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80><tablebordercolor=#fff> 旌善 全氏 정선 전씨 | }}} | |
관향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
시 조 | 전섭(全聶) | ||
중시조 | 전선(全愃) | ||
집성촌 | 대구광역시 북구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인제군·정선군·철원군 강원도 평창군 경기도 파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경상북도 문경시·성주군·안동시 경상남도 거창군·진주시·함양군·합천군 | ||
강원도 이천군·평강군 황해도 금천군 평안남도 성천군 평안북도 정주군 함경남도 단천군·덕원군·문천군·북청군 함경남도 신흥군·안변군·이원군·정평군 함경남도 풍산군·함주군·홍원군 함경북도 경흥군 | |||
인구 |
[clearfix]
1. 개요
정선 전씨(旌善 全氏)는 강원도 정선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성씨·본관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76,226명이 존재한다.2. 기원 및 유래
2.1. 시조
정선 전씨(旌善全氏)의 도시조(都始祖) 전섭(全聶)의 8세손 선(愃)을 시조로 받들고, 정선군(旌善)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2.2. 중시조
삼국통일의 전란속에 전섭(全聶)의 후손에 관한 기록은 7세에 걸쳐 소멸되었다.정선 전씨는 전섭(全聶)을 시조로 하고 전선(全愃)을 득관중시조로 하고 있다.
3. 분파
- 제일파(第一派) - 전수송(守松) (판서공파(判書公派) : 평북 선천(宣川)을 중심으로 전국 각 지방에 살고 있다.
- 제이파(第二派) - 전길(佶) (복야공파(僕射公派) : 평북 정주군(定州郡)을 중심으로 살고 있다.
- 제삼파(第三派) - 전오륜(五倫) (채미헌공파(採薇軒公派) : 경남 거창군과 강원도 정선군을 중심으로 살고 있다.
- 제사파(第四派) - 전윤장(允臧) (석릉군파(石陵君派) : 정선군을 중심으로 충청북도 충주시 및 충북 북부에 살고 있다.
- 제오파(第五派) - 전영부(英富) (상호군파(上護軍派) : 함북 경성군(鏡城郡)을 중심으로 살고 있다.
- 제육파(第六派) - 전용(龍) (후석릉군파(后石陵君派) 석릉군(石陵君)의 후손 : 경기도 시흥시(始興市)를 중심으로 성주(星州), 칠곡(漆谷), 대구(大邱) 등지에 살고 있다.
4. 집성촌
4.1. 강원·경기·충청
-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간촌리·교동리·어천리·해상리
-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방동리[2]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직전리
-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
-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
-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나전리·남평리·문곡리[3]·북평리·숙암리
-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여량리·유천리
-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건천리·몰운리·북동리·석곡리·호촌리·화암리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경상리
- 강원도 철원군 임남면 달전리[4]
-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대능리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손동리·조동리
4.2. 대구·경상
-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
-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석항리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강산면 무학리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석탑리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하저리[복야공파]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월계리
-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동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5]·송계리[6]
-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두모리
4.3. 북한
4.3.1. 강원·황해·평안
- 강원도 이천군 판교면 명덕리
- 강원도 평강군 목전면 직동리
- 강원도 평강군 서면 망일리
- 강원도 평강군 유진면 후평리
- 황해도 금천군 서천면 홍묘리
- 평안남도 성천군 통선면 하리
- 평안북도 정주군 옥천면 문인동[7]
- 평안북도 정주군 임해면 동로동
4.3.2. 함경
- 함경남도 갑산군 산남면
- 함경남도 단천군 광천면 영평리·용잠리
- 함경남도 덕원군 풍상면 작동리
- 함경남도 문천군 군내면 교월리
- 함경남도 북청군 가회면 초리
-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 평리[8]
- 함경남도 북청군 성대면 승동리·양평리
- 함경남도 북청군 속후면 나호리·오매리
-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 만춘리
- 함경남도 북청군 양천면 상리·중리
- 함경남도 신흥군 영고면 경흥리·동평리
-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남산역리·풍포리·후창리
- 함경남도 안변군 신모면 내원산리·두남리·상어지리·석변리·양지리·이원리·천내리·하어지리
- 함경남도 안변군 안변면
- 함경남도 안변군 학성면 조전리
- 함경남도 이원군 남면 상차호리·하차호리
- 함경남도 정평군 문산면 원봉리
- 함경남도 정평군 주이면 신덕리
- 함경남도 풍산군 이인면 내리
- 함경남도 함주군 주북면 흥덕리
- 함경남도 함주군 하조양면 인흥리
- 함경남도 홍원군 용천면 동포리·서포리
- 함경남도 홍원군 평포면 노은리
- 함경북도 경흥군 신안면 신수동
5. 여담
정선 전씨의 인구수는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기준서거정의 문집(文集)인 동문선(東文選)과 목은 이색의 문집(文集)인 목은고(牧隱藁)에 이색의 글인 중지설(仲至說)이 실려있다. 이 글은 이색이 자신의 대이부(大姨夫)인 전씨(全氏)의 둘째 아들 전오륜(全五倫)이[10] 자신의 자(字)인 중지(仲至)에 대한 해설을 청하여 이에 대한 답을 적은 글이다. 글을 보면 정선 전씨를 정선의 명망있는 씨족(旌善望姓)이라고 칭하였다.
5.1. 역사적 인물
- 전이갑(全以甲)/전의갑(全義甲) : 고려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 공산 전투에서 전사한 여덟 장수 중 두 분이다. 태조 왕건이 공산 전투에서 순절한 공으로 전이갑은 충렬(忠迾), 전의갑은 충강(忠康)이란 시호를 내리고 자손의 군역을 면제하며 능력에 따라 얼마든지 관직에 등용할 것을 윤허했다. 이는 조선 조에 와서도 이어졌다고 한다.
- 전보인(全輔仁, ? ~ 1019년) : 전이갑의 아들. 989년(성종 8) 나주목경학박사(羅州牧經學博士)로서 후학을 근실히 가르쳐 포상을 받았다. 1013년(현종 4) 우상시(右常侍)로 치사(致仕)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018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가 되었고, 이듬해 우복야(右僕射)를 지냈다. 사관이 "명경과(明經科) 출신으로 여러번 학관(學官)을 지내 당대에 숙유(宿儒)라고 칭송했으나 행실은 경박하고 성급하였다."라고 평했다.
- 전영보(全英甫, ? ∼ 1348년) : 원래 제석원(帝釋院)의 상인이였고 금박(金箔) 제작이 직업이었다. 매형이었던 이숙(李淑)이 원나라의 환관으로 권력을 잡자 출세하였다. 충숙왕 14년에는 원나라에서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충숙왕 15년에는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로 승진한 뒤, 1339년(충혜왕 즉위)에는 삼사사(三司使)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후 양민 160명을 권력으로 억압하여 천민으로 만들었던 일이 발각되어, 정치도감(整治都監)의 결정으로 본적으로 돌려보내졌다
- 전이도(全以道) : 공민왕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숙위(宿衛)하였다가 왕의 즉위로 귀국하여 낭장(郎將)에 임명되고, 1352년(공민왕 원년) 시종한 공으로 1등 공신에 올랐다. 1359년(공민왕 8) 흉년이 크게 들자 예부시랑(禮部侍郞)으로 있으면서 경상도진제사(慶尙道賑濟使)로 파견되었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제2차 침입으로 복주(福州: 지금의 안동)로 파천(播遷)한 공민왕을 호종(扈從)하였다. 이 때 왕의 명령으로 홍주도(洪州道)에서 군대를 모집하였고, 또 모든 장수를 따라 경성(京城, 개경)을 수복할 때에도 공로를 세웠다. 이에 따라 1363년(공민왕 12)에는 신축호종일등공신(辛丑扈從一等功臣)과 수복경성이등공신(收復京城二等功臣)에 각각 봉해졌다.
- 전오륜(全五倫) : 1373년(공민왕 22) 과거에 급제하였고, 1391년(공양왕 3) 우상시(右常侍)·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형조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의 건국을 반대하다가 태조 이성계가 즉위할 때 본향안치[11]라는 처벌을 받았다. 형벌이 끝난 후에는 서운산에 은거하며 살았는데 이때 백이와 숙제가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캐먹고 살며 망국의 한을 풀었다는 고사를 본받아 호를 채미헌(採薇軒)이라고 했다. 두문동 72현 전설 등장인물 중에서 실제로 그 이야기처럼 출사하지 않고 은거하며 여생을 살아간 몇 안되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 전맹겸(全孟謙) : 위의 전오륜의 아들. 현재 대부분의 채미헌공파는 이 인물의 후손이다.
5.2. 인명
신분과 직위를 넘어 가나다순으로 나열하고, 특정인물 강조표기를 금합니다.- 전관 - 前 육군학생군사학교 교장, 제17대 대선 구국참사람연합 후보
- 전국환 - 배우
- 전군표 - 제16대 국세청장
- 전규홍
- 전대영 - 前 한화 이글스 2군 감독
- 전미선 - 배우
- (전석재) - 유튜버
- 전석호 - 배우
- 전순옥 - 제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후술할 전태일의 여동생
- 전여빈 - 배우
- 전영기(1974)
- 전원책 - 前 육군 군법무관, 변호사 겸 정치평론가
- 전인권 - 가수
- 전인범 -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 전예용 - 제4대 건설부장관
- 전원윤- 배우
- 전영재 - 배우, 전원윤의 아들
- 전재홍 - 배우, 전국환의 아들
- 전정환 - 제41대 강원도 정선군수
- 전제국 - 제9대 방위사업청장
- 전중윤 - 삼양식품 초대 회장
- 전태일 - 노동운동가, 위의 전순옥 전 의원의 큰오빠
- 전택보 - 제12대 상공부장관
- 전상수 - 前 재단사, 전태일의 아버지
- 전효성 - 시크릿 전 리더
- 전형필 - 독립운동가, 문화재 수집가
- 전혜숙 - 제18·20·21대 국회의원
- 전홍표 - 독립 운동가
- 전영찬 - 배우
- 전성우(배우) - 뮤지컬 배우
- 전상욱(프로게이머) - 프로게이머
- 전소미 - 가수
- 전진서 - 배우
[1] 2015년 인구조사에서 선선 전씨(旋善全氏) 8858명과 시선 전씨(施善全氏) 403명이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비슷한 한자를 착각한 공무원의 실수로 보인다. 이들을 모두 포함하면 176,226명이다. #[2] 전형산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3] 전정환 전 정선군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4] 전중윤 삼양식품 창업주가 이 마을 출신이다.[5] 독립유공자 전성범이 이 마을 출신이다.[6] 독립유공자 전재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7] 독립유공자 전준경이 이 마을 출신이다.[8] 독립유공자 전봉건이 이 마을 출신이다.[9] 2015년 인구조사에서 선선 전씨(旋善全氏) 8858명과 시선 전씨(施善全氏) 403명이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비슷한 한자를 착각한 공무원의 실수로 보인다. 이들을 모두 포함하면 176,226명이 된다. #[10] 동명이인이 아닌 정선 전씨 채미헌공파의 파조인 채미헌 전오륜이 맞다. 정선 전씨, 한산 이씨, 안동 권씨 각 족보에 따르면 전오륜의 아버지 전분(全賁)은 이색과 동서지간이다. 전분의 부인이 이색의 부인인 정신택주 권씨의 언니다.[11] 각자의 고향에 가두어 자유롭게 왕래하지 못하도록 하는 형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