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19:52:07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 그리스 왕국에서 넘어옴
파일:베르기나의 태양 흰색.svg
헬레니즘
Ἑλληνισμός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그리스-헬레니즘 역사
마케도니아 왕국 헬레니즘 제국 디아도코이 안티고노스 왕조 비티니아 왕국 폰토스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페르가몬 왕국 콤마게네 왕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인도-그리스 왕국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헬레니즘 시대의 전쟁
・ 헬레니즘 문화
・ 헬레니즘 미술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더스 문명
베다시대
드라비다인
십육대국
난다 왕조
마케도니아 제국 난다 왕조
마우리아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슝가 왕조 체라 왕국 촐라 왕국 판디아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서사트라프 칸바 왕조
쿠샨 제국 사타바하나 왕조
판디아 왕조
사산 제국 굽타 제국 바카타카 왕조 팔라바 왕조
칼라브라 왕조
에프탈 칼라추리 왕조 카담바 왕조
바르다나 왕조 찰루키아 왕조 판디아 왕국
팔라 제국
프라티하라 제국 라슈트라쿠타 왕국 팔라바 왕국
촐라 제국
프라티하라 제국 <colbgcolor=#fca311> 서찰루키아 왕조
<colbgcolor=#006400> 가즈니 왕조
고르 왕조 세나 왕조 야다바 왕조 호이살라 왕국 판디아 왕국
델리 술탄국 ·(노예 왕조)
델리 술탄국 · (할지 왕조)
델리 술탄국 · (투글루크 왕조)
티무르 제국 벵골 술탄국 바흐마니 술탄국 <colbgcolor=#006400> 마두라이 술탄국
비자야나가라
제국
구자라트 · 말와
사이드 왕조 · 로디 왕조 데칸 술탄국
무굴 제국
수르 제국
무굴 제국
마이소르 왕국
시크 왕국 무굴 제국 동인도
회사
마라타 제국
영국 동인도 회사
인도
영국
인도 제국
파키스탄 자치령 인도 자치령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인도 공화국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방글라데시 인민 공화국 }}}}}}}}}

인도-그리스 왕국
Ινδοελληνικό βασίλειο

𑀬𑀯𑀦
Yavana
파일:indo-greek-sindhu-yunani-yavana-kingdom-210-bce-10-ce-v0-p9wlknjwmipd1.webp
존속기간 기원전 180년 ~ 기원후 10년
주요 도시 탁실라
국가 원수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주요 국왕 메난드로스(기원전 155년? ~ 기원전 130년)
언어 코이네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종교 그리스 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종족 그리스인, 인도아리아인
성립 이전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마우리아 왕조
멸망 이후 인도-파르티아, 인도-스키타이
1. 개요2. 역사3. 문화

[clearfix]

1. 개요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가 건설한 헬레니즘 제국이 쇠퇴하면서 떨어져나간 그리스-박트리아인들이 인도 아대륙의 서북부 지역으로 넘어와 세운 왕국들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말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 초까지 펀자브를 중심으로 존재했고, 간다라 문화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메난드로스 왕의 사후 차츰 쇠퇴하여 서북 방면에서 몰려온 사카족들에 의해 멸망했다. 인도-그리스 왕국의 그리스인들은 고대 인도인들로부터 그리스의 별칭인 '이오니아'(Ἰωνία)에서 유래한 요나(𑀬𑁄𑀦, Yoṇa) 또는 야바나(𑀬𑀯𑀦, Yavana)라고 불렸다.

2. 역사

본래 이 왕국들은 알렉산드로스 3세헬레니즘 제국에서 쪼개진 셀레우코스 제국속주들이었다. 그러다가 셀레우코스 제국이 휘청거리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남겨두고 간 그리스인들이 박트리아 지방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을 세웠다.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에우튀데모스 왕조의 데메트리오스 1세의 집권기 때, 인도 서북지역을 넘어 이곳을 차지하고 있었던 마우리아 왕조를 몰아냈다. 그러나 에우튀데모스 왕조는 에우크라티데스가 일으킨 반란으로 인해 본거지인 박트리아 지역을 내주고, 인도 서북지역으로 피신하여, 이곳에 피난 왕조를 세웠다. 이것이 인도-그리스 왕국이었다.

인도-그리스 왕국은 단순히 나라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인도 지역의 그리스 계열 왕국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탁실라(Taxila), 카피사(Kapisa), 판차나다(Panchanada), 아라코시아(Arachosia), 푸슈칼라바티(Puskalavati), 사갈라(Sakala) 등이 있었다. 인도에 진출한 이들 그리스인들이 인도의 풍습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이들을 인도-그리스인 또는 박트리아-그리스인이라고도 부른다. 이들이 인도화되면서 그리스인들이 세운 왕국은 박트리아와 인도로 점차 나뉘게 되었다.

인도-그리스 왕국의 힘이 가장 강성했을 때는 인도 신화에서 비슈누 신의 성지였던 파탈리푸트라와 인도 서북부 해안의 여러 도시들이 이들의 지배를 받았다. 즉 인도 전체 면적의 약 3분의 1이 그리스인들의 지배를 받았던 것이다.

이들 인도-그리스 왕국들은 그리스 신화를 주로 믿었는데 이중 사갈라 왕국의 메난드로스 왕의 경우, 《밀린다왕문경》(Milinda Panho)( =《나선비구경》)에 의하면 수준 높은 불교적 담론까지 나눌 수 있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다만 역사적인 근거는 없다.[1]

인도-그리스 왕국의 인도 유입은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그 이유는 바로 그리스에서 주조한 화폐들이 이 시기에 많이 유입되어 후에 인도 역사의 연대를 규정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인도-그리스인들은 자신들만의 금화를 주조하기도 했는데, 이는 훗날 월지계 쿠샨 왕조에서 널리 성행하게 되었다. 거기다 이들의 침입으로 인도 서북 지역에서는 간다라 양식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헬레니즘 문화가 성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인도-그리스 왕국들은 월지인들에게 쫓겨온 사카족[2]의 침입으로 멸망하게 되었고, 사카족들의 국가인 인도-스키타이가 들어섰다.

그러나 기록상으로는 서기 3, 4세기에도 야바나인[3]의 정치집단이 확인되며, 9세기까지도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주화에 그리스어를 기입한 사례가 존재한다.

3. 문화

그리스인들의 문화와 인도의 문화가 섞인 헬레니즘 문화가 성행했다. 이의 영향으로 간다라 양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미술작품이나 건축, 석굴상 등이 제작되기도 했다. 통치자의 초상을 새긴 주화가 북인도와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그리스인 장인들에 의해 주조되었으며, 통치 및 행정 언어도 인도-스키타이 왕국 시대까지는 그리스어로 남아서, 이 시기에 인도를 여행한 그리스인은 그리스에서 인도까지의 기나긴 육로를 그리스어만 사용해 여행할 수 있었다는 기록을 남겼을 정도였다.

한편 그리스인들은 인도의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는데, 산스크리트어로 점성술을 뜻하는 “호라샤스트라”는 고대 그리스어로 천문과 시간 관측을 뜻하는 “흐로스코포스”에서 유래된 것이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헬레니즘 문화 문서를 참조.


[1] 《나선비구경》은 역사적인 대화를 엮은 책이 아니라, '가상인물'인 나가세나와 '전설화가 된' 메난드로스 왕을 내세운 '교리문답서'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이와 같은 《나선비구경》의 내용은 형식적인 면에서조차 ‘대론서’로 보기 어렵다고 한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밀린다와 나가세나라는 두 사람의 이름을 빌려 《나선비구경》이 성립할 당시, 불교 교단의 안과 밖에서 제기되고 있었던 교리적인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을 한 곳에 모아 문답의 형식을 취해 풀어나간 일종의 논서(論書) 성격을 지닌 교리문답서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4] 메난드로스는 그리스계 인도 군인 출신으로, 불교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밀린다빵하》(Milindapañha)를 일본어로 번역한 하야시마 교쇼(早島鏡正) 역시 메난드로스를 “불교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고, 게다가 인도 문화권 밖에 있는 헬레니즘 문화권 가운데서 자란 그리스 왕”이라고 소개했다.[5] 같은 책에서 저자는 메난드로스가 불교로 개종했다는 말을 '소문'으로 일축했다.[2] 스키타이계 민족[3] 인도인이 그리스인을 불렀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