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유니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센트럴 리그(Central League) |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한신 타이거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치바 롯데 마린즈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주니치 드래곤즈 | 오릭스 버팔로즈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요미우리 자이언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 문서 | |
<colbgcolor=#000><colcolor=#fe5a1d> 모기업 관련 정보 | 모기업 요미우리 신문 | |
일본시리즈 우승 ★★★★★★★★★★ ★★★★★★★★★★ ★★ | 1951 · 1952 · 1953 · 1955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81 · 1989 · 1994 · 2000 · 2002 · 2009 · 2012 | |
리그 우승 (47회) | 1936 추계 · 1937 춘계 · 1938 추계 ·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1949 · 1951 · 1952 · 1953 · 1955 1956 · 1957 · 1958 · 1959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76 · 1977 · 1981 · 1983 · 1987 · 1989 · 1990 · 1994 · 1996 · 2000 · 2002 · 2007 · 2008 · 2009 · 2012 2013 · 2014 · 2019 · 2020 | |
클라이맥스 시리즈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8 · 2019 · 2021 · 2024 | |
시즌별 요약 | 2011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현역 선수 경력 | 사카모토 하야토/선수 경력 · 토고 쇼세이/선수 경력 · 마루 요시히로/선수 경력 | |
경기장 | 1군 도쿄 돔 · 2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 · 지방 홈구장 히나타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 과거 고라쿠엔 스타디움 | |
홈 중계 채널 | 닛폰 테레비 | |
주요 인물 | 감독 아베 신노스케 · 선수회장 오시로 타쿠미 · 주장 오카모토 카즈마 | |
구단 상세 정보 |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과거 응원가 · 유니폼 · 순혈주의 · 여담 · 전통의 일전 · 10.8 결전 도쿄 시리즈 ·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 |
틀 문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 선수 | 역대 감독 | 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역대 4번 타자 |
[clearfix]
1. 개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주로 사용하는 컬러는 주황색과 검은색으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같다. 딱히 닉네임도 없던[1] 시절 뉴욕 자이언츠[2]가 여러 지원을 해줬고 당시 지원받은 유니폼을 그대로 일본으로 가져온 것을 시작으로 이어지고 있다.메이저리그에서 과거 혹은 현재 대세로 쓰는 색조합이 많다. 원정 색이 회색인 경우가 많으며, 연한 하늘색일 때도 있기는 있었다.
구단 색깔이 보수적인 편이라 의외로 스페셜 유니폼이 거의 없다.
2. 초창기
1950년. 왼쪽부터 카와카미 테츠하루, 나카가미 히데오, 치바 시게루. |
1950년대 유니폼. |
3. 1960.6 ~ 시즌 종료
}}}||홈 유니폼(벳쇼 타케히코) |
그러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의 퇴임과 함께 반 년도 채 못 가고 폐지되었다.
4. 1961 ~ 1974
}}}|| ||메인컬러를 다시 주황색과 검은색으로 복구했고, 홈 유니폼 바탕이 크림색, 원정 유니폼 바탕이 청회색으로 바뀌었다. 팔소매와 무릎 옆부분의 검정-주황 삼중선이 이중으로 들어간 것이 특징.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유니폼으로 이 유니폼을 입는 14년 동안 9년 연속 우승(1965~1973, 일명 V9)을 포함한 일본시리즈 우승 11회를 달성했다.
1972년부터 데상트가 유니폼 스폰서를 맡게 되면서 2005년까지 스폰서십 관계를 유지했다.
5. 1975 ~ 1980
}}}|| ||나가시마 시게오의 은퇴 및 감독 취임과 함께 유니폼을 일신하여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동일한 폰트를 적용하고 원정 바탕색을 하늘색으로 바꿨다. 팔소매와 무릎 옆부분의 삼중선은 하나로 줄어든 대신 굵어진 점도 특징.
1976년부터 최초로 등번호 위에 선수명이 들어갔으며 홈 유니폼 왼쪽 팔 소매의 TOKYO가 YOMIURI로 바뀌었다. 이후 홈 팔소매의 로고는 YOMIURI로 계속 고정 중.
오 사다하루의 통산 홈런 신기록 수립으로 유명한 유니폼이지만 이 유니폼을 입은 6년간 센트럴리그 우승은 2차례 달성했으나(1976~1977년) 구단 역사상 첫 최하위(1975년)를 포함해 일본시리즈 우승을 1번도 달성하지 못하면서 성적은 V9 시기에 비해 좋지 못했다.
6. 1981 ~ 1985
}}}|| ||후지타 모토시 감독 취임과 함께 1961~1974년 유니폼과 거의 비슷한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이 유니폼을 입고 V9 이후 8년 만에 1981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7. 1986 ~ 1992
}}}|| ||디자인은 이전과 동일하나 단추형에서 V넥 풀오버형으로 바뀌었다.
코라쿠엔 구장 시절 최후의 유니폼이자 도쿄돔 시대의 첫 유니폼이며, 이 유니폼을 입고 1989년 일본시리즈에서 리버스 스윕 우승을 달성했다.
8. 1993 ~ 2005
}}}||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 취임과 함께 단추형 유니폼으로 회귀했고 Y넥을 도입했다. 그리고 모자, 헬멧의 바탕과 로고의 검은색이 짙은 남색으로, 원정 유니폼 바탕이 회색으로 바뀌었다.
2차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 시기를 상징하는 유니폼으로, 마츠이 히데키, 니오카 토모히로, 우에하라 코지 등의 새로운 주축들과 1994년, 2000년 일본시리즈 우승, 1996년 최대 11.5게임차를 뒤집은 일명 '메이크 드라마'의 센트럴리그 역전 우승 등의 추억으로 회자되고 있다.
유니폼을 쓸 동안 몇 차례의 변경점이 있었는데 변경점은 아래에 후술.
8.1. 2002.7 ~ 2004 원정
}}}||2002년 7월에 요미우리 그룹 재편으로 기존에 구단 운영을 맡던 '주식회사 요미우리(株式会社よみうり)'가 주식회사 요미우리 거인군(株式会社読売巨人軍)으로 바뀌면서[4] 원정 유니폼 로고를 TOKYO에서 YOMIURI로 바꾸며 모기업 이름을 전면에 내걸었고, 등번호 폰트가 임팩트체로 바뀌었다. 다만 등번호 폰트는 2004년에 기존 폰트로 돌아왔다.
그러나 애초에 팀명을 요미우리로 부르는 것조차[5] 매우 싫어하는 자이언츠 팬들이 요미우리가 앞면에 박힌 이 유니폼을 워낙 싫어한 탓에 "우리들은 요미우리의 팬이 아니다! 자이언츠 팬이다!"라는 플래카드까지 걸며 항의할 정도로 평이 나빴고, 결국 2004년을 끝으로 이 유니폼은 쓰이지 않게 되면서 앞면 요미우리 로고는 사실상 영구퇴출당했다.
이와는 별개로 2002년 일본시리즈 우승 당시의 유니폼이기도 하다.
8.2. 2005 원정
}}}||YOMIURI를 버리고 모자에 쓰이는 YG 로고를 도입했다. 다만 디자인이 그다지 좋다고 하기 힘든 데다 하필 이 해 팀이 여러 가지 내부 문제로 무너지며[6] 구단 기록인 80패를 찍는 등 역대 최악의 시즌으로 손꼽힐 만큼 나락으로 떨어진 탓에 1년 만에 디자인이 바뀌며 흑역사가 되었다.
8.3. 2002 ~ 2004 세컨드
}}}|| ||2002년부터 2004년까진 스프링캠프와 시범경기, 연습용으로만 사용되는 세컨드 유니폼을 채용했다. 로고는 홈, 원정 모두 Giants로 동일했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얼터 유니폼 로고와 거의 비슷했다.
검은색 바탕을 처음으로 도입한 유니폼이다.
9. 2006 ~ 2013
홈 유니폼(이승엽) | 2006~2008.5.18 원정 유니폼(사카모토 하야토) |
하라 타츠노리 감독 복귀와 함께 유니폼 스폰서가 아디다스로 바뀌었고, 일부 요소들만 변경되던 기존과는 달리 유니폼 디자인에 큰 변화가 생겼다.
홈, 원정 모두 메인 로고가 GIANTS, 팔소매 로고가 YOMIURI로 통일되고 텍사스 레인저스와 유사한 각진 폰트로 바뀌었다. 또한 바지 디자인도 윗부분에만 검은색-주황색 3중선 3개가 걸치는 형태로 바뀌었다.
특히 원정 유니폼은 가장 개변이 컸는데, 2004년까지 입었던 세컨드 원정 유니폼과 유사하게 처음으로 메인 컬러에 검은색을 정식 도입했다. 이외 홈과의 차이점은 더위 문제를 위해 겨드랑이 부분을 회색으로 따로 구분했고, Y넥에서 검은색이 빠지거나 뒷면 선수명, 등번호 색깔이 회색(선은 흰색)으로 바뀌었다는 점.
유니폼 도입 초반엔 2년 연속 B클래스(2006년)를 찍거나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광탈당하는(2007년) 불운을 겪었으나 2008년에 한신 타이거스와 13게임차까지 벌어진 것을 메꾸고 역전 센트럴리그 우승을 달성한 것을 시작으로 4번의 리그 우승과 2009년 일본시리즈, 2012년 일본시리즈 제패를 달성하면서 새로운 전성기를 열었다. 현재까지 마지막 일본시리즈 우승 유니폼이기도 한, 사실상 구단의 마지막 전성기를 상징하는 유니폼.
다만 원정 유니폼은 한국에서 이승엽 버프로 평가가 좋았던 것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악평이 많았고 판매량도 부진하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았고, 결국 2008년 교류전부터 입었던 하단의 유니폼을 교류전 종료 후에도 원정에서 계속 입게 되면서 메인 원정 유니폼에 다시 검은색 바탕이 돌아오는 일은 없었다.
2011년 한정으로 당시 동일본 대지진로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추모와 피해를 입은 지역들의 부흥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유니폼에 검은 리본을 달았다.
9.1. 2008.5.20 ~ 2009 원정
마츠모토 테츠야 |
2008년 교류전 시작일인 5월 20일에 전용 원정 유니폼을 입게 되었는데, 검은색인 메인 원정과는 반대로 밝은 회색 바탕을 사용했고 로고와 등번호도 홈 유니폼과 똑같이 변경되었다. 기존 원정 유니폼의 특징인 겨드랑이 부분은 검은색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사실상 색반전 유니폼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
교류전 종료 후에도 이 유니폼을 그대로 원정 유니폼으로 입었고, 이후 팀이 후반전에 맹렬한 기세로 한신을 쫓은 끝에 13게임차 역전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9년부터 평가가 안 좋았던 검은색 유니폼을 대신하는 메인 원정 유니폼으로 정식 채택되어 이 유니폼을 입고 2009년 일본시리즈를 제패했으나 시즌 종료 후 원정 유니폼이 바뀌면서 1년 7개월 가량의 짧은 기간만 입는 데 그쳤다.
10. 2010 ~ 2013 원정 : 아디다스
더 짙은 회색을 사용하며, 옆구리에 있던 검은 부분이 사라졌다.
11. 2014 : 아디다스
2014년에는 홈, 원정 모두 모기업명을 전면에 부각하지 않고 GIANTS만 새기고 있다. 광고도 극도로 적은 편. 헬멧 옆면 글자 역시 GIANTS PRIDE만 몇년째 붙어 있다. 2014년 시즌에는 같은 디자인을 바탕으로 홈유니폼 글자 폰트를 교체하고, 원정 유니폼 색을 7~80년대와 같은 하늘색으로 바꿔서 입는다.
서드 유니폼은 주황색인데 이것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면 입지 않는다.[7]
그러나 2014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에서 이 유니폼을 입고 부전승을 제외하면 1승도 못 거두고 오승환에게 능욕당하고 탈락했다.
12. 2015 ~ 2016 : 언더 아머
파일:external/www.giants.jp/img_20150115145026788_6771981795357842368.jpg아디다스와 계약 만료 후 언더 아머를 새 유니폼 스폰서로 선정하였으며[8], 원정 유니폼의 TOKYO가 부활했다. 원정 유니폼의 색은 계속 하늘색을 쓴다. 이로써 70~80년대 유니폼[9]의 느낌과 전통을 완전히 되살리면서 오랜 방황을 거쳐 다시 프로다운 유니폼으로 복귀한다. 선수명 폰트도 바뀌었다.
서드 유니폼은 주황색을 유지한다.
13. 2017 ~2020 : 언더 아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똑같은 구단 팀컬러인 검은색과 주황색을 처음 도입한 1953년 유니폼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회귀했는데, 과거 V9 당시의 유니폼과도 거의 같은 디자인이다. 앞쪽 등번호는 여전히 없고 모자의 챙 끝부분에 있던 주황색 파이핑이 뜬금없이 빠져버렸다. 또 하늘색에서 회색으로 바뀐 원정유니폼은 평가가 다소 갈리는 편.
그러나 이 유니폼을 입은 첫 해인 2017년 구단 사상 최초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실패라는 굴욕을 당하였다. 이대로 성적이 계속 나빠지면 주니치 드래곤즈의 1954년도 우승 유니폼을 그대로 따왔다가 흑역사화 되어버린 2014~2016년 유니폼과 마찬가지로 흑역사가 될 지도 몰랐지만 2019년~2020년 리그 우승을 거두며 조금 사그라들었다 싶었는데 2010년대 들어 쿠도 감독 지휘 하에 리그를 폭격하는 매떼들한테 그 2년간 전세계 야구 역사상 다시 없을 일본시리즈 2년 연속 피스윕을 당했다.
14. 2021~2022 : 미즈노
지난해와 거의 차이가 없지만 폰트가 변경되었고 전면에 선수 번호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유니폼을 입은 2년 내내 루징 시즌을 기록한 것은 물론, 2022년엔 구단 역사상 2번째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실패하며 팬들에게 좋지 못한 기억을 남겼다.
15. 2023 : 나이키
2023년부터 나이키와 12년간 파트너십 계약을 맺고 유니폼을 공급받게 된다. 이로써,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 LCK T1에 이어 나이키의 유니폼이 요미우리에도 사상 최초로 들어오게 되었다. 굿즈 판매는 Fanatics[10]가 담당한다.
유니폼 디자인 자체는 바뀌지 않았으나, 앞판의 등번호가 사라지고 뒷판 등번호 위의 선수명 표기도 삭제되었다. 정식 유니폼에서 선수명이 빠진 것은 1975시즌 이후 48년 만의 일.[11]
서드는 검은색이고, 제 4 유니폼은 주황색이다.
이 유니폼을 입은 2023년엔 거의 시즌 내내 B클래스에 머물며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CS 진출에 실패했다.
16. 2024 ~ : 나이키
창단 90주년을 맞이하여 유니폼에도 대격변이 이루어졌다. 티파니앤코와의 협업으로 기존에 쓰던 YG 로고를 리마스터링하고, 원정 유니폼용 TG 로고도[12] 새로 공개했다.
홈 유니폼은 팔 소매 정도를 제외하면 큰 변화가 없으나 원정 유니폼이 크게 변했다. 주황색이 전혀 들어가있지 않으며, 모자에는 새로 만든 로고를 적용했다. 여기에 홈 유니폼처럼 선수명 표기를 빼버려서 뉴욕 양키스와 너무 비슷해졌다는 말이 많다.
라이벌팀인 한신의 옛 원정 유니폼과 비슷하다는 말도 많다. 한신의 옛 원정 유니폼이 뉴욕 양키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
https://youtu.be/tZ0y6V3CFl4?si=RdxyOYeVyrrJnvVH&t=25
2024년 9월 티파니앤코와의 콜라보 유니폼을 출시하는데, 배색이 KIA 타이거즈의 DWG KIA 유니폼과 유사하다.
[1] 이 시절의 팀이름은 "대동경야구구락부"였다. 언뜻 복잡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구락부는 영어 클럽의 음차라서 Tokyo Baseball Club이라는 아주 단순한 이름이다.[2] 1934년 당시 자이언츠 연고지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입성은 1958년.[3] 황화수은이 주성분인 빨강색, 주황색 사이에 가까운 색이다.[4] 정확히는 주식회사 요미우리가 본사에 합병된 이후 구단이 별도의 자회사로 독립했다.[5] 그래서 대다수의 팬들은 과거 구단명이자 자이언츠의 애칭인 쿄진으로 부른다.[6] 호리우치 감독과 키요하라 카즈히로, 터피 로즈와 같은 주축 선수들 사이의 불화, MLB 통산 579등판의 실력을 믿고 데려왔으나 4시합 23.62로 방화질만 한 그래서 상대팀 팬들이 등판시켜 달라고 콜까지 불렀다 댄 미셀리 등 외국인 선수들의 먹튀화, 투수진 붕괴와 막강한 타선과 정반대인 허약한 주루, 수비 등 이 해는 요미우리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쌓여오던 것이 그야말로 한번에 죄다 터져버린 시즌이었다.[7] 참고로 오른쪽에서 역동적인 포즈로 공중부양을 하고 있는 선수는 당시 백업 내야수였던 후지무라 다이스케로, 입단 동기 나카이 다이스케(가운데)가 인생 첫 끝내기를 치자 달려나오며 하이파이브를 하려다 저런 인상적인 사진이 찍혔다.[8] 언더아머 야구 유니폼 스폰서 제 1호다. 2호는 중간에 계약하는 다른 팀이 없다면 무려 30팀이나 될 뻔했으나 이전에 라미고 타오위안이 계약을 성사해 2호 자리를 먹고, 메이저리그와의 계약 철회로 3호는 다른 팀이 되었다.[9] 위의 79년 유니폼과 상당히 흡사한데 정확하게는 80년대에 입었던 원정유니폼의 디자인 그대로이다. 80년대의 원정 유니폼에서 앞부분의 등번호만 빠져있다.[10]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유니폼 제조사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미 레딧에서 저질 굿즈로 악명이 높은 회사이며, 한국 오버워치 e스포츠 팬덤도 호되게 당한 적이 있다.[11] 다만 2001시즌 한정으로, 홈경기 3연전에서 2차전 때 선수명을 뺀 일명 '백넘버(등번호) 데이' 유니폼을 착용한 적이 있었다.[12] 도쿄 자이언츠(Tokyo Giants)의 약자로 과거에 모자 약호로도 쓴 적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