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6:57:34

제13기계화보병여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사자)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사자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른 13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13여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 1사단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 7사단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 12사단 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 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 3사단 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 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 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 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 수도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31사단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 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수방사 52사단 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 60사단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상비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중강습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한미연합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stMB.jpg 파일:1rgt.jpg 파일:9여단.jpg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6rgt1.jpg
제13기계화보병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여단
파일:60여단 로고.png 파일:제61기계화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60기계화보병여단 제61기계화보병여단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제11기동사단 예하부대
제9기계화보병여단 제13기계화보병여단 제61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제13기계화보병여단
第十三機械化步兵旅團
13th Mechanized Infantry Brigade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공세적 기질의 무적 사자부대
창설일 1948년 5월 21일(제13보병연대)
2004년 12월 1일(제13기계화보병여단)
상징명칭 사자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11기동사단
규모 여단
역할 공격 부대, 전시 진격
여단장 대령 조철희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1. 개요2. 연혁3. 편제
3.1. 여단직할대3.2. 제13기계화여단 군수지원대대3.3. 제36전차대대 천마3.4. 제112기계화보병대대 진격3.5. 제129기계화보병대대 충무
4. 과거부대
4.1. 제59전차대대
5. 출신인물
5.1. 여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여단가6.2. 근무환경6.3. 훈련
7. 사건 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7기동군단 제11기동사단예하 제13기계화보병여단. 별칭은 사자부대.

2. 연혁

제13보병연대가 전신이다. 다만 이 연대는 한국전쟁 초반 제1보병사단 소속으로 임진강과 파주 방어전에서 1개 대대만 남을 정도로 괴멸당한 뒤 5사단 15보병연대 2개 대대와 최영희 연대장이 13연대에 병합돼 재건에 성공하고 15연대는 해체 수순을 밟았다.

하지만 15연대라는 호칭에 자부심이 있었던 15연대 출신 장병들은 15연대 해체 사유가 하필이면 군기도 잃을 정도로 괴멸당한 13연대 때문인 것, 또 자신들이 주류임에도 계속 13연대로 불리는 것에 불만이 있었고,# 이에 낙동강 다부동 전투 말기에 연대장의 건의로 육본 일반명령(육53호)에 의거 8월 25일부로 15연대 단대호로 개칭되었다. 반대로 기존 13연대 장병들은 자신의 연대가 사라졌다며 탄식했다.

그리고 제11보병사단이 신규 창설될 때 그것과 동일한 제13보병연대를 신설함으로서 부활하였으나, 수도사단 일부가 분가한 27사단처럼 15연대 장병들이 분가해 만들었거나 창설에 참여한 게 아니다보니 역사적으로 접점이 없다.[1]

3. 편제

3.1. 여단직할대

현재 여단본부와 제20기갑여단 소속의 방공대, 기갑수색중대, 정보중대, 화생방중대가 같이 주둔하고 있다. 여단본부는 11사단 시절 그대로이고 신교대가 위치하던 곳에 20기갑여단 직할(중)대들이 입주한 것.

3.2. 제13기계화여단 군수지원대대

3.3. 제36전차대대 천마

부대개편으로 인해 59전차가 20기갑여단으로 가고 대신 20여단의 36전차가 13여단 예하로 들어오게 되었다.

부지는 거의 완벽한 평지에 가깝고 [2] 부대 뒤 쪽으로 홍천강이 흐르고 있으며,[3] 여단 본부와 마찬가지로 읍내에 위치한 사단 본부를 제외하고는 읍내 접근성이 가장 좋은 부대이기도 하다. [4] 입지조건으로는 최고의 환경을 자랑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단 내 간부 체력 측정이라든가 보여주기 식 이벤트성 행사를 이곳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청춘불패 시즌1의 군대체험 촬영을 이 대대에서 했다. [5] 물론 대대 인원들은 촬영에 사용 할 장비나 막사 청소 환경 정리로 2주 넘게 고생했지만...[6]



3.4. 제112기계화보병대대 진격

홍천읍에 있으며 검율리1대대, 오룡대대라고도 불린다.

인접한 위치에 오룡터널이 존재하고 있으며, 부대 바로옆에는 독립된 제20기갑여단의 53포병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마지막 6군단장인 강건작 중장이 대대장 (2006~2008) 재임했던 부대이다.

18년도 여름에 BTL 공사로 인해 컨테이너 생활을 하였는데 부대에 바람이 많이 불다보니 빨래가 다 날아가는 등 생활이 매우 불편했다. 공사가 완료된 지금은 무난한 상태.

19년도 초부터 신막사 공사를 시작하여 당 해 10월 막사를 준공하고 부대를 이전하였다. 지도상 부대 위치는 동일.

정비고가 탄약고와 같이 있는데 이동하는 거리도 길고 불편하다보니 특히 한여름과 한겨울에 불평이 매우 많다. 탄약고 초소에서 야간에 근무를 서다보면 텅 빈 도로와 터널이 눈에 들어오다보니 불길한 귀신과 관련된 괴담이 속출한다. 또한 탄약고 주변에 CCTV가 설치되어 있어 탄약고 근무를 서지 않아도 되었지만 비만 오면 꺼지는 통에 담당 근무자들은 판초우의를 뒤집어 쓰고 근무를 투입하였다.. 현재는 보수를 완료하여 CCTV근무로 대체한다.

2020년 5월 11사단 예하부대 최초로 KCTC 훈련에 사용하는 마일즈 장비 (대대 사용장비는 2세대, KCTC는 4세대) 를 활용하여 주둔지 내에서 소·분대단위 대항전 전투기술 숙달훈련을 진행하였다. 국방홍보원에서도 홍보 영상을 촬영하러 올 만큼 획기적인 훈련 시스템이었다. [7]

또 이 여파로 육군의 여러 부대에서 마일즈 장비를 활용한 훈련을 진행하게 된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당 해 8월 전군 기계화보병사단 최초로 한미 연합으로 KCTC 훈련에 참가하여 한미연합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여단급 전투훈련에 많은 공을 기여하였다.

기존 전력화 되어있던 K200 계열 장갑차에서 새로이 K21보병전투장갑차로 재전력화 하기 위해 현재 차량호를 공사했다.

2021.6.9 대대장 김모 중령이 여군 성추행 사건으로 보직해임 후 112대대에서 2중대 본부소대 수리부속병을 담당하여 진급한 홍주화 중령의 완전히 새로운 지휘부로 교체되었다.#

3.5. 제129기계화보병대대 충무

관련기사
북방면에 있어서 과거에는 북방 3대대로 불렸다.

2004년 기계화보병대대로 개편되기 전 현 위치에 주둔하던 13연대 1대대와 3대대가 모체부대이며, 13연대 3대대의 역사를 계승하고 있다.
코뿔소 마크가 인상적인 부대. 비공식적으로 코뿔소대대라 부른다. 북방사거리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대 정문이 오르막길이고 출입구 앞에 탱크 모형이 떡하니 서있는게 인상적이다. 시설이 꽤 준수한 편이고 여단본부 근방에 위치해 있다. k21 장갑차로 무장하고있으며 중대는 전투소대 3개와 박격포반 1개로 이뤄져있다.
충무대대라는 별칭은 1985년 13연대 3대대 36대 대대장이었던 이우진 중령 시절에 정해졌다. 당시 대대별칭을 정하는 간부회의에서 충무대대와 이무기대대가 경합했는데 대대장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존경하여 충무대대로 결정되었다




4. 과거부대

4.1. 제59전차대대

제20기갑여단으로 배속.

13여단 소속이었으나 개편으로 인해 20여단으로 전환 후 20기갑여단으로 개편됨에 따라 함께 독립했다.

5. 출신인물

5.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13기계화보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치업 예) 준장 육사 2기 [8]
2대 이성가 예) 소장 군영 1기 육군대학 총장, 제5군단
3대 김익렬 예) 중장 군영 1기 제1군단장, 제2군단장
00대 정두근 예) 중장 3사 7기 제6군단장
55대 박수 예) 준장 육사 47기 여단장 [9]
56대 문기수 준장 육사 49기 육군기계화학교장 [10]
김관수 대령 육사 50기 여단장 [11]
58대 이수득 소장 학사 23기 제8기동사단
59대 이진우 대령 육사 52기 여단장
60대 이창용 대령 육사 54기 여단장

5.2. 장교/부사관

5.3.

6. 기타

6.1. 여단가

화랑의 피를 받은 13여단은
오늘도 돌진한다 사자와 같이
우리들 모든것은 국가와 민족
우리들 새 기상은 백수의 왕자
나가자 싸우자 승리를 위해
무적의 사자부대 13여단이다

6.2. 근무환경

6.3. 훈련

7. 사건 사고

8. 여담



[1] 이와 비슷한 관계로는 제7보병사단수도기계화보병사단 쪽이 있다. 다만 이쪽은 한국전 전후로 양 사단이 1, 3연대를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해서 일말의 접점은 있다.[2] 막사 옥상에 올라가면 대대 전경이 한눈에 보일 정도이다. 홍천강이 싸고 도는 완벽한 평지이기 때문에 부대 바로 옆에 홍천공설운동장이 있을 정도다.[3] 강 근처가 자갈밭에 폭, 길이가 꽤나 있기 때문에 전차/장갑차 기동에 유리한 지형이다. 하단의 기동 체험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다.[4] 44번 국도가 부대 바로 옆에 있어 15분 이내로 읍내 진입이 가능하다.[5] 청춘불패 세트장이 사단 주둔지인 홍천군 시동에 있는 데다 타 대대는 부지가 산중턱에 있거나 막사가 구막사이거나 등등..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36전차대대가 선정되었다. 위 동영상 참고.[6] 참고로 촬영이 끝나고 바로 돌아오는 주 월요일에 전 중대 5박 6일 전술훈련을 나갔다.[7] 실제로 2000년 마일즈장비 개발에 최초 시험운영부대로 지정되고 대대ATT에 사용되어 1세대 장비실험을 시행함. #[8] 관동군 59사단 출신이며 번개장군으로 유명했다. 간략한 행적은 송호성 장군 맨 마지막 문단 참조.[9] ~2015.06.24[10] 2015.06.24~2016.12.15[11] 2016.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