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02:32:46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파일:베르기나의 태양 흰색.svg
헬레니즘
Ἑλληνισμός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그리스-헬레니즘 역사
마케도니아 왕국 헬레니즘 제국 안티고노스 왕조 폰토스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페르가몬 왕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인도-그리스 왕국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헬레니즘 시대의 전쟁
・ 헬레니즘 문화
・ 헬레니즘 미술
}}} ||
역사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아프가니스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옥수스-인더스 문명
아리아인
메디아 왕국
아케메네스 왕조
마케도니아 왕국
셀레우코스 왕조
박트리아 왕국
마우리아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인도-스키타이 왕국
쿠샨 왕조
사산 왕조
키다르 왕조 사산 왕조
에프탈백훈족
카불 샤 왕조 사산 왕조
중세 후나 라시둔 왕조
팔라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힌두샤시 카피사 왕국
타히르 왕조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제국
고르 왕조
호라즘 왕조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델리 술탄 왕조 일 칸국
카르트 왕조
티무르 제국
근대 로디 왕조 무굴 제국
수르 제국 사파비 왕조
무굴 제국 호타키 왕조
아프샤르 왕조
두라니 왕조
현대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바라크자이 왕조)
아프가니스탄 왕국 (바라크자이 왕조)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중앙아시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옥수스 문명 / 안드로노보 문화
스키타이 사카
다하에 / 마사게타이 스키타이 사카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
헬레니즘 제국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강거
대월지 (토하라인)
쿠샨 왕조 (월지 계) 열반
사산 조 페르시아 {{{#!wiki style="margin:-20px 0px -30px -2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에프탈(백 훈족)
에프탈 공국 돌궐 제국
서돌궐
라쉬둔 칼리파
우마이야 왕조 안서도호부
투르게시 칸국 안서도호부
{{{#!wiki style="margin:-2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카라한 칸국
셀주크 제국 동 카라한 칸국
서요 (카라 키타이)
호라즘 왕조 서요


~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티무르 제국
모굴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2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부하라 칸국 야르칸드 칸국
히바 칸국
히바 칸국
멘셰비키 투르키스탄 자치국 알라시 자치국 투르키스탄 자치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Greco-BactrianKingdomMap.jpg
박트리아
Βακτριανή
(그리스어)
Baktrianḗ
βαχλο (박트리아어)
Bakhlo
존속기간 기원전 256년? ~ 기원전 130년?
위치 중앙아시아
수도 박트라
국가원수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주요군주 디오도토스 1세(기원전 256 ~ 기원전 239)
데메트리오스 1세(기원전 205? ~ 기원전 171?)
언어 코이네 그리스어, 박트리아어
종교 그리스 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종족 그리스인, 박트리아인
성립 이전 셀레우코스 왕조
멸망 이후 인도-그리스 왕국

1. 개요2. 역사
2.1. 건국2.2. 발전, 왕조 교체와 지배권 확립2.3. 에우티데모스 왕조에 의한 인도-그리스 왕국의 설립2.4. 멸망
3. 특징4. 역대 왕

언어별 명칭
코이네 그리스어 Βακτριανή (Baktrianḗ)
박트리아어 βαχλο (Bakhlo)
고대 페르시아어 𐎲𐎠𐎧𐎫𐎼𐎡𐏁 (Bāxtriš)
페르시아어 باختر (Bākhtar)
파슈토어 بلخ (Balkh)
산스크리트어 बाह्लीक (Bāhlīka)
한자 大夏 (대하)
[clearfix]

1. 개요

파일:8BCDFC1E-B4BF-44D2-859D-E13EBD3DE0A6.jpg

기원전 256년 또는 246년~기원전 130년경까지 존속한 그리스계 인도-동방제국이다. 이 왕국의 재위 연도는 모두 ‘대략’적인 연도이다. 이는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왕들의 재위 연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2. 역사

2.1. 건국

기원전 325년부터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가 박트리아에 정착시켰던 그리스-마케도니아계 주민들은 향수병 때문에 계속 폭동을 일으키고 반란을 획책했었다. 결국 이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진 못했으나 이들의 후손들이 독립 왕국을 새우게 되었다.

박트리아 왕국의 초대 왕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박트리아 총독이었던 디오도토스로, 그가 바로 디오도토스 1세(기원전 256/246~239)였다.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권을 부정하고 자신이 왕임을 선포했다. 이 때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2세는 이집트와의 시리아 전쟁에 휘말려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곧이어 스키타이계 다하이족의 일원인 파르니족의 아르사케스 1세가 셀레우코스 제국과 박트리아 사이의 호라산 서부 일대를 정복하고, 파르티아를 건국하면서(기원전 247) 박트리아의 그리스인들은 지중해 세계의 그리스인들과의 교류에 제한을 받게 되었고, 결국 이 지역에서 독자적인 문명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2.2. 발전, 왕조 교체와 지배권 확립

이런 상황 속에서 디오도토스 1세의 아들인 디오도토스 2세(기원전 239 ~ 기원전 230/223)가 왕위를 계승했다. 디오도토스 2세는 자신의 지배권을 확고히 구축했고, 파르티아 왕국의 창시자인 아르사케스 1세와 평화 조약을 맺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재위 17년만에 부하였던 에우튀데모스 1세에게 살해당했다. 이로써 디오도토스 왕조는 몰락했다.

에우튀데모스 1세(기원전 230/223 ~ 기원전 200/195)는 찬탈자라는 자신의 위치를 만회하기 위해 선정을 베풀었다. 그는 셀레우코스 제국과의 전쟁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그러나 기원전 208년, 대왕 안티오코스 3세가 박트리아를 침공하자 사정이 달라졌다. 그는 10,000명이 넘는 기병을 동원하고서도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에게 대패했으며, 안티오코스 3세의 집요한 추격을 피해 수도인 박트라를 향해 필사적으로 도망칠 수 밖에 없었다. 박트라는 요새화된 도시로서 안티오코스 3세의 포위 공격을 2년 동안이나 견뎌냈다. 그 동안 나라는 말할 수도 없이 황폐화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자, 빨리 이곳에서의 전쟁을 끝내고 지중해로 돌아가고 싶었던 안티오코스 3세는 에우튀데모스 1세에게 ‘반역자 디오도토스 가문을 처단한 공으로 박트리아의 제후로 인정해준다’는 교서를 주고 서로 화해했다. 화친을 협상할 때 에우튀데모스 1세는 혼인 동맹을 제안함으로써 아들 데메트리오스가 안티오코스 3세의 딸과 결혼했고 이로써 그의 위상은 더 높아졌다. 셀레우코스 제국군이 철수하자 그는 국가의 재건을 위해 모든 힘을 쏟아부었다. 그를 헤라클레스로 묘사한 은화가 오늘날 트란스옥시아나부하라, 호라산의 발흐 등 교역 중심지에서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그는 기원전 190년경에, 혹은 더 일찍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뒤는 아들인 데메트리오스가 계승했다.

2.3. 에우티데모스 왕조에 의한 인도-그리스 왕국의 설립

파일:5A7F0BBA-AC5C-44A3-B481-9AFA2196430D.jpg
데메트리오스 1세(기원전 205/200~180/171)는 브라흐민들의 반란으로 국력이 쇠약해진 마우리아 제국의 북서부 영토를 침공했다. 마우리아 제국군은 박트리아의 그리스-중앙아시아의 혼성 군대에 힘없이 격파당했으며, 셀레우코스 제국이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쇠락해져 반란군의 세력에게 아라코시아를 잃자 그곳으로 쳐들어가 드랑기아나[1]까지 병합했다. 마우리아 제국은 그 후 얼마 못가 슝가 왕조에게 멸망당하고 말았다. 힌두쿠시 산맥 너머에 큰 영토를 만들고 대제국을 건설한 뒤 데메트리오스 1세는 암살당하고 말았다. 그는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와 마찬가지로 그리스인과 페르시아인, 인도인이 서로 융합된 세계제국의 이상을 추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데메트리오스 1세 재위 시기의 은화에는 코끼리 머리 모양의 모자를 쓴 모습의 그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힌두쿠시 산맥을 경계로 북쪽의 박트리아, 남쪽의 인도 왕국은 점차 다른 길을 걸어가게 되었다. 뒤를 이은 것은 에우튀데모스 2세(기원전 180)였는데, 그는 곧 암살당했고, 다음으로는 안티마코스 1세(기원전 180/171 ~ 기원전 167/160)였다. 그는 반란을 일으킨 에우크라티데스에게 패배하여 죽음으로써 에우튀데모스 왕조 박트리아는 끝장이 났다. 그러나 에우튀데모스 왕조는 힌두쿠시 산맥 남쪽으로 피신하여 탁실라와 사갈라를 수도로 하는 인도-그리스 왕국을 수립하게 된다.

2.4. 멸망

이리하여 에우크라티데스 왕조가 시작되었다. 에우크라티데스 1세(기원전 171/167~ 기원전 145)는 가장 유명한 그리스-박트리아 왕 중 한 명인데, 인도로 도주한 에우튀데모스 왕조를 추격하여 힌두쿠시 산맥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여 박트라로 쫓겨나고 말았다. 일설에는 에우크라티데스 1세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황족이라는 설이 있으나 매우 의심스럽다.디오도토스 왕조 후손으로 보기도 한다.그의 출신 성분이 분명치 않지만 어쨌든 확실한 것은 그가 그리스계의 혈통이 강한 집안에서 자랐다는 것이다. 그는 이제 이란 고원의 지배자가 된 파르티아의 왕 미트리다테스 1세와 싸웠는데, 그가 승리하여 잠시동안 파르티아와 인디아 왕국을 지배하에 둔 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아들들과 반목했던 것 같다. 에우크라티데스 1세는 기원전 145년, 에우튀데모스 왕가의 아폴로도토스에게 살해당하고 말았다. 그 뒤를 이은 것은 공동왕이었던 에우크라티데스 2세(기원전 145 ~ 기원전 140)와 헬리오클레스(기원전 145 ~ 기원전 130)였는데, 에우크라티데스 2세가 헬리오클레스에게 살해당한 것으로 보인다. 헬리오클레스는 그 후에도 10년 동안 권좌를 유지했으나, 대월지의 침입을 받아 왕좌를 빼앗김으로서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멸망했다. 인도-그리스 왕국의 에우튀데모스 왕가는 계속 살아남아 AD 10년까지 권좌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3. 특징

박트리아의 면적은 광대하다. 이 나라의 토양은 올리브 재배를 제외한 모든 경작에 적합하다. 셀레우코스로부터 독립한 이곳의 그리스인들은 이곳의 풍부한 자원 덕분에 매우 강력해졌다. 이들은 이미 많은 백성들과 속국들을 차지했으며,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인접한 해안 지방까지 쳐들어갔다.
- 스트라보
박트리아 왕국은 특이하게 그리스계 왕국이면서 중앙아시아에 위치해 유목민적 특색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그리스적 특색은 왕들의 이름과 주화에서 찾아볼 수 있고, 중앙아시아-인도풍과 페르시아적 특색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원래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토였으며,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동방 순수(巡狩)로 이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한 바 있다. 또, 이 왕국은 한 왕가가 지속성을 가지고 이어내려오지 못하고 여러 왕가로 대체되면서 왕국이 유지되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리스 박트리아 왕국의 그리스인들은 대개 박트리아 현지인들로부터 조로아스터교 풍습과 신앙을 받아들였다. 그리스인들이 불교로 개종하고 간다라 미술에 기여하는 시점은 이보다 후대인 인도-그리스 왕국 이후 시기부터이다.

4. 역대 왕

즉위순으로 나열함.
  • 디오도토스 1세
  • 디오도토스 2세
  • 에우튀데모스 1세
  • 데메트리오스 1세
  • 에우튀데모스 2세
  • 안티마코스 1세
  • 에우크라티데스 1세
  • 에우크라티데스 2세-헬리오클레스
  • 헬리오클레스


[1]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이란 동부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