 가까이 늘어난다. 1학년 때와 같은 전공실습을 하지만 한 단계 더 심화된 전공실습과 자격증 따기에 열을 올리고 2학기 중간 or 기말고사를 치르면 도제교육을 신청하는 시기가 오기 때문에 인문계가 고3이 지옥이라면 실업계는 고2가 지옥이라는 말도 있다. 2학년 냉동공조 실습은 에어컨 설계 및 부품 제작 조립 배관은 파이프 강관, 가스관 기초 공사 용접은 티크용접이나 co2용접을 배우고 피복아크용접 심화단계 아래보기를 비롯한 (수직,수평,위보기[1]) 자세를 실습을 한다. 3학년 때는 취업이나 진학을 준비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취업,진학 준비를 이유로 실습량이 많이 없는 편이다. 실습시간은 1학년 때와 비슷하거나 약간 줄어든 정도이며 의무검정 실기 준비 후 시험을 치고 합격발표가 날때 쯤이면 졸업고사고 몇달 후면 졸업시즌인데 졸업시즌이 다가오기전에 이미 기업에 합격한 학생들과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이 많이 보인다. 즉 인문계와는 정반대로 실업계에서 3학년은 여유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4.2. 대학교(전문대)

전문대의 경우에는 2년제 교육과정이므로 3년제 교육과정인 고등학교와는 달리 시간의 여유가 그렇게 많지 않다. 그래서 자격증을 따는데에 입학 후 초반부터 자격증 따기에 열을 올린다. 2학년 때부터 서서히 자격증을 따기 시작하는 실업계와는 달리 많이 대조되는 모습이다. 폴리텍대학교를 예로 들자면 다른 대학교와는 달리 시간표를 마음대로 지정해서 수업을 듣는 것과는 달리 학교 측에서 지정해 준 수업 커리큘럼을 따라간다. 폴리텍대학교는 많은 계열전공으로 나뉘어져 세부학과가 설치되어있는데 그 중 폴리텍대학교 산업설비계열에는 발전설비과, 산업잠수과, 그린에너지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로 구성되어있고 같은 계열의 전공이지만 배우는 것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그 중 간략하게 전공내용을 살펴보자면 발전설비과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기초해 설비기술을 배우는 학과이고 산업잠수과는 수중용접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그린에너지설비과는 신재생에너지+온실에너지+수력에너지 등 친환경설비에 대해서 배우는 학과이고 산업설비자동화과는 설비+자동화 기술 두가지를 한꺼번에 배우는 학과이다. 폴리텍대학교 산업설비계열의 학생들은 세부전공이 다르지만 보통은 기능사 실업계 출신의 학생들은 산업기사 자격증 1, 2개를 목표로 하고 크게 용접파트 냉동공조파트 배관파트로 나누어서 중점적으로 실습하며 자격증을 취득하려 한다.

4.3. 대학교(4년제)

실업계고등학교, 전문대가 자격증 취득하기에 포커스를 맞추고 졸업 후 취업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면 4년제 대학교(공대)는 자격증 취득보다는 연구직이나 사무직 계열로 취업을 하려고 입학을 하는 곳이다. 또한 전문대 폴리텍을 기준으로는 학교에서 정해준 시간표로 수업을 듣고 학점을 따는 구조라면 4년제 대학교는 본인이 직접 시간표를 짜고 짠 수업표대로 수업을 듣고 학점을 따는 구조이다. 또한 실업계고등학교, 전문대학교가 실습 위주의 수업이라면 4년제 대학교는 이론 위주로 수업이 진행된다. 실업계: 실습 8 이론 2 전문대: 실습 6 이론 4 4년제: 실습 2 이론 8 일반적으로는 이 정도 비율이다. 하지만 조선대학교 용접접학과학공학과 같이 이론 보다는 실습 위주로 실습 6 이론 4 비율로 수업이 진행되는 4년제 대학교도 꽤 있다. 이론은 보통 기계공학과에서 배우는 4대역학(열역학,재료역학,유체역학,동역학)과 기계매커니즘에 대해서 심화적으로 배우게 되며 한밭대학교 설비공학과 같이 기계+설비 계열의 과라면 설비매커니즘과 산업건축 등에 대해서도 심화적으로 배우게 된다. 실습은 실업계고등학교와 전문대와는 달리 약간 차이가 있다. 실습은 기계공학과에서 배우는 기계매커니즘에 대해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주어진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원리를 알고 구조를 파악하며 기계를 직접 작동시키는 것에 대해서 실습한다. 실업계고등학교, 전문대가 용접이나 배관설비등에 대해서 실습할 때와는 반대되는 편이다.

5. 자격증

자격증의 경우에는 고등학교면 2학년 중반부터 대학(전문대 기준)의 경우에는 특성화고 출신자면 산업기사 자격증을 비특성화고 출신자면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공부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절차는 대부분 1차 필기 2차 실기로 이루어지고 두 가지 다 합격하면 자격증이 나오는 것이다. 필기는 전공 동아리 필기반에 가입해서 필기를 중점적으로 배우거나 학원에 다니면서 필기를 배우거나 집에서 혼자 독학하는 필기가 대부분이다. 보통은 1번이나 3번의 경우가 가장 많고 실기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혼자 연습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고 시간도 남아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실습한 경험을 토대로 기반으로 실기를 보는 경우가 많고 기능반이나 전공 동아리에서 실기를 연습하는 경우도 있다. 산업설비과에서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으로는 피복아크용접기능사, 배관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를 많이 취득하고 이 세가지 자격증을 설비과에서는 트리플이라 부른다. 마치 전기공사자격증+소방기계자격증 두 자격증을 쌍산기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만큼 사기급 자격증이라는 것이다...에너지관리기능사, 가스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가 더 효율이 좋다. 가냉보열이라고도 하며 선임자격증이라 밥굶은 일은 없다.[2]

6. 전공 동아리

전공 동아리 같은 경우는 크게 용접심화, 배관심화, 냉동공조심화 등으로 나뉘고 기능반 학생들이 전공 동아리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기능반 학생들이 가입하지만 기능반이 아닌 학생들도 전공 동아리에 가입할 수 있다.

7. 기능반

전국의 공업고등학교는 대부분 기능반이 있는데 크게 전기계열이나 기계계열로 나뉘고 아니면 과마다 기능반이 있는 경우도 있다. 기계계열 중 하나인 산업설비 즉 설비과의 기능반 같은 경우는 보통 용접만 중점적으로 밤늦게까지 공부하고 실습하여 지방기능경기대회나 전국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하여 메달을 노리는 반이다. 학교에서는 기능반 학생의 실적이 곧 학교의 실적이기 때문에 학교에서도 기능반 학생들을 중점적으로 밀어주는 경우가 많고 각종 혜택들도 기능반 학생들한테 대부분 우선순위를 준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서울공업고등학교 산업설비과가 있다. 자세한 부분은 서울공업고등학교 문서 참조.

8. 도제교육

도제교육은 2학년 2학기 때 신청을 받고 3학년 1학기 때부터 학교와 현장을 오가면서 월급을 받고 현장실습을 나가는 것이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도제교육의 경우에는 신청자 중 성적이 우수한 학생, 전문 기술에 재능이 있는 학생을 우선적 순위로 뽑는다. 자세한 사항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문서 참조.

9. 취업

졸업후 기능반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지방기능경기대회나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메달[3]을 딴 경력으로 공기업이나 대기업 특채를 노려서 입사하거나 기능반이 아닌 학생들의 경우에는 3학년 때 공무원준비반에서 공부하고 공무원시험에 합격해 9급공무원이 되는 경우나 중공업회사의 전문플렌트엔지니어로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

10. 진학

대학 진학의 경우에는 특성화고특별전형 동일계전형으로 기계계열학과[4]로 입학하거나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 3년간 산업체근무후 무시험으로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 이외에도 수능을 봐서 대학에 합격한 뒤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도 상당히 있다.

11. 전망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에 따르면 산업설비의 전망은 밝은 편이며 앞으로는 플랜트 산업의 전문적인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산업설비 기술을 가르치는 기술교육원과 산업체현장의 산업설비 기술 활성화에 있어서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고 한 논문에 따르면 건설업 외에 다른 산업현장에서도 산업설비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산업으로, 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있어서 핵심적인 분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산업이라고 명시되어 있을만큼 산업설비의 전망이 어느정도로 밝은지를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12. 설비 전공이 있는 고등학교

13. 설비 전공이 있는 대학교


[1] 위보기 자세의 경우는 2016년 이후로 피복아크용접기능사 시험에서도 출제를 안해서 심화적으로는 배우지 않지만 기본 정도로만 배우고 기능반이나 전공동아리에 가입한 학생들의 경우에는 위보기 자세를 심화적으로 배우기도 한다.[2] 용접기능사도 금속,자동차,기계쪽에선 나름 우대받는 자격이다보니 공조,에너지분야가 아닌 기계,자동차,금속등 기계.금속분야에 관심있으면 용접기능사나 산업기사를 치는것도 나쁘지않다고본다[3] 남자의 경우 국제기능올림픽대회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 메달을 취득할시 군대가 면제된다. 거기에 플러스로 취업보장까지[4] 보통은 기계공학과로 많이 진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