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02:51:34

메디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메디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매체를 의미하는 Media에 대한 내용은 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도이란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이란인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페르시아인(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 다르드인(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사라이키인) | 벵골인(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라지푸트) | 힌두스탄인(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독립국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쿠르디스탄(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 인도이란어파
사상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대
엘람
신아시리아
메디아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왕조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마잔다란계 소국들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알라비 왕조
사즈 왕조
사파르 왕조
지야르 왕조 살라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
부와이 왕조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일 칸국
일 칸국 멸망 후 혼란기

중근세
티무르 제국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마잔다란계 소국들
백양 왕조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사파비 왕조
근대
아프샤르 왕조
아프샤르 왕조
잔드 왕조
카자르 왕조
현대
팔라비 왕조
마하바드 공화국
이란 이슬람 공화국 }}}}}}}}}

<colcolor=#191919,#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da0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페르시아) · 엘람 · 메디아 · 아케메네스 왕조 · 파르티아 · 사산 왕조 · 다부이 왕조 · 알라비 왕조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 지여르 왕조 / 사만 왕조 / 부와이 왕조 / 가즈니 왕조 / 살라르 왕조 / 카쿠이 왕조 / 고르 왕조 · 일 칸국 · 추판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인주 왕조 / 무자파르 왕조 / 카르트 왕조 · 티무르 제국 · 마라시 왕조 / 백양 왕조 / 흑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레비 왕조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라흐바르 · 이란 대통령 · 이란 부통령(이란 제1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이슬람 협력기구 · 상하이 협력 기구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이란 리알 · 넥스트 일레븐
사회 사회 전반 · 콩쿠르
국방 이란군 · 이란 해군 · 이란 공군 · 이란 방공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바시즈 · 이란군/차량 · 이란군/기갑차량
문화 문화 전반 · 이란 신화 · 조로아스터교 · 노루즈 · 샤나메 · 얄다 · 요리 · 라바시 · 이란/성문화 · 12이맘파 · 이란/스포츠 · 이란 영화 · 이란/여행 및 출장 정보 · 관광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페르시아어 · 할랄 인터넷 · 이란 방송 · 공휴일/이란
인물 키루스 2세 · 다리우스 1세 · 수레나스 · 샤푸르 1세 · 샤흐르바라즈 · 알 라지 · 오마르 하이얌 · 니잠 알 물크 · 이스마일 1세 · 아바스 1세 · 나디르 샤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알리 하메네이
지리 이란고원 · 자그로스 산맥 · 엘부르즈 산맥 · 루트 사막 · 카비르 사막 · 페르시아만 · 호르무즈 해협
민족 이란인 · 이란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 페르시아 유대인 · 이란계 독일인 · 이란계 프랑스인 · 이란계 러시아인
}}}}}}}}} ||

아나톨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미탄니 히타이트 트로이 미케네 문명
히타이트
신 히타이트 프리기아 리디아, 리키아, 카리아 그리스
(이오니아 / 도리스 / 아이올리스)
신아시리아 제국 리디아
메디아
고전 고대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제국
헬레니즘 국가
(안티고노스 / 리시마코스 / 셀레우코스 / 프톨레마이오스 / 아탈로스 / 비티니아 / 갈라티아 / 폰토스 / 카파도키아 / 콤마게네)
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중세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아바스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셀주크 제국 / 1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스미르나 / 다니슈멘드 / 멩귀치 왕조 / 아르투크 / 샤아르멘 / 살투크)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룸 술탄국 동로마 제국
룸 술탄국

니케아 제국 라틴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맘루크 2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 카라만 / 아이딘 / 잔다르 / 게르미얀 / 에레트나 / 멘테셰 /
사루한 / 카라시 / 하미드 / 둘카디르 / 에슈레피 / 자니크 / 아히 형제단)
동로마 제국
라마잔 카라만 / 잔다르 / 둘카디르 오스만 술탄국
}}} ||
근현대 오스만 제국
앙카라 정부
[[튀르키예 독립 전쟁|
그리스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
튀르키예 공화국 }}}}}}}}}
메디아
𐎶𐎠𐎭
Mādai
파일:attachment/oriental_empire.jpg
BC 700 ~ BC 549[1]
<rowcolor=#ffffff>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엘람 페르시아 제국
아시리아
<colbgcolor=#8B425F><colcolor=#ffffff> 수도 엑바타나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주요 국왕 퀴악사레스(BC 625 ~ BC 585)
언어 메디아어[2]
민족 메디아인
종교 미트라교, 조로아스터교
언어별 명칭
고대 페르시아어 𐎶𐎠𐎭 (Mādai)
페르시아어 ماد‎ (Mâd)
아카드어 𒆳𒈠𒁕𒀀𒀀(mat Mādāya)
고전 그리스어 Μῆδοι

1. 개요
1.1. 역대 통치자

[clearfix]

1. 개요

메디아는 이란계 고대 민족과 그들이 세운 국가로써 이란 북서부 고원에서 건국되었으며, 당대 세계의 중심이었던 서아시아의 강대국이었다. 영어로는 Medes/Media,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마다이였으며, 중심지는 엑바타나였다. 《개역 성경》에서의 표기는 메대. 청동기 말기에 이란 고원으로 이주해 온 초기 이란계 부족들로 추측되며, 이란에서 현재 메디아인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유물들이 발굴되고 있다. 고대 메디아 왕국의 멸망 이후에는 이란 북서부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쓰였다. 현대 지명으로 보면 동으로는 테헤란, 서로는 케르만샤, 북으로는 아제르바이잔에 이르는 지역이다.

그리고 아케메네스 왕조가 이란 역사의 본격적인 시작이었다면, 메디아는 이란 역사의 기초를 다진 국가였다.

메디아인들은 이란고원에 살면서 뛰어난 말을 사육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들은 원래 신아시리아 제국의 속국이었으며 한때 스키타이인의 침공을 당했지만, 퀴악사레스[3] 왕 시대에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퀴악사레스는 국력을 일신하여 영토를 이란 고원 너머로 확장하고, 신바빌로니아와 함께 신아시리아 제국을 공격했으며 결정적으로 수도 니네베를 함락시켜 멸망시켰다.[4] 이에 그치지 않고 동쪽으로는 인더스강 유역까지 점령했고, 아나톨리아에 있었던 서방의 강국 리디아까지 침공했으나 우열을 가리지 못하고 카파도키아를 경계로 삼아 휴전했다.

파일:터키 리디아.png
메디아, 바빌로니아, 리디아의 서아시아 3국 정립[5]

퀴악사레스의 아들 아스티아게스[6]는 카파도키아에서 이란 동부까지 펼쳐진 광대한 제국을 물려받았다. 리디아와는 휴전 이후 점차 우호 관계를 맺기 시작했고, 신바빌로니아는 신아시리아 멸망 때부터 쭉 우방이었기 때문에 아스티아게스 시대의 메디아는 별 문제 없이 번영을 누렸다. 하지만 남쪽의 속령 파르스에서 키루스 2세가 반란을 일으키고, 여기에 중신 하르파고스까지 가담하면서 아스티아게스는 패배하고 키루스 2세에게 직접 처형을 당한 뒤 공식적으로 메디아 왕국은 멸망했다.[7] 그러나 키루스 2세가 세운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는 사실상 메디아 왕국의 패권과 왕통을 계승한 국가였으며, 메디아인과 파르스인은 언어, 문화, 인종, 습속이 같았으므로 자연스럽게 그냥 메디아-페르시아인으로 묶이게 되었다. 조로아스터교가 이란에 널리 퍼진 것도 메디아 왕국 시대의 일이다.

다만 이 역사의 상당 부분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유물이나 기록과의 교차 검증이 되지 않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실체에 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메디아 당대의 자료가 부족한 것은 메디아의 수도로 여겨지는 엑바타나의 자리에 현대 도시인 하마단이 자리 잡고 있는지라 유적을 발굴하기도 어려운 상태이며 연구된 메디아의 고고학적 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페르시아를 정복한 알렉산드로스 3세가 요절한 뒤 디아도코이 전쟁의 와중에 메디아의 일부가 반란을 일으켜 아트로파테네라는 이름으로 떨어져나갔는데, 이것이 현대 아제르바이잔의 기원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제르바이잔 항목을 참조. 또한 이라크 쿠르디스탄 정부에서는 메디아가 쿠르드족의 역사라고 가르친다. 나머지 메디아인들은 셀레우코스 왕조 시리아에 복속되었다가 이란계 정복왕조인 아르사케스 왕조 파르티아에 정복되었고, 메디아의 지배층은 점차 지방 귀족 세력으로 변모했다. 파르티아 시대에 형성되어 사산 왕조 페르시아 시대까지 큰 세력을 유지했던 대귀족인 커렌(Kâren) 가문과 메흐런(Mihrân) 가문이 메디아를 거점으로 했다.

1.1. 역대 통치자

알려진 왕을 순서대로 적었다.[8] 괄호 안은 재위 기간.
  • 1대: 데이오케스 또는 흐샤트리타(Khshathrita)[9]
  • 2대: 프라오르테스[10](BCE 675?~ BCE 653)
  • (스키타이의 지배(BCE 653 ~ BCE 625))
  • 3대: 퀴악사레스(BCE 625 ~ BCE 585)
  • 4대: 아스티아게스(BCE 585 ~ BCE 550)

아래는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에만 등장한다.
  • 5대: 퀴악사레스 2세(BCE 550 ~ ?)[11]


[1] 위 사진의 노란색 부분. 신아시리아 제국 멸망 이후 세력 균형을 이룬 오리엔트의 4대 왕국(리디아, 이집트, 신바빌로니아, 메디아). 나중에 모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에게 정복된다.[2] 메디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페르시아어와 근연 관계의 언어인 것은 알려져 있지만 메디아 시대 당시의 보존된 문서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문자를 사용했는지, 문법이 어땠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3] Cyaxares. 재위 BCE 625 ~ BCE 585.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우(후)바흐쉬트라(Uvaxštra, 𐎢𐎺𐎧𐏁𐎫𐎼)[4] 이때 신바빌로니아와의 동맹을 위해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메디아의 공주 아미티스를 시집 보냈는데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비인 아미티스를 위해 건설한 것이 공중정원이라고 알려져 있다.[5] 3국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파란 나라는 킬리키아 왕국이다. 비록 영토도 가장 작고, 강대국 사이에 끼인 샌드위치 신세인 나라인 것처럼 보이지만, 비옥한 토지와 지정학적 중요성을 발판삼아 서아시아의 여러 나라들 사이를 중개하며 번영을 누렸던 것으로 보인다.[6] Astyages. 재위 BCE 585 ~ BCE 550.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아르쉬티베이가(Ršti-vêga), 아카드어로는 이쉬투메구(Ištumegu)[7] 설화로는 이렇게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키루스 2세는 자신의 외조부인 아스티아게스를 폐위시키기는 했으나 처형하지 않고 오히려 어느 정도 대접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8]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메디아의 건국자는 메도스이며, 메데이아의 아들인 메도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콜키스의 국호를 메디아로 바꾼 것이 시초라고 한다. 딱히 근거는 없으며 역사학계에서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애초에 고고학적으로 메디아는 콜키스에서 한참 먼 곳에서 시작했다.[9] 둘이 동일인인지는 불명.[10] 고대 페르시아어로 프라바르티쉬(𐎳𐎼𐎺𐎼𐎫𐎡𐏁)[11] 실존 여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