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8:48:53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4

파일:Yu-Gi-Oh!_Korean_Original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OCG OCG 시리즈 (부스터 팩 · 덱 빌드 팩 · 스트럭처 덱)
듀얼리스트 팩 | 컬렉터즈 팩 | 엑스트라 팩
게임 룰 마스터 듀얼 | 스피드 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 금지제한 | TCG 금지제한 | KCG 금지제한
규칙 및 용어 공식 룰 용어 | 비공식 용어 | 룰 효과 | 효과 외 텍스트 | 특수 재정
특수 승리 | 턴 구성 | 우선권 | 체인 시스템 | 소생 제한 룰
헷갈리기 쉬운 룰 | 오역
카드의 종류 몬스터 카드 (소환 · 레벨 · 속성 · 종족) | 마법 카드 | 함정 카드
기타 역사 | 평가 | 카드군 | 스토리 및 설정 | 논란 및 사건 사고 }}}}}}}}}
파일: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24 로고.png
<colcolor=#373a3c> Yu-Gi-Oh! World Championship 2024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4
<colbgcolor=gold> 대회 기간 2024년 4월 13일 ~ 2024년 9월 8일
주최 코나미
주관
경기장 미국 시애틀
중계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정
대표 선발 기간 OCG[1]: 2024년 4월 13일 ~ 2024년 6월 30일[2]
마스터 듀얼: 2024년 6월 11일 ~ 2024년 6월 24일
듀얼 링크스(스피드 듀얼): 2024년 6월 3일 ~ 2024년 6월 17일
듀얼 링크스(러시 듀얼): 2024년 6월 3일 ~ 2024년 6월 17일
행사 날짜 2024년 9월 7일 ~ 2024년 9월 8일
1. 개요2. 일정3. 진행
3.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3.1.1. 예선
3.1.1.1. 국내3.1.1.2. 해외
3.1.2. 본선
3.1.2.1. 리미트 레귤레이션3.1.2.2. 국내3.1.2.3. 해외
3.1.3. 결과
3.2. 유희왕 마스터 듀얼 부문
3.2.1. 예선3.2.2. 본선3.2.3. 결과
3.3. 유희왕 듀얼링크스 부문
3.3.1. 예선3.3.2. 본선3.3.3. 결과
4. 여담

[Clearfix]

1. 개요

공식 특별 영상
"유희왕 카드게임"의 세계 최고 듀얼리스트를 결정하는 대회
"Yu-Gi-Oh! World Championship"에 도전하라!
Become the top Duelists in the World!

태평양 표준시 기준 2024년 9월 7일부터 8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되는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특설 사이트

본 대회는 유희왕 실물 카드 부문, 유희왕 듀얼링크스(스피드 듀얼) 부문, 유희왕 듀얼링크스(러시 듀얼) 부문, 유희왕 마스터 듀얼 부문으로 총 네 가지 종목으로 대회가 개최된다.

2. 일정

  • 2024년 3월 7일: 개최 발표
  • 2024년 4월 13일: OCG 한국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4월 13일: 공인 매장 카드샵 대표 선발전 개시
    • 2024년 4월 14일: 부산 BEXCO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4월 28일: 대구 EXCO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5월 12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6월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6월 9일: 제주 제주대학교 아라컨벤션홀 대표선발전 개시
  • 2024년 6월 3일: 듀얼링크스(러시 듀얼, 스피드 듀얼) 예선 개시
  • 2024년 6월 7일: 듀얼링크스(러시 듀얼 부문) 에리어 대표 결정전 개시
  • 2024년 6월 10일: 듀얼링크스(러시 듀얼 부문) WCS2024 예선 종료, OCG 한국 대표선발전 종료
  • 2024년 6월 11일: 마스터 듀얼 부문 WCS2024 예선 개시
  • 2024년 6월 14일 듀얼링크스(스피드 듀얼 부문) 에리어 대표 결정전 개시
  • 2024년 6월 17일: 듀얼링크스(스피드 듀얼 부문) WCS2024 예선 종료
  • 2024년 6월 21일: 마스터 듀얼 부문 에리어 대표 결정전 개시
  • 2024년 6월 24일: 마스터 듀얼 부문 WCS2024 예선 종료
  • 2024년 6월 30일: 한국 대표 선발전 최종전 개시
  • 2024년 9월 7일 ~ 2024년 9월 8일: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4 행사 개최

3. 진행

3.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3.1.1. 예선

3.1.1.1. 국내
  • 지역 대표 선발전 덱 분포표
[ 펼치기 / 접기 ]
|| 지역 || 분포표 ||
부산 홀 (32강) 염왕+스네이크아이 7
마술사 3
R-ACE 3
순성 3
낙인 2
샐러맨그레이트 2
언체인드 2
스네이크아이 2
드래곤링크 1
인페르노이드 1
SPYRAL 1
아다마시아 1
스프라이트+트라이브리게이드 1
엑소시스터 1
호루스+키메라 1
미캉코 1
대구 홀 (32강) 염왕+스네이크아이 10
스네이크아이(순수) 7
천배룡 5
순성 2
키메라 2
육화 1
마나둠 1
령수 1
드래곤 링크 1
불꽃성기사 미캉코 1
환주 1
서울 홀 (32강) 천배룡 10
염왕 8
스네이크아이 2
패왕 환주 3
패왕 마술사 2
샐러맨그레이트 1
퓨어리 1
환주 1
언체인드 유벨 1
낙인 1
순성 1
스네이크아이(호루스) 1
광주 홀 (32강) 스네이크아이 10
천배룡 5
염왕 4
령수 2
드래곤링크 2
언체인드 1
루닉 1
세리온즈+호루스+나츄르+센츄리온 1
패왕 환주 1
라뷰린스 1
이그니스터 1
퓨어리 1
낙인 1
호루스 나츄르 1
제주 홀 (32강) 스네이크아이 6
천배룡 5
루닉 4
순성 4
드래곤링크 2
키메라 2
마술사 2
염왕 1
유벨 1
마나둠 1
환주 1
라뷰린스 1
히어로 1
낙인 1

  • 지역 대표 선발전 TOP 4
지역 대표 우승 준우승 TOP 4 TOP 4 비고
부산 홀 김O태
엑소시스터
이O원
R-ACE
최O완
미캉코
임O덕
염왕
#
대구 홀 한O현
천배룡
김O현
스네이크아이
김O성
스네이크아이
김O우
스네이크아이
#
서울 홀 이O준
샐러맨그레이트
서O훈
천배룡
한O규
스네이크아이
이O민
스네이크아이(호루스)
#
광주 홀 민O현
드래곤 링크
종O용
스네이크아이
김O한
스네이크아이
신O재
퓨어리
#
제주 홀 주O은
키메라
김O안
천배룡
김O영
천배룡
박O영
루닉
#
3.1.1.2. 해외

3.1.2. 본선

3.1.2.1. 리미트 레귤레이션
금지 카드 [ 펼치기 / 접기 ]
||<table bordercolor=#B72837><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B72837>종류||카드 이름||비고||


제한 카드 [ 펼치기 / 접기 ]


준제한 카드 [ 펼치기 / 접기 ]
3.1.2.2. 국내
3.1.2.3. 해외

3.1.3. 결과

3.2. 유희왕 마스터 듀얼 부문

3.2.1. 예선

듀얼링크스의 시스템과 유사한 시즌 포인트제가 적용되며 각 분기 듀얼리스트 컵 2nd 스테이지 1위에게 세계대회 출전권(팀리더 자격)을 부여하면서 이전 대회보다 출전권이 늘어나게 됐다.

1)각 분기 듀얼리스트 컵 2nd stage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에서 실물 카드 부문의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출전했던 그리드 선수가 최종 1위를 차지하면서 세계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 마스터듀얼 부문 북미팀으로 참여했었던 Karmano 선수가 1위를 차지하며 출전권을 얻었다.
Karmano 선수가 2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2위를 차지한 타스쿠(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 마스터듀얼 부문 일본팀) 선수가 출전권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2)2024년 6월 월드 챔피언쉽 지역 예선
개최지인 에리어 C(북아메리카)는 1,2위에게 출전권이 주어지고 에리어 A(일본),B(아시아),D(라틴아메리카),E(유럽,중동,오세아니아,아프리카)에서는 각 에리어 1위에게 출전권이 주어진다.
  • 에리어 A(일본) : 이미 진출권을 가진 타스쿠 선수가 통합 1위를 차지하면서 통합 2위이자 에리어 2위인 stellar 선수가 출전권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에리어 B(아시아) : 에리어 B에서 유일하게 금장(통합 10위)을 차지한 梦小恒 선수가 에리어 1위를 차지했다.
  • 에리어 C(북아메리카) : 통합 20위를 차지한 Josh Kippenberg가 에리어 1위, 통합 43위를 차지한 Denis Nadas[3]가 에리어 2위를 차지하면서 출전권을 얻었다.
  • 에리어 D(라틴아메리카) : 통합 26위를 차지한 matheus braz가 에리어 1위를 차지하면서 출전권을 얻었다.
  • 에리어 E(유럽,중동,오세아니아,아프리카) : 통합 5위를 차지한 Eric Töpel[4]이 에리어 1위를 차지하면서 출전권을 얻었다.

3)시즌 포인트 팀랭킹
상기한 세번의 듀얼리스트 컵과 지역 예선을 통해 각 이벤트 상위 입상자 개인에게 시즌 포인트를 부여하고 팀(3인 1조)멤버들의 합계 포인트가 높은 상위 두 팀이 세계 대회 출전권을 얻게 된다.

3.2.2. 본선

3.2.3. 결과

3.3. 유희왕 듀얼링크스 부문

3.3.1. 예선

3.3.2. 본선

3.3.3. 결과

4. 여담



[1] 한국 기준.[2] 대표 선발전은 6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3] 실물 카드 부문 2023 YCS 필라델피아 우승자이며 듀얼링크스 KC컵에서도 여러 번 입상한 바 있다[4]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19 12세 이하 부문에 출전한 경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