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20:53:03

정유길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정유길
鄭惟吉
출생 1516년 1월 13일[1]
(음력 1515년, 중종 10년 11월 30일)
사망 1588년 11월 16일 (향년 72세)
(음력 선조 21년 9월 28일)
본관 동래 정씨
길원(吉元)
임당(林塘), 상덕재(尙德齋)
부모 부친 - 정복겸(鄭福謙)[2]
모친 - 이수영(李壽永)의 딸
부인 원주 원씨 원대은개(元大隱介, 1514 ~ ?)[3]
자녀 슬하 1남 5녀#
장녀 - 정환(鄭還, 1533 ~ ?)
차녀 - 정양정(鄭楊貞, 1541 ~ 1620)[4]
3녀 - 정말정(鄭末貞, 1542 ~ ?)[5]
4녀 - 정혜정(鄭蕙貞, 1546 ~ ?)[6]
아들 - 정창연
5녀 - 정윤양(鄭胤養, 1559 ~ ?)

1. 개요2. 생애3. 가족과 후손4. 묘역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 관료.

2. 생애

1516년 1월 3일[7]에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중종영의정을 지냈던 정광필이고 아버지는 강화부사를 역임했던 정복겸이다.

16세이던 1531년(중종 26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7년 뒤에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사간원 정언을 시작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했고, 이후 공조와 이조의 좌랑 직을 거쳐 군사, 왕명 출납의 사무를 관장하던 중추부의 도사 직 및 세자를 가르치는 세자시강원의 문학 직 등을 맡아 당시 세자였던 인종을 가르쳤다.

인종 승하 직후에는 윤임, 유관, 유인숙 등과 함께 문정왕후의 남동생 윤원로탄핵시켜 귀양을 보내는 데에 일조했다.

명종 즉위 후에는 의정부의 검상과 사인 직을 맡았고, 그 후 이조 정랑, 사헌부 집의, 사복시 부정을 역임했다. 홍문관으로 자리를 옮긴 뒤에는 부교리를 거쳐 부응교, 응교가 되었고, 나중에는 승정원 도승지까지 올랐다. 도승지는 요즘으로 치면 대통령비서실장과 같은 위치로, 명종이 그를 얼마나 신임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때 윤원형을 여러 번 탄핵했지만 누나 문정왕후를 뒷배로 두고 권력을 누리던 때라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그리고 얼마 못가 부친상을 당해 사임했다.

상이 끝난 후 홍문관 부제학으로 임명받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승정원 도승지가 되었으나 곧 체직되었다. 이후 사헌부 대사헌과 이조예조 참판, 성균관 동지사를 거쳐 예조판서까지 올랐다. 그 뒤 홍문관 대제학, 이조판서, 지중추부사를 거쳤다.

선조 시기에도 관직 생활을 계속 이었다. 선조의 왕위 계승을 축하하기 위해 명나라에서 사신을 파견했을 때, 이를 맞이하기도 했고 답방 사절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그리고 경기도경상도의 관찰사로 임명받아 지방의 민심을 다스리는데에 주력했다. 이후에도 다시 여러 번 예조이조판서를 지냈고 의정부 우찬성과 판의금부사, 판돈녕부사, 병조판서 직을 역임했다. 이후 우의정좌의정을 지냈다. 우의정이었던 1584년(선조 17년)에 나이가 70이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선조에게서 궤장을 하사받았다.

1588년(선조 21년) 11월 16일[8]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72세.

3. 가족과 후손

부인 원주 원씨 사이에서 1남 5녀를 두었다. 아들은 훗날 좌의정 직을 역임한 정창연이다. 정창연의 아들 정광성은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정광성의 동생 정광경은 이조 참판 직을 맡았다. 정광성의 아들 정태화현종영의정이었으며, 정태화의 5남 정재륜은[9] 효종의 딸 숙정공주와 혼인해 동평위 작위를 받은 부마가 되었다. 조부 정광필이 기로소에 들었을 뿐 아니라 정유길, 정창연, 정광성, 정태화 4대가 기로소에 들었다. 조선시대 전무후무한 사세입사(四世入社). 조선 중·후기의 대표적인 명문가이다.

차녀는 판윤 류자신과, 3녀는 도정 김극효와 혼인했다. 류자신의 딸이 광해군의 아내 문성군부인 류씨이고, 김극효의 아들들이 김상헌, 김상용 형제이다. 즉, 정유길의 외손주가 된다.

4. 묘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60호 61호 64호[10]
성안공 상진 묘역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 봉은사 선불당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
東萊 鄭氏 林塘公派 墓域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 32-83)
시대 조선 시대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 면적 분묘 21基, 석물 87基, 신도비 3基, 토지 3,754.4㎡
지정연도 1984년 11월 3일
관리자
(관리단체)
동래정씨문중
파일:임당정공신도비.jpg
<colbgcolor=#c00d45,#94153e>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에 있는 정유길의 신도비[11]
[clearfix]
현재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에 정유필 및 그의 후손들의 묘역이 있다.

정유길의 묘 동남쪽에 그의 일생과 업적을 적은 신도비가 있다. 1646년(인조 24년)에 세웠으며, 어깨 부분에 연꽃 문양과 가운데에 서수를 조각한 받침돌 위에 비신을 올리고 그 위에 쌍룡을 화려하게 조각해둔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외손자인 청음 김상헌이 비문을 짓고, 오원이 글씨를 썼다.

[1] 율리우스력 1월 3일[2] 영의정 정광필의 4남.[3] 원계채(元繼蔡)의 장녀이자 정석군의 증손녀.[4] 광해군의 왕비 문성군부인의 모친이며 봉호는 봉원부부인(蓬原府夫人)이다.[5] 김상용, 김상관, 김상건, 김상헌, 김상복의 어머니.[6] 의혜공주의 며느리.[7] 음력 을해년(종종 10년) 11월 30일[8] 음력 9월 28일[9] 정태화의 동생 정치화에게 입적했다.[10] 62호 수죽정공신도비와 63호 제곡정공신도비는 2008년 12월 30일에 해제되었고 동래 정씨 임당공파 묘역과 통합되었다.[1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