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1:11:54

추판 왕조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 동호
선비 · 오환
철륵 선비
유연 북위 서위·동위
돌궐 제국 북주·북제
동돌궐
돌궐 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
서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CC; background: #376c95; font-size: 0.9em" 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일 칸국 |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오이라트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잘라이르 왕조 | 추판 왕조 북원
준가르 칸국 | 크림 칸국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 복드 칸국 중화민국
몽골 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몽골국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대
엘람
신아시리아
메디아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왕조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마잔다란계 소국들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알라비 왕조
사즈 왕조
사파르 왕조
지야르 왕조 살라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
부와이 왕조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일 칸국
일 칸국 멸망 후 혼란기

중근세
티무르 제국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마잔다란계 소국들
백양 왕조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사파비 왕조
근대
아프샤르 왕조
아프샤르 왕조
잔드 왕조
카자르 왕조
현대
팔라비 왕조
마하바드 공화국
이란 이슬람 공화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고대
만나이 키메르 스키타이 메디아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예르반드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아르탁세스 왕조 아르메니아 제국 로마 제국 아르사케스 왕조 사산왕조
페르시아
아란(알바니아)
중세
돌궐 제국
서돌궐
하자르 칸국
사즈 왕조 살라르 왕조 시르반샤 왕국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쉬르반샤 왕국 몽골 제국 일 칸국 추판 왕조 잘라이르 왕조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백양 왕조
정통 칼리프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오스만 vs 이란 근현대 현대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오스만 제국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 러시아 제국 자캅카스
민주연방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카자르 왕조 아르차흐
공화국
}}}}}}}}}}}}


1. 개요2. 성립 배경3. 승리와 쇠퇴4. 멸망

1. 개요

1335년의 일 칸국의 분열과 해체 이후 1335년부터 1357년까지 아제르바이잔타브리즈 일대를 다스린 국가. 잘라이르 왕조를 털어먹으며 성장했으나 재미있게도 그에게 흡수되며, 신기하게도 추판 조가 내정간섭을 했던 이란 중남부의 인주 왕조와 존속 기간이 같다.

2. 성립 배경

창시자 아미르 추판의 조상은 칭기즈 칸의 목숨을 구해준 타우치우트 부족의 소르킨 시라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그는 일 칸국의 전성기를 이끈 가잔 칸의 휘하 장수로 활약했다.

이후 추판 부족은 일 칸국의 명문가가 되었다. 다만 아부 사이드 칸의 견제를 받은 아미르 추판이 1327년에 숙청을 당하며 힘을 잃는 듯 하였으나 그의 딸 바그다드 하툰이 아부 사이드 칸의 황후가 되며 그 위세를 회복하였다.

1335년에 아부 사이드 칸이 자손 없이 사망하면서 일 칸국은 분열되었고, 그녀는 다음 칸인 아르파 케운에게 처형당했고, 그도 1336년에 살해 당하며 일 칸국의 해체는 확고해 졌다.

3. 승리와 쇠퇴

추판 왕조의 실질적 건국자인 아미르 추판의 손자 하산 쿠첵은 부족을 모아 독립을 한 후 일 칸국의 수도였던 타브리즈의 수복을 노렸다. 1338년과 1340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아제르바이잔 원정에서 잘라이르 왕조로부터 승리를 거뒀다. 이후 잘라이르 조의 꼭두각시인 무함마드 칸 (1336 - 1338)을 제거하고 그 지역을 점령하여 근거지로 삼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원정을 준비하느라 부족 통합에 실패했고, 부족 내에 잘라이르 조와 내통하는 자도 많았다. 그리고 잘라이르 조는 아제르바이잔을 잃었지만 이라크를 바탕으로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결국 하산 쿠첵이 1343년에 암살당했고, 직후에 추판 조는 1343 - 1345년간 내분에 휩싸였다. 내전을 종식시킨 마렉 아슈라프는 1347년, 바그다드를 공격하는 강수를 두었으나 잘라이르 조에게 패배하고 1350년에는 인주 왕조도 공격하나 성공하지 못하고 국력만 약화시켰다.

4. 멸망

준비했던 원정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상황에서 1350년부터 페스트가 유행하여 인구가 크게 줄었다. 결국 1357년, 쟈니 벡 칸이 이끄는 킵차크 칸국의 대대적인 침략을 당해 멸망했다.

킵차크의 군대는 캅카스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등 아제르바이잔 통치가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것을 깨닫고 이듬해인 1358년에 후퇴하였다. 그러나 1360년에 잘라이르 조의 전성기를 이끌 우웨이스 1세에게 마렉 이시라프의 아들 티무르타스의 잔당도 분쇄되고 그도 죽으면서 완전히 정복되어 가계까지 끊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