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9:13:22

정상우주론

정상 우주론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빅뱅 우주론
,
,
,
,
,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

[clearfix]

1. 개요

파일:정상우주론.svg

[1] / steady-state theory

허블-르메트르 법칙 정립으로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은 확정 사실로 받아들여진 이후,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빅뱅 우주론(현재는 거의 정설로 인정받고 있으나 초기에는 아직 설의 단계였다)이 제기되었을 때, 프레드 호일을 비롯해 빅뱅 우주론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과학자들이 제기한 또 다른 우주 이론. 우주가 팽창하지 않는다는 정적 우주론과는 다르다. 정상우주론은 빅뱅 우주론과 마찬가지로 허블 법칙 이후에 등장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우주 팽창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초기에는 빅뱅 이론과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나, 이후의 천문학 발전이 점차 빅뱅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내면서 1990년대 이후로는 완전한 비주류 이론으로 남게 되었다.

정상우주론은 우주가 확장되면 확장될수록, 그 확장된 진공 공간을 메꾸기 위해 사람이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극도로 적은 수소원자가 저절로 생성된다는 가설이다. 이때문에 연속 창조설이라고도 한다.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서 질량 보존 법칙을 무시하고 물질이 생성된다는 주장은 매우 황당해 보이지만 그런 견해에 대해서는 "빅뱅이 된다면 저절로 생기는 게 안 될 건 또 뭐야?"라는 반론이 대표적. 빅뱅 이론도 제기될 당시에는 그만큼 상식 밖의 이론이었다.

그리고 정상우주론이 지지받은 원인에는 어쩌면 창세기와 비슷해 보이는 빅뱅 이론을 인정하기 싫었던 것도 한몫 했다. 빅뱅이론은 시간이 빅뱅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설명하지만 그 당시 사람들은 시간이 출발점을 가진다는 생각을 좋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빅뱅의 가능성을 피하려는 여러차례의 시도 중 가장 유력했던 이론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호일은 지적설계를 믿었다.

사실 빅뱅 이론과의 경쟁 과정에서 천문학 발달에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했는데, 당시 빅뱅 이론은 우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헬륨의 형성을 설명 가능했지만, 정작 헬륨보다 무거운 중원소는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프레드 호일은 빅뱅 핵융합의 대체재로써 항성의 핵융합 과정을 통해서도 중원소가 생성됨을 완벽하게 설명해냈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빅뱅과 항성 양쪽에서 핵융합이 이루어진 결과로 현재 우주의 화학적 조성이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

[1] 바른 상태라는 의미의 정상(正常)이 아니라 한결같이 늘 해진 태에 있다는 의미의 정상이다.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또다른 물리학 용어로는 정상파(定常波)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