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99f> | }}} |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114 | 1115 | 1134 | 1144 | 1154 |
1214 | 1224 | 1411 | 1421 | 1432 | |
1452 | 1462 | 1703 | 1713 | 1715 | |
1723 | 1733 |
1. 개요
울산여객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 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약 111.4km[1]2. 노선 정보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1144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점 |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방어진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노포역) | ||
종 점 행 | 첫차 | 05:30 | 기 점 행 | 첫차 | 07:20 |
막차 | 20:00 | 막차 | 21:50 | ||
평일배차 | 60~130분(1일 12회) | ||||
운수사명 | 울산여객 | 인가대수 | 3대 | ||
노선 | 꽃바위 - 방어동행정복지센터 - 동울산우체국 - 남목1동 - 현대자동차정문 - 태화강역광장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삼성정형외과의원 - 옥동초등학교[2] - 법원 - 이예로 - 통신사로 - 여락고가차도 - 금정체육공원입구[3] - 노포역(환승센터) |
3. 역사
===# 구.1137번 #===- 울산광역시가 2100번 문제로 양산시와 푸른교통을 상대로 소송을 진행했으나 패소했다. 관련 기사 이로 인해 2007년 12월 22일에 1127번에서 10대를 가져와 학성공원과 울산대학교를 경유하지 않는 1137번을 신설했다. 관련 공지사항
푸른교통 노선과의 경쟁에 대한 내용은 부산-울산간 버스경쟁 문서 참고하십시오.
총 길이는 편도 43.1~43.5km, 즉 왕복 86.6km[4]다. 소요 시간은 노포역에서 공업탑까지 1시간 정도 걸리며 태화강역까지는 1시간 15분 정도 걸린다.[5][6] 2100번, 2300번과 같이 학성공원과 울산대학교 앞은 사뿐히 생략한다. 막차는 1127번보다 8분 빠른 23시 50분에 노포역을 출발한다.
울산 버스 중 1127번과 1137번의 버스 앞 행선판만 한국어, 한자, 영어 모두 표기되어 있었으나 2010년 12월경 전방 행선판이 LED로 전량 교체되었다.
과거에 714번과 1127번이 태화강역이 기점이었을 때는 울산에서 서창, 덕계로 이동할 때는 대부분 1127번과 이 노선을 이용하였는데 좌석이 더 편하고 714번은 배차간격이 넓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714번과 1127번의 기점이 농소차고지로 연장되면서 학성공원~터미널사거리~태화강 구간을 운행하지 않게 되면서, 이 노선이 삼산동, 달동에서 서창, 덕계로 갈 수 있는 유일한 울산면허 노선이 되었다.
거의 똑같은 루트를 달리지만 소속은 양산시인 2100번, 2300번과는 아치에너미 관계. 소송까지 갈 정도로 사이가 상당히 좋지 못하다. 2100번, 2300번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좌석차량 신차는 언제나 1127번, 1137번에 우선적으로 운행했다. 2012년 9월 20일에 학성버스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차종을 1137번에 전격 투입하여 일대 파란을 일으켰는데, 이 역시 이러한 경쟁에 따른 결과물이다. 전문 스윙도어형으로 위성티비 장착 유무를 뺀다면 KTX 리무진 급행에 투입되는 버스와 다를 바 없다. 이후 울산·남성여객과 한성교통, 신도여객[7]과 유진버스[8]도 유니버스를 구매하는 등 전 회사가 유니버스로 갈아탔다. 학성버스에서 구매했던 사양과 거의 비슷하지만 유진버스를 제외하면 승하차 시간을 줄이기 위해 스윙도어가 아닌 전문 폴딩도어로 구매했다. 그래도 광역좌석형 차량과 시내좌석형 차량의 차이는 극복하기 어려웠는지 울산 시내버스 간 무료환승으로 손님을 끌어모아 왔다.
그러나 2018년 11월 경부터 2100, 2300번이 환승제한을 풀면서 이 노선의 경쟁력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이제 2100, 2300번을 어디서 타던 간에 부산 도시철도·버스와 광역환승이 적용되기 때문에, 이 노선만이 커버하는 울산터미널~태화강역 구간을 제외하면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주력 구간인 삼산동, 옥동, 무거동 등지와 같은 남구 지역은 2100, 2300번을 타고 환승을 받는 게 부산까지 가장 저렴하게 가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물론 추후 KTX이음이 개통한다면 태화강역 환승수요가 늘 여지도 조금은 있다. 웅상, 웅촌, 무거동 등지에서 태화강역으로 가서 KTX이음을 이용하면 동해안이나 안동, 영주, 원주같은 중앙선 연선을 편리하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KTX이음이 언제 개통할지는 아무도 모르고 이쪽 도시로의 수요가 크게 없는 만큼[9] 그렇게까지 영향이 끼칠 가능성은 낮다.
결국 2020년대 들어서 이 노선은 울산시와 버스회사들이 자존심 차원으로 운행한다는 느낌이 강해졌다. 이 노선을 신설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버스업체쪽에서도 애착이 갈 수밖엔 없는 듯하다. 울산시는 운영방식이 수익금공동관리체계라 준공영제와 유사할 뿐 아직 버스준공영제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10] 참고로 울산대나 시청 등 경유지가 다른 1127번은 수요가 유지되었으나, 1147번 개통 이후 운행댓수가 많이 넘어가면서 부산쪽 수요는 1147번으로, 웅상쪽 수요는 714번으로 몰리면서 똑같이 수요가 급감해버렸다.
2023년 5월 1일에 푸른교통의 부산-울산 노선이 폐지되면서 울산터미널과 노포동을 잇는 노선은 이 노선과 2100번, 2300번만이 남게 되었다. 그러나 구 1137 노선과 99% 유사한 울산 버스 1154 신설이 개편 직전 결정되면서 사실상 현상유지에 가깝게 되었다.
3.1. 현.1144번
- 2024년 12월 21일부터 시내버스 대개편으로 기점이 꽃바위로 연장 및 옥동중~금정체육공원 사이에 있는 모든 정류장을 통과하고 태화강역 환승센터 미경유, 노선 번호도 1144번으로 바뀌었으며, 왕복으로 약 270분 가량 소요되는 장거리 노선 및 울산 직행좌석버스 중 막차가 가장 이른 노선으로 바뀌었다.{{{#!folding [ 변경 이전 노선도 ]
- 하지만 경상남도의 반발로 결국 개편 5일 전에 1144번은 3대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기존 1137번에서 기점만 명촌차고지로 연장한 1154번이 7대로 분리 신설되었다. 1154번은 구 1137과 노선이 거의 같기 때문에, 서류상 1137번의 후신은 1144번이지만 실질적인 후신은 1154번이라고 보는 것이 더욱 합당하다.
- 동시에 안 그래도 일렀던 막차가 꽃바위발 20:00, 노포발 21:50으로 더 앞당겨졌다.[11]
3.2. 양산시 웅상구간 폐지 논란
2021년 12월 11일부터 기점이 꽃바위로 연장될 예정이었고, 서창, 덕계지역 정차 정류소가 농협은행웅상지점, 덕계마을, 덕계상설시장으로 크게 줄어들 예정이었다. 양산 직행좌석버스들의 광역환승 도입으로 인해 동구 방면 수요를 잡아보려고 꽃바위로 연장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12] 하지만 결국 보류되었다.이 노선 개편에 우여곡절이 많았다. 11월을 전후해 지역에서 이루어진 노선 개편 의견조회 당시에는 대복교차로를 통해 이예로/통신사로로 진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웅촌지역 정차를 고려해 실제 노선 개편안 발표에는 초천교차로 진입으로 변경하였다가, 웅촌면 주민들의 반발로 최종적으로는 용당교차로 진입으로 바뀌었다.[13] 2009년 웅상대로 경유 시도 실패를 의식해서인지, 1137번의 노선변경이 아닌 1147번으로의 노선 흡수통합 이후 1147번의 계통분리 형태로 1157번 노선 번호 변경 형식으로 웅상구간 무정차를 준비했다.
하지만 이후 양산시에서 이 노선조정을 지탄하며 행정소송까지 불사하자# 결국 서창, 덕계 시가지 도로 경유를 유지하되 정차만 3개 정류소에서 취급하는 걸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노선번호도 그대로 1137번으로 유지할 예정이었다. 그리고 결국 1137번 관련 개편은 보류되었다.
2024년 울산 시내버스 개편으로 이 논란이 재점화되었고, 결국 1144번은 3대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기존 1137번과 거의 유사한 1154번을 신설했다.
4. 특징
- 노선 개편으로 인해 2023년 5월 1일에 폐선된 푸른교통 소속의 노포동~울산~방어진행 시외버스를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배차간격도 보통의 시내버스들보다는 길지만 과거 푸른교통 시외버스보다는 그나마 짧은 편이다.
- 법원만 경유 후 바로 이예로를 타고 노포동역까지 가서, 웅촌과 양산까지 경유해서 가던 1137번 시절보다 더 빠르게 노포까지 갈 수 있게 되었다.
- 2024년 12월 21일 노선개편에서 가장 성공한 노선이라는 얘기가 많다.[14]
4.1. 운임
울산 ↔ 부산 이용시에 시계외요금을 징수하며 울산 구간만 이용할 경우에는 시계외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가장 비싼 운임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울산 구간에서 탈 경우 노포역, 금정체육공원까지 가지 않는다면 기사에게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2024년 9월 1일 기준 요금표(괄호는 카드요금)
- 꽃바위 ~ 법원
일반: 2,500(2,300)원
청소년: 2,000(1,800)원
어린이: 1,500(무료)원 - 꽃바위, 법원 ~ 부산
일반: 3,100(2,900)원
청소년: 2,500(2,200)원
어린이: 1,700(무료)원
4.2. 노선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1137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중앙대로 | |
▼ | ▲ 금정체육공원,경륜장입구 | |
웅상대로 | ||
덕계상설시장 ▼ | ▲ | |
덕계로 | ||
혜인병원 ▼ | ▲ 덕계마을(덕계다리) | |
웅상대로 | ||
그랜드볼링장 ▼ | ▲ 명동마을 | |
서창로 | ||
용당마을 ▼ | ▲ 북부마을 | |
웅상대로 | 대운로 | |
▲ | ||
웅상대로 | ||
상대마을 ▼ | ▲ 웅비공업지구 | |
웅촌로 | ||
문수경기장 ▼ | ▲ 문수실버복지관 | |
문수로 | ||
공업탑 ▼ | ▲ 옥동초등학교 | |
삼산로 | ||
태화강역 ▼ | ▲ 이마트앞 | |
산업로 |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 동해선 광역전철: 태화강역
- 일반 철도역: 태화강역(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KTX-이음)
6. 둘러보기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경유 울산·양산 버스 노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fff> 울산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양산 | 직행좌석 | ||
일반버스 | |||
마을버스 |
[1]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중 운행거리 2위이며 부울경 직행좌석버스 중 부산, 거제 버스 2000(약 115km) 다음으로 운행거리가 긴 노선이다.[2] 구.울주군청이 있던 곳이다.[3] 경유 가능한 다른 노선으로 1154번이 존재한다. 1214번과 1224번은 무정차 통과한다.[4] 개편 후 55.4~55.8km, 왕복 111.4km, 이는 부울경 직행좌석 및 급행노선 중 부산, 거제 버스 2000와의 왕복 운행거리에 맞먹는 운행거리다.[5] 하지만 첫, 막차 시간대에는 기종점간 소요시간이 55분 전후로 날아가기도 한다.[6] 꽃바위 연장시 편도 1시간 30분, 왕복 3시간 안팎.[7] 2021년 9월 1일에 신도여객이 파산하면서 대우여객으로 넘어갔다.[8] 2019년 7월 1일 신도여객으로 넘어갔다가 2021년 9월 1일에 신도여객이 파산하면서 대우여객으로 넘어갔다.[9] 당장 노포동터미널에서도 안동, 영주, 원주행 버스 노선의 배차가 각각 하루 10회 미만이다. 그나마도 서울과 달리 안동, 영주는 한 버스로 저 두 도시를 모두 다니고 있다. 부산에서는 노포동터미널이 이쪽 방향을 독점하고 있음에도 이런 배차가 나온 것이다.[10] 준공영제는 2023년에 시행할 예정이었지만 재검토에 들어간 상태이다.[11] 다만 신설되는 1154번이 기존 1137번처럼 명촌발 22:30, 노포발 23:50으로 운행하고 있긴 하다.[12] 동구/북구 연장구간에선 겨우 5개(차고지 포함 6개) 정류장만 정차할 예정인데, 이는 비슷한 시기 운행이 중단된 시외버스 해운대-울산 노선의 방어진 연장운행당시 정차 정류장과 동일하며, 5002번 신설 당시 정차 정류장과 비슷하다. 참고로 5002번은 지금은 10개 정류장에 정차하지만 초기에는 5개 정류장에만 정차했다.[13] 웅촌면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히 심했다. 1147번도 원래 초천교차로 진입으로 바뀌려 했으나 그대로 용당교차로로 진입한다.[14] 다만 운행 댓수가 3대만 있어서 아쉽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