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포병여단 | 제2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제5포병여단 | 제7포병여단 | 화력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8기동사단의 예하부대 | |||||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
포병여단 | |||||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第八機動師團 砲兵旅團 The 8th Maneuver Division Artillery Brigade | ||||||
거침없는 화력, 전장을 지배하다 | ||||||
창설일 | 1953년(제8보병사단 포병연대) 2010년 3월 1일(제8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2021년 1월 1일(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
상징명칭 | 산하진(山河震)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8기동사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8기동사단 화력지원 | |||||
여단장 | 대령 (육사 00기) | |||||
위치 | 경기도 양주시 | |||||
[clearfix]
1. 개요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은 대한민국 육군 제7기동군단 제8기동사단 예하 부대로, 제50포병대대 · 제95포병대대 · 제228포병대대 · 제231포병대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여단 본부는 천보대에 제50포병대대 · 제95포병대대와 함께 위치한다.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화포인 K9자주포(155mm)를 운용하고 있다.
26사단이 8사단으로 개편되면서 26사단 포병여단에서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별칭은 사단 개편 이전까지는 제26기계화보병사단의 별칭이었던 불무리를 활용한 불무리포병에서 8사단 포병연대의 별칭이었던 산하진으로 바뀌었다[1].
해체된 옛 8사단 포병연대는 제50포병대대 · 제73포병대대 · 제75포병대대 · 제95포병대대를 예하부대로 두고 있었으나, 8사단 포병연대의 해체와 함께 모두 해체되었다. 다만 오랜 역사를 가진 제50포병대대와 제95포병대대는 명칭을 각각 제222포병대대와 제631포병대대에 남겨주었다.
2. 편제
2.1. 여단 직할대
- 천무사격대
2.2. 제50포병대대 풍익
1949년 2월 10일, 서울 영등포에서[2] 대한민국 국군 최초 포병대대 6개 부대 중 하나인 포병 2대대로 창설되었으며, 당시 미군으로부터 공여받은 M3(105mm 견인포) 15문을 운용하였다[3]. 국군 포병의 전설적 인물인 김풍익 대위가 초대 대대장을 맡았던 부대로, 김풍익 대위는 한국 전쟁에서 적 전차를 직사운용하는 등 전과를 올리고 산화할 때까지 대대장으로 임무를 수행했다[4]. 최초 야전포병단 예하 2대대로, 포병학교 교도지원 대대였으며 이후 8사단에 예속되었다[5].유서가 깊은 부대였지만,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8기동사단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제222포병대대와 통폐합이 이뤄졌다. 주둔지나 인력 모두 222대대쪽이 승계되었지만, 명목상으로는 50대대의 역사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제222포병대대가 옛 50포병대대의 명칭을 물려받아 옛222포병대대의 청룡포병이라는 별명도 사라졌고, 옛 50포병대대의 풍익대대라는 별명을 함께 이어받았다.
2.3. 제95포병대대 명중
1953년 5월 11일, 서울 용산에서 제631포병대대로 창설되었으며, 창설 초기부터 105mm 화포가 아닌 M1(155mm 견인포)을 운용하였다[6]. M1 견인포의 경우 당시 국군에서 유일한 155mm 화포로써 군단을 지원하거나 사단 일반지원으로 활용되는 화포였다. 이후 미2사단, 15사단, 6군단, 26사단 예속을 거쳤으며, 1953년 6월 8일부터 정전시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화포는 창설기 M114견인포에서 K-55(155mm 자주포), K-9(155mm 자주포)로 차례로 전력화되었다. 26기계화보병사단이 8기동사단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주둔지를 옛 65사단 본부로 옮기고, 해체된 제95포병대대로 고유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제631포병대대에서 사용했던 명중포병이라는 별명도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고 있다.8보병사단 시절 95포병대대 명칭을 사용했던 부대는 1952년 창설되었으며[7], 1952년 6월 16일부터 정전시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8보병사단과 함께 해체되는 시기에는 철원군에서 K-9 자주곡사포(155MM자주포)를 운용하였다
2.4. 제228포병대대 화랑
26사단의 228포병대대가 그대로 8사단 228포병대대로 개편되었다. 위치는 경기도 연천2.5. 제231포병대대 백호
위의 228포병 대대와 마찬가지로 26사단의 231포병 대대가 8사단 231포병 대대로 개편되었다. 위치는 동일. 신막사이다. 2015년 8.20 완전작전을 수행해 낸 부대로 용사들의 주특기나 체력 수준이 우수하다. 아주 넓은 대대 부지를 소유하고 있어서 제설이나 제초 작업을 할 때 굉장히 힘들다. 부대 바로 옆에 28사단 신교대가 있다.3. 과거부대
제73포병대대 (해체)제75포병대대 웅비(해체)
4. 출신인물
김성재(1999년생)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
역대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타만 | 예) 대령 | 前 연대장 | ||
00대 | 이천근 | 예) 준장 | 3사 3기 | 前 제61보병사단장 | |
00대 | 서종표 | 예) 대장 | 육사 26기 |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00대 | 김태영 | 예) 대장 | 육사 29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
00대 | 강성균 | 대령 | 육사 49기 | 前 여단장 | |
00대 | 000 | 대령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5. 기타
5.1. 근무환경
5.2. 천보대 권역
구 제65보병사단(밀물부대) 주둔지를 천보대로 개칭하고 그 안에 50, 95, 군수지원대대, 보충중대 등이 함께 생활하고 있다. 일부 특공, 125 간부들도 여기서 출퇴근을 한다고... 양주신도시 옥정지구 안에 있다! 평일 외출을 시행하게 됨으로써 용사들에게 엄청난 파라다이스가 되었다고.본래 4개 동원연대를 거느렸던 사단급 주둔지였기에 주둔지는 매우 넓다. 위병소가 2개나 있고 (정문 =옥정, 후문 =율정) 탄약고도 5개소 이상이 있다. 각 막사별 연병장이 따로 존재하나 풋살장은 4개가 있는데 한 개는 95포병대대 연병장에 위치하고 나머지 세 개는 50포병대대 연병장에 위치한다.
쉼터라는 것이 존재한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식당 같은 것으로 흔히 말하는 회관이다. 영내에서 병사들이 치킨, 피자 등 각종 분식류 등을 사먹을 수 있다! 맛은 그럭저럭 먹을만하다.(21년도에 위생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여단장의 검열결과로 이용이 2개월간 금지된 적이 있다) 개인적으로 피자를 추천한다. 18시 어간에 가보면 용사들과 간부들이 삼삼오로 모여 삼겹살을 구워먹고 술을 마시고(용사는 안 된다) 있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ATM기, 면회장, 면회객숙소 등이 위치해 있다.
추가로 대대 px를 통합시켜 공격회관 앞에 통합 px를 만들어놓았다. 95대대 용사들이 가기 힘들어한다는 후문이다.
게다가 후문쪽에 무려 민간인이 운영하는 군장점도 같이있다. 일반적인 군장점에서 파는 물건들은 물론 px에서 팔지않는 싸제담배들도 파는데 정가보다 약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천보대 내에는 하나의 의무대만이 존재하는데 해당 의무대는 사단주둔지의 의무실을 사용하는 것이라 굉장히 크다. 그렇기에 진료실과 약제실, 처치실이 구분되어 있으며 군의관들 또한 2~3명이 주둔해 있다.
현재도 계속하여 확장및 시설공사가 지속되고 있어 최종적으론 1개 기갑여단급의 주둔지로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
시설물에 대한 기타 설명은 제65보병사단 문서로.
6. 사건 사고
7. 여담
사실상 이름만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이지, 주둔지 및 장비는 모두 해체된 제26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의 것을 그대로 쓰는 부대이다.[1] 산하진은 포일성산하진(砲一聲山河震)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 발의 포성에 산과 강이 진동한다는 의미다. 2008년 옛 8사단 포병연대장이었던 허세만 대령이 명명하였다고 한다.[2]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경기염직회사에서 6개 포병대대가 함께 창설되었다. 하지만 실제 기념하는 뿌리는 야전포병단이 최초로 창설된 1948년 10월 20일을 50포병대대의 창설기념일로 기념하고 있다고 한다. 포병 병과의 병과 창설기념일도 실제 병과 창설일이 아닌 야전포병단이 최초로 창설된 이 날로 기념한다.[3] 당시 대한민국 국군에는 미군이 공여한 91문의 M3견인포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6개 대대에 각 15문씩 두고 1문은 병기학교에 두었다.[4] 한국 전쟁 참전 당시 소령 계급이었으며 이후 중령으로 추서되었다.[5] 8사단은 역시 최초의 포병대대였던 1포병대대(이후 18포병대대)를 예하로 두었으나, 다른 부대로 예속이 전환되었다. 창설 이후 포병 대대 명칭을 두 자리로 만들면서 1 뒤에 지원하는 보병사단 숫자를 뒤에 넣는 방식으로 작명했는데, 8사단을 지원하는 1대대는 1 뒤에 8을 넣은 것이다. 50포병대대는 사단 지원이 아닌 포병학교 교도지원 부대이므로 0을 넣었다고 한다.[6] 당시 M1 견인포로 불렸으나 1968년 제식명이 M114로 변경되었다.[7] 95포병대대도 최초 포병대대로 알려져 있으나, 건군기 최초 포병부대는 1949년 2월 10일 서울 영등포에서 창설된 1대대(현재 18포병대대), 2대대(현재 50포병대대), 3대대(현재 16포병대대), 5대대(현재 17포병대대, 6대대(현재 11포병대대), 7대대(현재 10포병대대)이며 1대대는 8사단, 2대대는 포병학교, 3대대는 6사단, 5대대는 7사단, 6대대는 1사단, 7대대는 수도경비사령부로 각각 예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