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7c4a3><tablebgcolor=#ffffff,#1f202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의선 | 도라산역 ~ 서울역 (56.0km, 40.64%) |
용산선 | 가좌역 ~ 용산역 (7.0km, 5.08%) |
경원선 | 용산역 ~ 청량리역 (12.7km, 9.22%) |
중앙선 | 청량리역 ~ 지평역 (62.1km, 45.06%) |
역 목록 |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역사 | 연장 | 문제점 |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운행 계통을 정리한 문서이다.현재 총 운행 계통의 수는 46개이다. 급행이 모두 구간 급행이고, 회차하는 역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열차 시각표 개정과 동시에 바뀌는 경우가 100%에 가까워서 이 계통이 거의 매번 바뀐다 보면 된다.
위키백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서에도 기본적인 운행 계통이 나타나 있다.
2. 본선 계통
- 상ㆍ하행의 구분은 중앙선에 맞춰서 문산 쪽이 상행, 용문 쪽이 하행이다.
- 하행선의 주 운행계통은 용문행과 덕소행이며, 상행선의 주 운행계통은 문산행이다.
- 시종착역은 문산, 일산, 덕소, 용문, 지평 외에 팔당, 청량리, 용산, 수색, 능곡이 있다. 이 중 청량리, 용산, 능곡은 주박역이기도 하다. 용산역에는 효창공원앞역 쪽으로 ITX-청춘 열차와 경의·중앙선 열차가 회차하는 회차선이 있으며, 이촌 쪽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4량 셔틀 열차가 회차하는 회차선이 하나 있다. 또한, 경의중앙선의 상대식 승강장 한가운데에 있는 통과용 중선도 유치용으로 쓸 수는 있다.
3. 지선 계통
3.1. 문산~서울역 계통
▲ 일산역 → 서울역 전면 주행 영상 |
- 지상 가좌역 ~ 서울역 간 지선이 사실상 독립했다. 이 지선은 시간표를 짤 때 문제가 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제점/서울역행 열차 문제 문서를 보라.
- (시간표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문산 ~ 서울역 지선에는 4량 편성이 투입되어 8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문산 ~ 용문 본선과는 차량 운용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3.2. 문산~임진강 계통
문산역 ↔ 운천역 ↔ 임진강역 구간은 4량 셔틀열차로 운행된다. 평일 1일 2회, 주말/공휴일 1일 4회 수준으로 배차가 매우 뜸하다. 사실상 전철이 아닌 도라산역 셔틀을 제외하면 역 수가 가장 적은 전철 운행계통이며, 전 구간이 문산읍에 있어 1개 읍면동에서만 운행하는 유일한 운행계통이다.3.3. 임진강~도라산 계통
2021년 12월 11일에 개업한 매월 둘째 주 금요일 한정으로 1일 1왕복만 운행하는 계통이다. 열차를 이용하려면 해당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을 해야 한다.현재는 북한에 가장 가까이 접근(2.1km)하는 한국의 여객열차 계통이다.
민통선을 넘기 때문에 미성년자는 혼자 탑승할 수 없고 보호자를 대동해야 한다. 도라산역 주변의 민통선 내 주민들은 93번 버스를 이용하므로 대중교통이라기보다는 관광열차에 가깝다. 엄연히 광역전철로 분류되는 경의중앙선의 운행 계통임에도 여객열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독특한 노선이다.
2021년 12월 11일부터 2022년 2월까지는 주말 및 공휴일 한정으로 1일 1왕복만 운행했었다. 계통은 이렇게 나누어져 있지만 문산역에서 임진강역까지 운행한 열차가 임진강역에 대기하다가 관광객 등록 및 검문을 마친 승객을 다시 태우고 도라산행으로 행선지를 바꿔 운행하는 구조였다. 2022년 2월부터 코로나19가 민통선 이북에서 유행할 가능성 때문에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지됐었다.# 하루 50명까지만 접수 후 탑승이 가능했으며 임진강행 셔틀 탑승객들을 우선으로 받았다. 요금은 도라산역 관람료를 포함하여 임진강역에서 2,500원을 징수하였다. 이후 2024년 8월 9일에 현재의 운영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급행열차
4.1. 본선 계통
본선 급행열차는 평일 RH(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1호선의 경원선 급행이나 수인·분당선(분당선 구간) 급행과 비슷한 구간 급행이다. 2021년 1월 5일부터는 금릉역(문산~서울 급행은 통과, 본선 급행은 정차)을 제외하고 급행 정차역이 일정하게 정리되었다.4.1.1. 경의선(문산 - 용산) 구간 급행
▲ 문산역 → 용산역 덕소급행 주행 영상[1] | ▲ 용산역 → 문산역 문산급행 주행 영상[2] |
- 정차역: 문산역 - 금촌역 - 금릉역 - 운정역 - 야당역 - 탄현역 - 일산역 - 백마역 - 대곡역 - 행신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홍대입구역 - 공덕역 - 용산역 - (전역 정차) - 용문역
- 경의선 급행은 평일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상/하행 각각 일 4회 운행한다. 하행은 아침 출근시간 3회, 저녁 퇴근시간 1회 운행하며 출근시간 3회는 팔당행, 퇴근시간 1회만 용문행이다. 상행은 출근시간 2회, 퇴근시간 2회 운행하며 하행과 달리 4회 모두 문산행이다. 다만 용문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출근시간 2회이며, 퇴근 열차는 시간 순으로 각각 팔당과 덕소에서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 급행 운행하는 경의선에서도 각역정차하는 구간이 있는데 금촌역~일산역 구간이 바로 그것이다. 금촌역과 일산역 사이에는 금릉역, 운정역, 야당역, 탄현역 4개역이 있는데 이 4개역이 수요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체에서 일평균 승하차량이 탄현 9위, 야당 10위, (금촌 12위), 운정 13위, 금릉 19위로 전부 상위권이면서 비슷해서 급행 정차역과 통과역을 정하기가 애매하다. 과거에는 운정역에 일부 급행열차만 정차하는 선택정차역이었고 야당역은 아예 급행이 정차하지 않았으나, 2021년 1월 5일부터 두 역 모두 급행이 필수정차하게 되며 금촌~일산에서 6연속 필수정차하게 되었다. 여기에 2022년 1월 3일부터는 가좌역에도 정차한다.
4.1.2. 중앙선(용산 - 용문) 구간 급행
▲ 용문역 → 수색역 급행 주행 영상 |
- 정차역(상행): 수색역 - (전역정차) - 용산역 - 이촌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회기역 - 상봉역 - 구리역 - 도농역 - 덕소역 - 도심역 - 양수역 - 양평역 - 용문역
- 정차역(하행): 문산역 - (전역정차) - 용산역 - 이촌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회기역 - 상봉역 - 구리역 - 도농역 - 덕소역 - 도심역 - 양수역 - 양평역 - 용문역
- 1일 왕복 2회 운행한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노선도나 승강장에 있는 안내기와는 다르게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상행 : 용문역 - 수색역 운행 / 하행 문산역 - 용문역 운행
4.2. 지선 계통
4.2.1. 문산역 - 서울역 급행 (4량)
▲ 문산역 → 서울역 급행 주행 영상 | ▲ 서울역 → 문산역 급행 주행 영상 |
- 정차역: 문산역 - 금촌역 - 운정역 - 야당역 - 탄현역 - 일산역 - 백마역 - 대곡역 - 행신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신촌역 - 서울역
- 2018년 7월 1일부터 평일 NH에 존재하는 일산 착발 급행 열차가 모두 문산 착발로 연장되어 운행 중이다. 정차역은 기존과 동일하다.[3]
- 2021년 1월 5일부터는 야당역과 탄현역에도 정차한다. 단, 금릉역은 무정차 통과한다.
5. 열번 정보
- 본선 일반은 기본번대가 5000번대[4], 본선 문산 ~ 용산 4량 셔틀이 K5301~K5304, 본선 용산 ~ 문산 급행이 K5701~K5708, 본선 용문 ~ 용산 급행은 K5851~K5854이다.
- 서울역 지선은 직결 시점 5600번대였다가 2015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2200번대가 되었다. 급행은 2500번대이다. 문산 방면은 짝수 열번이라 K2222번 열차가 존재한다. 주말에만 16:19 서울역 출발 대곡행이다. 평일에도 존재하였으나 대곡행이 일산급행으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
- 임진강, 도라산 셔틀은 2600번대를 사용한다. 해당 열차 번호는 K2601~K2608, K2650~K2651이다. 임진강셔틀의 경우 주말/공휴일에 운행하는 열차 번호로 작성한 것이며, 평일의 임진강셔틀 할당 열차번호는 K2601~K2604이다.
[1] 능곡역 선로 및 승강장 이설, 야당역 및 가좌역 추가 정차 이전에 촬영.[2] 능곡역 선로 및 승강장 이설, 야당역 및 운정역, 가좌역 추가 정차 이전에 촬영.[3] 「용산역-동인천역 출퇴근시간 특급전동열차 8회 추가」, YTN, 2018-06-26[4] 본래 경의선은 ITX-청춘의 열번과 중복되는 2000번대를 사용했으나 중앙선의 5000번대로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