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2:44:29

수도포병여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에 대한 내용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3포병여단 로고.png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로고.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7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산하진포병 마크.png 파일:백마포병여단.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11기동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승리포병.pn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백두포병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60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73 포병.jp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수도포병여단
首都砲兵旅團
Capital Artillery Brigade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조국의 심장을 지키는 강한 힘!
창설일 1974년 3월 1일(수도군단 포병부)
1991년 12월 1일(수도포병여단)
상징명칭 충의포병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수도군단
규모 여단
역할 수도군단 화력지원
여단장 준장 황규흥 (육사 47기)
위치 경기도 시흥시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3.2. 제653포병대대 충정3.3. 제668포병대대 석정3.4. 제669포병대대 포성3.5. 제757포병대대 천군3.6. 제330표적획득대대 천리안
4. 과거부대5. 출신인물
5.1. 여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6.2. 미디어6.3. 여단가
7. 사건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이다. 애칭은 '충의포병'이다. 1974년 수도군단 포병부로 시작되어 1991년 12월 본부를 경기도 시흥시로 옮기고 수도포병여단으로 창설되었다.

2. 상세

여단 본부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해 있으며 인천, 김포 일대에 예하 대대들이 분포해 있다. 여단 본부가 그나마 후방에 위치해있고, 예하 대대들은 거의 전방에 위치해있다.

여단장은 준장 혹은 대령이며, 참모장대령이다.

부대의 규모는 포병여단들 중에서는 가장 작은 편이다. 총 5개의 대대를 예하 대대로 두고 있으며, 부대 편제 자체도 포병단이 없고 대대-여단의 형식을 지닌다.[1] 그러나 전시에는 수도군단 전체의 화력운용을 조율해야하고, 해병2사단 포병과 17사단 포병 또한 실질적으로 가장 많은 지휘통제를 받는 곳 또한 수도포병여단이므로, 부대 규모가 작아도 준장이 보임된다.

부대 마크는 수도군단 마크 뒤에 포병 병과를 상징하는 포와 장군전을 입힌 모양의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이 부대가 수도군단의 직할부대이기 때문이며, 군복의 왼쪽 팔 윗부분에 부착하는 부대마크는 수도군단의 것과 완전히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수도포병여단 인근에 위치한 1사격대는 1포병여단에서의 지원포병으로서 제1군단 마크를 부착하고 다닌다.

3. 예하부대

예하부대는 아니지만 해병대 제2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포병을 통제하여 군단내 포병을 집권화운용하고 제51보병사단 561포병대대, 제55보병사단 965포병대대와 서로 지원하고 협조한다.

3.1. 여단 직할대

  • 본부근무대
    여단본부와 건물을 같이쓴다.[2] 편제가 많이 줄어들어서 규모가 굉장히 작으며, 건물도 2층짜리 건물로 작다. 수도포병여단은 위병소 기준으로 부대의 끝과 끝을 걸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3~5분 정도로 규모가 작은편이다. 여단본부 간부를 포함한 전 병력도 100여 명 정도밖에 안 된다. 2019년까지 침상형 생활관이었으나 2020년 김기홍 준장 취임이래 생활관이 침대형으로 바뀌었다. 기존 침상 위에 침대만 설치한 유사 침대형 생활관이다. 심지어 화장실과 병영식당을 대대적으로 보수하여 웬만한 휴게소 화장실보다 좋다. 병영식당은 분위기있는 카페 느낌이 날정도.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조만간 몇 년 안에 668포병대대의 옆으로 여단본부가 이사를 할 예정이다.
  • 정보통신대
    여단본부와 함께 위치해있다. 수도포병여단이 증개편되면서 2022년에 정보통신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휘관은 소령이다. 규모가 굉장히 작아 본부근무대와 함께 생활한다.

3.2. 제653포병대대 충정

K9 운용대대

경기도 김포시에 주둔 중이다.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다른 부대에 비해 눈에 띄게 시설이 노후화된 부대였으나, 이후 신막사를 재건축해 수도포병여단 내에서 가장 시설이 좋은 부대 중 하나이다.

이전까지는 포상으로 가는 길이 모두 흙바닥이었지만 최근 포상 투입로중 일부를 콘크리트로 공사를 하였다.

수도포병여단 대대중 가장 최전방이다.

재건축전에 가장 노후화되고 그 상황에 KH179 155mm견인포를 운용하는 등 가장 힘든 부대였다.

본래는 수경사 소속 포병으로 1979년 7월에 제2야전포병단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12.12 때 진압군 측에서 동원한 "야포단"이 바로 이 부대다. 신군부가 집권한 후 단에서 대대로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수경사에서 배제되어 수도군단으로 넘어갔다. 수도군단 직할 포병대대로 활동하다가 수도포병여단이 창설되면서 다시 배속 전환되었다.

3.3. 제668포병대대 석정


K9 운용대대

경기도 김포시에 주둔 중이며, 여단 예하 대대 가운데 가장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화도와는 12K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단에서 가장 교통이 안 좋고 시내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외박, 외출이나 휴가를 나가려는 장병들에게는 쉽지 않은 지역에 부대가 위치해 있다. 그런 이유로 인해 668포병대대는 여단 본부에서 가장 신경과 관심을 많이 써 주는 곳이다.

포병부대마다 하나씩 있는 JFTS교육장이 668포병대대 옆에 위치해 있다.
현재, 수도포병여단 본부가 2025년 12월 ~ 2026년 8월 경에 668 포병대대 바로 옆으로 이전하려는 계획 중이다. 미래여단이라 부르는 그 곳을 현재 668포병대대와 막사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 정비근무대에서 관리하고 있다.

가장 처음 K9을 운용한 대대.

3.4. 제669포병대대 포성

K9A1 운용대대

경기도 김포시에 주둔 중이다.

부대 위치가 신도시 근처라서 출타 때 놀 거리가 가장 많은 부대이기도 하다. 수도포병여단 예하대대들 중에서 입지조건만 보면 가히 최상급.[4] 심지어 걸어서 5분 거리에 김포골드라인 마산역이 나온다. 코로나 시국만 아니었다면 외출외박 최고수혜를 누릴수 있는 부대다. 다만 영외 구보를 기본 구보로 하던 시절에는 가히 최악이였다. 부대 정문에서 대로까지 엄청난 경사와 길이의 포장 산길인데 그걸 완전히 내려갔다 올라 왔다. K9 이전 K55를 운용했다.

과거 정승조 합참의장이 이 부대에 방문한 적이 있다.#

3.5. 제757포병대대 천군

천무 운용대대

이전엔 구룡을 운용하다가 2018년에 천무로 개편되었다.

부대 상징명칭이 "구룡"에서 "천군"으로 바뀌었는데, 천무로 개편되어 구룡을 더 이상 운용하지 않아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어 그런 듯.

2010년대 당시는 전체적으로 부대 막사가 노후화가 심했다. 2020년대에 시작된 공사로 지금은 전체 막사를 공사를 하므로 달라졌어야 하는데 코로나로 인해 공사가 연기되어 2022년 4월 드디어 신막사로 이전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 대대교회도 리모델링하여 시설이 깨끗한편.

부대위치가 인천광역시에 위치해 여단 예하 대대들 중 가장 후방이다. 부대 근방에 청라신도시계양구가 있으며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상황이 아니라면 입지조건은 여단내 669와 함께 최상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주변에 공항철도 계양역이 있어 서울역인천터미널역도 30~40분 내로 갈 수 있으니 외부 교통도 수월하다.

3.6. 제330표적획득대대 천리안

TPQ-74K 운용대대

669포병대대와 주둔지를 같이 사용한다.

과거 표적획득 포대였으나 2020년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부대가 증개편되었다.

4. 과거부대

  • 제967포병대대[5]

5. 출신인물

5.1. 여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수도포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오희완 예) 준장
2대 김정웅 예) 준장 육사 24기 [6]
3대 서종표 예) 대장 육사 25기 제3야전군사령관
4대 조연식 예) 소장
5대 황의봉 예) 준장
6대 오좌진 예) 준장 제2군수지원사령관
7대 김진항 예) 소장 육사 30기 제12보병사단
8대 정인구 예) 소장
9대 송승석 예) 준장 육사 32기 제76보병사단
10대 서길원 예) 중장 육사 34기 제6군단장
11대 허일회 예) 준장 학군 17기 제65보병사단
12대 장기윤 예) 준장 육사 36기 제61보병사단
13대 고현수 예) 중장 학군 20기 제2군단장
14대 이규학 예) 준장 육사 39기 제72보병사단
15대 조영진 예) 소장 육사 40기 제11기계화보병사단
16대 강천수 예) 소장 육사 41기 제9보병사단
17대 윤의철 예) 중장 육사 43기 제7기동군단장
18대 임문균 예) 소장 학군 25기 육군포병학교
19대 김섭 예) 준장 학군 26기 제75보병사단
20대 김재홍 대령 육사 46기
21대 김종덕 대령 학군 30기
22대 김기홍 준장 3사 26기 여단장
23대 임태호 소장 육사 51기 2사단

5.2. 장교/부사관

5.3.

  • 송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1990년 10월 8일 입대, 운전병으로 복무, 1993년 3월 18일 병장 만기전역.
  • 아구 - 종합게임 유튜버
    2014년 9월 22일 입대, 제330관측포대(現 제330표적획득대대 천리안)에서 복무한 뒤 2016년 6월 21일 병장 만기전역.

6. 기타

6.1. 근무환경

여단본부를 비롯하여 예하부대에 부대에서 자체로 만든 cafe가 있다. 퀄리티가 높아서 다른부대에서 견학오는 수준. 간부들 뿐만아니라 병사들도 자주 이용하고 있다. 캡슐머신과 제빙기가 있어 인기가 많은편.

6.2. 미디어




6.3. 여단가


선열의 호국얼이 깃든 이곳에
조국의 부름받아 충성으로 뭉쳤다
적진을 향해서 열어라 수도(충의)포병 포문을
우리는 정예충효 수도포병 용사다

세계로 나아가는 수도의 관문에
피땀으로 정기쌓아 무적포병 이루자
적진을 향해서 열어라 수도(충의)포병 포문을
우리는 정예충효 수도포병 용사다

-수도포병여단가-

7.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 여단 편제에는 신병교육대가 없기 때문에, 주로 같은 수도 군단 예하의 51사단, 55사단 출신 훈련병들이 많이 전입하는 편이다. 과거에는 17사단, 21사단 출신 훈련병들의 전입도 많았다.
  • 본부대가 아닌 예하대대 소속이 되어도 후반기 교육을 받거나 논산에서 바로 수료한 후반기 교육이 없는 특기병들은 주로 안양역까지 기차를 타고 이동한 후 본부대로 이동한다. 안양역에 막 내린 병력들은 오래간만에 보는 안양의 도시풍경에 감탄하다가, 목적지에 가까워질수록 열악한 주변환경과 코딱지만 한 본부근무대 시설을 보고 흔히들 경악을 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안양역에서 하차할 때 안양에 위치한 수도군단국군정보사령부로 전입하는 병력들과 같이 하차하게 되는데, 그저 부러움의 눈길로 바라볼 뿐이다.

[1] 제1포병여단의 경우 3개 포병단, 14개 대대(5+5+4), 3개 직할대대가 있다.[2] 2층을 여단 참모부, 1층을 본부근무대와 정보통신대 병사들 생활관으로 쓴다[3] 이는 예하부대의 개념이 아니라, 각 부대의 위치상 1군단 예하 제1포병여단에서 지원부대의 형태로 예속이 되었기 때문이다. 1사격대의 원 소속은 1포병여단이나, 수도포병여단을 지원하는 지원포병으로서 수도포병여단의 지휘를 받는 것이다.[4] 멀지 않은 곳에 장기동과 구래동이 있고, 장기동 복합환승센터를 통해 휴가 때 타 지역으로 가는 것도 수월하다.[5]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로 인해 부대해체.[6]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로 보직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