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역 | ||
부전 방면 | 동해선 | 강릉 방면 고래불7.3 ㎞ → |
영 덕 ← 14.6 ㎞ | ||
동대구 방면 | ||
역명 표기 | ||
동해선 | 영해 Yeonghae 寧海 / 宁海 / [ruby(寧海, ruby=ヨンヘ)] | |
주소 |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벌영리 338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61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포항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
운영 기관 | ||
동해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동해선 | 2025년 1월 1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1선 단선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부산진 방면영 덕 ← 14.6 ㎞ | 동해선 영 해 | 삼척 방면고래불 7.3 ㎞ → |
[clearfix]
1. 개요
영해역사 |
2. 역 정보
역명판 |
축산면과도 멀지 않은 역이기 때문에 이쪽 수요도 담당할 것 같아 보인다.
승강장은 본래 2면 4선으로 준비되지만, 첫 개통시에는 단선으로 개통되기에 1면 2선의 역으로 들어선다. 농로와 7번 국도 사이에 선하역사로 설치된다.
2.1. 승강장
승강장 |
↑ 영덕 | |
ㅣ | 1 |
고래불 ↓ |
1 | 동해선 | 강릉·동해·부전 방면 | |
강릉·동해·동대구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인 영해면은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영해군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영덕읍과 더불어 꽤 규모있는 지역이다. 영해면사무소 소재지이며, 전통시장의 경우 영덕시장보다 영해시장이 더 활기찬 편이다.영양군 영양읍(201번)과 울진군 후포면(232번, 236번)까지 영덕군 농어촌버스(영해터미널 기점)가 다녀서 아직도 영양,후포 사람들이 종종 영해시장을 방문한다.
영해면 중심지인 성내리 영해시장과 영해만세탑이 역에서 1㎞ 거리이며, 600~700m 거리에 영해터미널이 위치해 있다.[2]
4. 연계 교통
영해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노선 |
영해역 (역 앞) | 212(보림리) 213(백청리) 222(영해터미널) 243(각리리) 245(아곡리) 253(축산리) 255(상원리) 259(축산리) 262(사진리) 263(축산리) |
영해역 (역 건너) | 257(경정리) / 나머지 노선은 모두 영해버스터미널 종착. |
5. 둘러보기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영덕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철도 | 동해선 | 장사역 · 강구역 · 영덕역 · 영해역 · 고래불역 |
도로 | 고속도로 | 서산영덕고속도로 · | |
국도 | 7번 국도, 34번 국도 | ||
지방도 | 914 · 918 · 920 · 930 | ||
버스 | 농어촌버스 | 영덕군 농어촌버스 | |
시외 · 고속버스 | 영덕터미널 · 영해버스터미널 · 강구 · 도곡 · 병곡 · 병원 · 장사 | ||
시외버스 노선 | |||
경상북도의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