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명칭(황금박쥐)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황금박쥐부대 문서
, 다른 29연대에 대한 내용은 제29연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 ||||||||||
제2보병여단 |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제17보병여단 | 제18보병여단 | ||||||
제19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제27보병여단 | 제28보병여단 |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제31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 ||||||||
제50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
제56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
제72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
제96보병여단 |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 ||||||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
제106보병여단 |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
제112보병여단 |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 제120보병여단 |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 |||||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
제169보병여단 |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 제187보병여단 |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 ||||||||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
제206보병여단 |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제210보병여단 |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
제221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 |||||||||
제501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9보병사단의 예하부대 | |||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제29보병여단 第29步兵旅團 The 29th Infantry Brigade | ||||||
최고 수준의 한강 경계작전 | ||||||
창설일 | 1950년 10월 25일(제29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29보병여단) | |||||
상징명칭 | 황금박쥐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9보병사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경기도 고양시 · 파주시 일대 방위 및 강안 경계 | |||||
여단장 | 대령 정태창 |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1군단 제9보병사단 예하 제29보병여단. 별칭은 황금박쥐부대.2. 소개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한강 하구 강안 경계를 담당하는 여단으로 고양시 및 파주시 에 위치하고 있으며, 6.25 전쟁과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부대이다
원래 명칭은 제29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2020년 부로 제29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3. 예하 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는 것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여전히 수송대 체계를 유지 중이다.3.3. 제1대대 붉은박쥐 황룡산대대 (舊 사자)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 (화기중대)
별칭은 붉은박쥐에서 따온 레드황금박쥐.
일산동구 황룡산 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구 막사에서 신 막사로 가기 전 임시로 컨테이너를 쓰다가, 2021년 6월 말 컨테이너에서 신 막사로 이동 후 신 막사를 사용 중이다. 막사가 완공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시설 면에서는 29여단 내에서 탑을 달린다. 주둔지도 꽤 넓은 편.
3.4. 제2대대 푸른박쥐 한강대대 (舊 전격)
- 본부중대
- 5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
별칭은 푸른박쥐에서 따온 블루황금박쥐.
파주출판단지 내부에 위치해 있다. 뒷산인 심학산에 올라가면 날씨 좋은 날에는 북한(!) 개풍이 보인다. 29여단 예하 대대 중 유일하게 파주시에 대대본부가 있다.
29여단의 강안 경계 임무를 수행하는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으며, 그런 만큼 여단 내에서도 굉장히 신경을 많이 쓰는 부대에 속한다. 간부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라서 29여단에 들어온 갓 임관한 장교들 중 장기복무를 생각하는 이들은 대부분 2대대로의 전입을 희망하는 편이다.
신경을 많이 쓰는 부대인만큼 시설도
대신 지원이 좋은 만큼 근무 강도는 타 대대보다 확실히 빡세다. 물론 강안 경계 부대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크다.
3.5. 제3대대 검은박쥐 현달산대대 (舊 돌격)
- 본부중대
- 9중대 (명품중대)
- 10중대 (무혈중대)
- 11중대 (선봉중대)
- 12중대 (화기중대)
별칭은 검은박쥐에서 따온 블랙황금박쥐.
일산동구 현달산[2] 인근에 위치해 있다. 29여단 예하 부대 중에서는 시설이 가장 낙후된 편이다. 여단본부와 함께 여전히 침상형 생활관을 고수하고 있는 중.[3] 부대 크기도 1대대의 절반 정도밖에 안 될 정도로 굉장히 작다. 그래도 풋살장, 교회, 체력단련실, 카페 등등 있을 건 다 있다.
풍문에 따르면 원래는 2021~2022년 즈음에 부대를 신교대와 통합하고 현 주둔지 자리에 군사경찰대대가 들어오기로 했었으나,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밀리고 밀리다 결국 계획이 흐지부지되었다고 한다. 신교대로 이전하면 더 좋은 시설에서 지낼 테니 조금만 더 버티자고 마음 먹었을 장병들은 그저...[4]
2023년 중반부터는 유해발굴 부대로 선정되어 발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관련 뉴스
특징이 있다면 사단 사령부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9사단 예하부대라는 것. 심지어 여단본부나 사단 신교대보다도 가깝다!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
역대 제29보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한신 | 예) 대장 | 육사 02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 |
00대 | 박영섭 | 예) 준장 | 육사 특 7기 | [5] | |
27대 | 전두환 | 예) 대장 | 육사 11기 | 前 국군보안사령관 | |
00대 | 손영길 | 예) 준장 | 육사 11기 | 前 연대장 | |
00대 | 이필섭 | 예) 대장 | 육사 16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 | [6] |
00대 | 이상희 | 예) 대장 | 육사 26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3야전군사령관 | |
00대 | 전인범 | 예) 중장 | 육사 37기 |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 |
00대 | 김태성 | 예) 소장 | 육사 44기 | 前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 |
56대 | 이인 | 대령 | 학군 27기 | 前 주 인도 국방무관 | |
57대 | 박신서 | 대령 | 육사 46기 | 前 연대장 | |
58대 | 권동섭 | 대령 | 육사 48기 | 前 연대장 | |
59대 | 김승철 | 대령 | 육사 51기 | 前 연대장 | |
60대[연대장]/초대[여단장] | 심형철 | 대령 | 육사 00기 | 前 연대장/여단장 | |
61대 | 정우영 | 대령 | 학군 35기[9] | 前 여단장 | |
62대 | 박창명[10] | 대령 | 간부사관 17기 | 前 여단장 | |
63대 | 정태창 | 대령 | 학사 33기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 황중해 : 1980년 3.23완전 작전당시 일병. 무장공비 사살 공로로 사단장 포상휴가, 연대장 포상휴가를 각각 6개월씩 받고 헬기타고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갔다. 이후 부사관으로 복무 후 2012년 상사로 전역. 2023년 국방 NEWS 유튜브 채널에서 인터뷰를 진행해 처음으로 매체에 모습을 드러냈다. 1부, 2부
4.3. 병
- 김범규 : 1980년 3.23완전 작전당시 이병. 무장공비 사살 공로로 사단장 포상휴가, 연대장 포상휴가를 각각 6개월씩 받고 헬기타고 고향인 경기도 성남으로 갔다. 의무복무기간만 채우고 만기전역.
- 윤선우: 2006년 입대, 29여단(구 29연대) 1대대에서 복무.
- 찬열: 1대대 3중대 복무
- 와이엇: 2021년 12월 27일 입대해 3대대 12중대에서 중대 통신병으로 복무.
5. 기타
5.1. 근무환경
- 일반 보병부대 훈련량 1위에 빛나는 제28보병여단이나 또 다른 강안 경계 부대인 제30보병여단에 비하면 확실히 낫다. 이 때문에 9사단 신교대에서도 29여단은 상대적으로 편하다는 인식이 강하며, 9사단으로 배치받은 인원들의 세부 부대배치가 나오는 날이면 29여단에 배치받은 아해들은 다른 훈련병들의 시기어린(?) 눈총을 받곤 한다.
- 그렇지만 훈련 많기로 유명한 9사단 예하부대이니만큼 이 곳 역시 많은 훈련량을 소화한다. 어지간하면 1달에 한 번씩은 꼭 훈련이 잡혀 있으며, 혹여나 훈련이 없는 달이라면 각종 검열로 부대원들을 괴롭히기 일쑤다.
5.2. 여단가
조국을 수호하려 모여든 우리
필승의 투지로 굳게 뭉쳤다
고봉산의 기상은 하늘을 찌르고
우리의 함성은 천지를 진동한다
아 황금박쥐 29연대
박쥐용사 앞에는 승리뿐이다
필승의 투지로 굳게 뭉쳤다
고봉산의 기상은 하늘을 찌르고
우리의 함성은 천지를 진동한다
아 황금박쥐 29연대
박쥐용사 앞에는 승리뿐이다
6. 사건 사고
- 12.12 군사반란 당시 9사단장이던 노태우의 명에 의해 제3야전군사령관의 출동 금지 지시를 무시하고 서울로 부대를 출동시켰다.
7. 여담
[1] 대대본부는 2007년도에 생활관 내부에 쥐가 돌아 다녔다.[2] 견달산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3] 다만 9사단 신교대 출신일 경우 그쪽도 침상 생활관이기 때문에 딱히 적응이 어렵지는 않다는 반응이 많다.[4] 심지어 이 이전 계획 때문에 주둔지 개선 사업이 지지부진했다는 설도 있다. 어차피 떠나야 하는데 굳이 고칠 이유가 있느냐는 논리.[5]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6] 12.12 군사반란 당시 연대장. 제3야전군사령관 이건영 중장의 출동금지 명령을 무시하고 서울 중앙청으로 출동하였다.[연대장] [여단장] [9] 청주대학교[10] 박근혜 정부에서 병무청장을 지낸 박창명(예) 중장)과는 동명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