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fbc00> | }}} |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11 | 112 | 114 | 115 | 118 | 121 |
122 | 124 | 128 | 132 | 134 | 142 | |
213 | 215 | 216 | 217 | 219 | 225 | |
226 | 236 | 246 | 313 | 318 | 323 | |
333 | 343 | 353 | 363 | 373 | 383 | |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
418 | 422 | 423 | 428 | 432 | 438 | |
442 | 452 | 462 | 472 | 482 | 513 | |
514 | 515 | 518 | 523 | 533 | 543 | |
711 | 712 | 713 | 714 | 715 | 716 | |
718 | 721 | 722 | 723 | 724 | 725 | |
728 | 732 | 734 | 735 | 742 | 743 | |
744 | 752 | 753 | 754 | 762 | 763 | |
772 | 773 | 818 | 918 | |||
[1]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1. 개요
- 구 124번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24번 | |||||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율리공영차고지) | 종점 | 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지웰시티자이) | ||
종점행 | 첫차 | 05:1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2:50 | 막차 | 22:50 | ||
평일배차 | 15~40분(1일 61회) | 주말배차 | 10~40분(1일 51회) | ||
운수사명 | 울산여객 | 인가대수 | 12대[1] | ||
노선 | 율리공영차고지 - 울산대학교 - 신복교차로 - 법원 - 옥동초등학교 - 공업탑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삼성정형외과의원) - 태화강역 - 자동차선적장 - 현대미포정문 - 송정타워 - 울산과학대학(동부캠퍼스) - 동구청 - 한라타워 - 한마음회관.울산대학병원 - 현대중.고등학교 → 녹수초등학교 → 서부패밀리아파트 → 서부패밀리110동 → 지웰시티자이 → 서부성원상떼빌북문 → 이후 역순 |
3. 역사
꽃바위 출발, 공업탑 회차, 울산대교 경유 시절의 노선도.
- 2015년 6월 8일에 신설되었다. 차량은 같은 날에 폐선된 1104번에서 8대를 가져왔다.
- 2017년 2월 11일에 '율리차고지 - 문수경기장 - 법원 - 울주군청 - 공업탑' 구간이 연장되며 '꽃바위 - 문재사거리 - 일산해수욕장' 구간이 '일산해수욕장 - 방어휴먼시아 - 대왕암공원'으로 변경되었다. 소속 차고지가 바뀌었지만 기점이 율리로 바뀌진 않았다. 그리고 107번과 112번에서 1대씩 가지고 왔다. 노선이 율리로 연장되기는 했지만 신복로터리와 울산대학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 울산대교는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으로 직행좌석버스 노선만 통과가 가능하여 2018년 8월 1일에 1401번과 일부 구간을 맞바꿔 아산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동시에 104번 출신 차량이 1대 증차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8월 15일에 다른 율리 출발 노선들과 같이 울산대학교를 경유하여 운행하게 되었다.[2] 이로 인해 율리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에서 문수호반광장(문수구장) 방면으로 바로 이동하는 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 일렉시티 수소연료전지차량이 2018년 10월 22일부터 뒤늦게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관련 기사 BIS 상에는 시간표는 수소버스만 별도로 나오나 추적은 일반 차량들과 동일하게 추적된다.(즉, 수소버스를 추적한다고 나오면 '출발예정' 또는 '운행종료'만 나옴) 그러다가 2019년 10월 8일에 말소되었다가 12월 말쯤에 3대를 정식으로 다시 출고했고 2020년 5월 4일부터 707번으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9년 7월 1일부터 개별노선제 시행으로 인해 울산여객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수소버스가 울산여객 소속이어서 그런 듯하다.
- 2020년 11월 9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1년 6월 4일에 1대가 감차되어 11대로 다니게 되었다. 다만, 불편 민원 때문인지[3] 7월 9일에 다시 12대로 환원되었다.
- 2023년 4월 15일에 시간표가 변경되어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되고, 율리 출발 막차 시간이 22시 35분에서 22시 40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동구 지역에서 태화강역, 롯데백화점 등 삼산동으로 갈 때 이용되는 노선[6] 중 하나이다. 게다가 이 노선은 봉수로를 경유하면서 삼산동으로 가는 다른 노선[7]에 비해 더 빠르게 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8][9] 특히 울산과학대학교 동부캠퍼스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에 절정을 이루는데 콩나물 시루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버스 내부가 꽉꽉 들어찬다.
- 또한, 동구 봉수로 연선 지역~공업탑 - 옥동 - 무거동 - 울산(과학)대의 장거리 고정 수요[10]도 탄탄한 편이다. 그리고 지웰시티자이행 막차 시간대에 승객이 생각보다 많은데, 학기 중에는 울산대생+옥동학원가+달동, 삼산, 태화강역의 귀가 수요가 모조리 이 노선으로 몰리기 때문이다.[11]
- 여담으로, 아산로를 경유하는 다른 일반노선으로 115번, 711번이 있는데, 두 노선이 같은 시간에 연달아 태화강역에서 동구 방면으로 갈 때 711번보다 124번이 더 혼잡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 이는 124번이 동구 방어동 인근 교통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에서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주는 역할을 톡톡히 하는 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겠다.[12]
- 동구 노선들 중 유일하게 종점이 아파트인 노선이다.
- 134번과 같이 무거동-옥동-삼산을 이어주지만 태화강역 이후로는 1도 겹치지 않는다.[14]
- 울산대교를 최초로 경유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유료도로지만 하이패스 단말기를 달지 않고 하이패스 차로를 그냥 통과했다. 운행횟수 등을 바탕으로 하여 통행료를 일괄 납부했기 때문이었다고. 대형차 기준으로 할인이 없다고 가정할 때 울산대교 1년 톨비만 약 1억에 육박했다.
- 일반 노선이지만 좌석 버스 차량이 많았다. 이는 124번이 개통된 날 같이 폐선된 1104번 노선에서 차량을 8대 가져왔기 때문. 물론 신차 출고로 인해 124번에 투입되는 차량들 때문에 좌석 버스는 다른 노선으로 이동했고, 전 차량 저상버스로만 운영했다.
- 2013년 11월 2일에 527번 종점이 바뀐 후 롯데백화점 울산점 앞에서 우회전하여 울산고속버스터미널 방향으로 향하는 일반버스 노선이 한동안 없다가 이 노선으로 인해 1년 7개월만에 다시 생겼다.
- 울산대교로 직향하는 특성상 꽃바위가 기종점인 노선들 중에서 동구를 빠져나갈 때 북구 땅을 전혀 밟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NH 시간대에 방어진순환도로 정류장에서 401번과 동시에 출발하였을 경우 공업탑 도착시간은 124번이 약 10분 정도 더 빨랐다. 하지만 이 역시 교통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긴 했다.
4.1. 노선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24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웅촌로 | |
우신고등학교입구 ▼ | ▲ 문수실버복지관 | |
대학로 | ||
옥현주공아파트앞 ▼ | ▲ 신복로터리 | |
남부순환도로 | ||
공원묘지입구 ▼ | ▲ 성광여고앞 | |
문수로 | ||
공업탑 ▼ | ▲ 신정고등학교앞 | |
삼산로 | ||
태화강역 ▼ | ▲ 이마트앞 | |
산업로 | ||
자동차선적장1 ▼ | ▲ 태화강역 | |
아산로 | ||
KCC울산공장 ▼ | ▲ 자동차선적장2 | |
방어진순환도로 | ||
송정타워 ▼ | ▲ 미포해양개발앞 | |
봉수로 | ||
서부패밀리 아파트 ▼ | ▲ 현대중, 고등학교 | |
방어진순환도로 | ||
서부패밀리 110동 ▼ | 서부로 | |
서부로 | ||
지웰시티자이 ▼ | ▲ 서부성원상떼빌북문 | |
지웰시티자이 회차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동구-남구 간 시내버스 | ||||
<colcolor=#373a3c><colbgcolor=#ffbc00> 염포로 경유 | 134 | 1134 | 1144 | |
아산로 경유 | 124 | 711 | 5001 | |
울산대교 경유 | 1411 | 1421 | ||
[1]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10대로 운행.[2] 문수호반광장 수요가 없었는지 노선 경유지 변경 요청 글이 올라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노선이 바뀌었다.[3] 특정시간대에 배차간격이 35분이 될 정도로(심할 땐 55분) 크게 늘어났다.[4] 세부 경로는 '동부도서관 → 녹수초등학교 → 서부패밀리아파트 → 서부패밀리110동 → 지웰시티자이 → 서부성원상떼빌북문'이다. 또한, 124번이 철수하는 대신 1411번이 대왕암공원으로 변경된다.[5] 그로 인해 일산해수욕장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6] 다른 노선으로 134번, 711번, 721번, 1134번, 1144번, 1411번이 있다.[7] 721번이 있는데, 학성공원을 지난 후 번영교로 해서 삼산동으로 가기에 124번에 비해 빙 돌아간다.[8] 특히 미포조선을 거쳐 아산로로 질러가기 때문에 대송동, 화정동, 방어동에서 시간 단축 효과가 타 노선들보다 월등히 크다.[9] 하지만, 방어진순환도로에서는 먼저 오는 134번을 타는 편이 낫고 711번이 10분 안에 온다면 711번을 타는 게 베스트이다.[10] 언급한 구간(동구 일부지역 제외)이 거의 1411번과 중복이라 수요를 사이좋게 나눠먹는다.[11] 하지만 노선 특성 상 남목으로는 가지 않으므로, 남목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134번을 타야 한다.[12] 실제로 봉수로 남쪽 끝에 위치해 있는 '송정타워' 한 정류장에서 승객들이 많으면 15명 이상 내리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13] 다만 삼산으로 갈땐 방향이 반대이므로 조심해야 한다.[14] 124번은 아산로-동구 봉수로-서부동을 경유하고 134번은 염포로-방어진순환도로-꽃바위를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